우리나라의 전통적 유아교육 및 근대,현대의 유아교육의 변천과정 연구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나라의 전통적 유아교육 및 근대,현대의 유아교육의 변천과정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방법

Ⅱ. 이론적 고찰
1. 조선시대 이전의 유아교육
2. 조선시대의 유아교육
3. 근대의 유아교육
4. 현대의 유아교육
5. 우리나라 유아교육의 사상적 토대(철학,사회,교육)
6. 함석헌 씨사상이 유아교육에 주는 함의

Ⅲ. 요약 및 고찰

참고문헌

본문내용

신(人格神)의 의미와는 다르다. 즉, 직선적 결과 중심의 神 개념이 아니라 순환적 과정 중심의 神 개념을 말한다. 그리고 명(明)은 음과 양이 화목하여 사물을 이롭게 하는 것으로 음은 월(月)을, 양은 일(日)을 가리킨다(陰陽之義配日月). 계사전(繫辭傳) 上편 제 6장의 원문 일부 廣大配天地, 變通配四時, 陰陽之義配日月, 易簡之善配至德(김석진, 1996).
이는 마치 日과 月이 교차하여 밝음을 유지하는 것과 같이 음양의 절대적 조화를 말한다. 따라서 신명은 예측 불가능한 변화운동에 있는 음양의 조화가 유지되는 것, 즉 음양의 조화가 하나로 유지되는 것을 말한다. 그래서 순자(荀子)는 둘이 아니고 하나가 되면 신명과도 통하고 천지와도 통한다 순자의 유효편(儒效篇) 원문 일부. 幷一而不二, 則通於神明, 參於天地矣(함석헌기념사업회, 2002c).
고 했다. 이 같은 생태유아교육의 신명의 의미는 함석헌의 하나됨의 영성에서 그 유사점과 함의점을 동시에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또, 주역 이후의 유학자들은 우주의 특성(天地之德)을 ‘생명(生)’으로 파악하고 천지의 신명(天地之神明)을 그 우주의 ‘생명의 원천’으로 믿어왔으며, 그것이 생명의 원천일 뿐만 아니라 모든 생명체의 원천을 이끌어 가는 ‘궁극의 예지’라고 생각했으며, 무속인들 또한 그렇게 믿고 신봉하였던 것으로 이해했다. 그리고 ‘궁극의 예지’인 점에서 신명은 의인화된 ‘우주의 마음(天地之心)’에 해당하고, 무속인들로부터 성리학자에 이르기까지 천지신명(天地神明)은 생명의 근원이며 인간을 비롯한 모든 생명체의 생존과 생활을 밝혀주는 궁극자로 신봉한 신앙의 대상으로 파악하고, 주술적 차원과 성리학의 차원을 연결시키는 하나의 ‘고리’가 신명으로 보았다(윤사순, 1997). 그러므로 생태유아교육의 신명은 현상적 자연과학과 의미적 종교를 동등한 관점에서 연결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는 것으로 함석헌의 ‘과학과 종교가 만나는 자리’의 의미와 무관하지 않다. 함석헌의 ‘하나됨의 영성’과 생태유아교육이 키우자고 하는 신명나는 어린이에서 ‘신명’의 의미는 유사점과 함의점을 동시에 가진다고 할 수 있다.
Ⅲ. 요약 및 고찰
지금까지 시대적 흐름에 따라 그 시대를 지배한 중심적인 사상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의 역사를 살펴보았다. 유아교육의 형식적 교육기관은 없없지만 삼국시대, 아니 그 이전부터 행해져 왔었고 특히 형식적 교육기관인 유치원은 1897년도에 설립된 부산유치원으로 이미 그 역사가 1세기를 맞이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국가 및 사회의 유아교육에 대한 적극적 지원의 부족이라든지 유아교육 전문가 및 종사자의 전문성 부족 등으로 서구에 비해서는 많이 뒤떨어진 것에 안타까웠다.
또한 교육사는 인간의 역사만큼이나 오래 되었고, 인생사만큼이나 많은 변화를 거치면서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데 반해 사실 그 교육체제 속에서 가장 짧은 역사를 지닌 영역이 바로 유아교육이며 조기교육이라는 개념의 혼미 속에서 유아교육 개념의 혼용과 더불어 교육이론, 교육철학의 부재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하지만 1980년대 이후로 양적 팽창이 가져오는 문제들을 극복하고자 유아교육의 종사자들을 비롯한 관심있는 사람들의 연구가 끊임없이 행해져 오고 있고 드디어 2004년 「유아교육법」개정이라는 것에 이르렀다. 전통사회에서는 유아교육의 중요성이 무시되고, 오직 남자아이에게만 교육의 기회가 주어졌다고 왜곡하기 쉬었다. 그래서 유아교육의 현주소를 서구사상에서 찾으려고 했고, 주체성 없이 떠도는 유치원 교육의 현실을 당연시 해왔다. 그러나 이는 연구의 어려움으로 인해 곡해되었고, 한국적인 교육 터전에 대한 바른 이해가 없었기 때문이었다.
나는 전통사회에서도 유아교육의 중요성을 인정하여 유아교육을 가장 중요한 것으로 취급하였음을 우리는 자각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더욱이 태아교육의 중요성을 시사해주고 있으므로, 자신감을 갖고 우리의 유아를 우리의 눈으로 이해하고 오류없는 교육의 방향을 설립해야 한다. 통일을 대비한 교육의 방향을 수립할 것과 더불어 이것이 우리의 당면과제가 되어야 할 것이다. 유아교육 역사의 고찰은 유아교육의 역사적 과정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오늘날의 교육상황과 비젼을 예견하는데 그 의의가 있으리라 본다.
참고문헌
김병아(1984). 유아의 발달심리, 창지사
김춘일조용태(1998). 유아교육의 이해, 교육과학사
박철용(1995). 미래 유아교육의 본질과 방향, 양서원
유안진(1982). 육아론, 문음사
유안진(1987). 한국 전통사회의 유아교육, 정민사
최진삼(1989). 함석헌 선생 곁에서 50년. 씨의 소리, 103(7), 181-190.
하정연(2000). 생태유아교육 실천사례와 해결방안. 문명의 전환과 유아교육의
새로운 방향.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20주년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93-113.
함우용(1989). 아버님 함석헌. 씨의 소리, 105(9), 176-187.
함은자(2002). 좋으신 아버님. 함석헌 선생. 씨의 소리, 158(12), 75-91.
홍순정곽노의(2001). 아동교육사. 서울: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Capra. Fritjof(1996). 현대물리학과 동양사상(『The Tao of physics』). 이성범
김용정 역. 서울: (주)범양사.
Gorbovskoi. Alexander(1994). 잃어버린 고대문명. 김현철 역. 서울: 자작나무.
Hartmann, Thom(1999). 우리 문명의 마지막 시간들(『The last hours of ancient
sunlight』). 김옥수 역. 서울: 아름드리미디어.
McFague. Sallie(2002). 은유신학(『Metaphorical theology: Models of god in
religious language』). 정애성 역. 서울: 다산글방.
Miller. J. P.(2001). 홀리스틱 교육과정(『The Holistic curriculum』). 김현재 외 역. 경기: 책사랑.
Norberg-Hodge. Helena(1992). 오래된 미래: 라다크로부터 배운다(『Ancient futures: Learning from Ladakh』). 김종철 역. 대구: 녹색평론사.
  • 가격3,6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08.10.27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77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