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를 다시 읽는다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머릿말
1.인식 대 재인식 -낡은 진영 대립을 넘어서-
2. 차이점과 공통점- 대립의 논리적 한계-
3. 낡은 근대, 젊은 비판
4. 인문학의 근대를 넘어

여순 ‘반란’의 재현을 통한 대한민국의 형상화
1.재현(再現),국가/텍스트
2.대한민국-민족 삶의 수호자
3.대한민국-운명의 주재자
4.대한민국 - 관념과 실천의 조직자.
5.균열하는 텍스트 / 충돌하는 대한민국

한국전쟁과 여성

박정희 체제의 지배담론과 대중의 국민화

결론

본문내용

가지고 있는 것 같다. 무엇인가 하면, 국가나 권력이 치밀하게 체제를 설정한다고 해서 모든 사람들이 끌려들어가는 것은 아니고, 따라서 체제의 견고함이나 시스템의 결성 여부만을 갖고 대중들이 그렇게 되었다라고 말하는 것은 성급한 결론 일지도 모른다. 물론 구조는 존재했지만 그 구조 내에서 구조를 인정하지 않거나 반항하는 많은 사람들 또한 존재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군인이 군대에 속했다고 해서 모두가 군인의 마음가짐을 가지게 된다고 단언해서 말 할 수 없는 것처럼, 또한 구조 자체가 심리적인 반발을 일으켜 사실상 구조로 파악되는 민중의 모습과는 괴리되는 경우도 종종 역사 속에서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어 구체제를 붕괴시킨 프랑스대혁명이 좋은 예일 것이다.) 그러므로 이런 구조주의적 시각 또한 과거 근대화론처럼 인간의 주체성을 무시하고, 구조 속에서 순응하는 인간의 타율성에 너무 집중해서 인간의 주체성을 너무 하찮은 것으로 바라보는 것이 아닌가 하고 생각한다.
한국전쟁과 여성부분에서 먼저 의문을 제기하고 싶은 부분은 전후시기가 여성의 본격적인 사회진출의 계기가 되었다는 점이다. 물론 앞선 이 사실에 대해 긍정하는 것은 피할 수 없을 것이나, 그 사회적 진출이 여타 남성들과 같이 자신의 적성에 맞는 자아실현으로서의 사회진출인지 아니면 가족의 생존을 위해 자신을 희생한, 타자를 위한 사회진출이었는지를 우리는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이다. 즉, 순수한 자의가 아닌 '타의'에 의한 자의로서의 돈벌이가 과연 '여성' 그 자체에게 의미가 있을 수 있는지 생각해보아야 할 문제라고 생각한다. 또한, 필자의 논문에는 여성이 첩으로, 성매매여성으로 전락한 데에는 국가와 그 외 기득권층이 조장한 어쩔 수 없는 사회적 구조와 급박한 생계문제가 그 이유였다고 여성을 합리화하는 문장이 간헐적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이런 내용은 국가가 조장하였다기 보다는 윤리적 차원의 문제에서 생각해보아야 할 것으로, 막연히 남성 때문에, 국가 때문에 여성이 성매매나 기타 비슷한 직종을 택했다는 것은 윤리적 잣대를 국가에게 떠넘기는 여성의 비적극적인 태도라고 볼 수 있다.
위와 같은 내용을 담은 「박정희 체제의 지배담론과 대중의 국민화」에 관한 논문은 흥미롭지 않을 수 없었다. 특히 소위 이분법적으로 분리되던 지배집단과 피지배집단 사이의 회색지대를 설정한 것이나, 흔히 한 덩어리로써 파악하던 ‘민중’이라는 존재를 분리해서 파악했던 점, ‘강제성’으로만 상징되던 시대의 뒷모습에 존재했던 ‘자발성’과 더 나아가서 아이러니하게 만들어졌던 ‘민주주의’까지. 하지만 논문에서 말하고자 하는 바이자 가장 중요한 요점은 현대인들이 흔히 ‘당연한 것’으로 여겨 오는 ‘국민’이란 존재가 어느 시점에서부터 만들어 졌다는, ‘발명’되었다는 것이다. 이는 이 논문을 담고 있는 책의 목적과도 잘 부합한다. 즉 머리말에서 이미 주지했듯이 ‘경제’와 ‘민주주의’ 그리고 ‘강제’와 ‘저항’의 구분 저변에 존재하던 태생적 동질성을 타파하고 당시를 살았던 사람들의 기억과 경험에 비추어 시대를 재평가 하고 있다. 여러 면에서 이전의 연구결과를 뛰어넘는 훌륭한 성과임에 틀림없지만 짧은 논문의 한계이니만큼 부족한 점도 보이기 마련이다. 박정희 체제의 지배담론과 대중의 국민화부분에서의 생각은 박정희시대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을 알지 못한 채 이 논문을 읽는다고 가정하면, 논문에서는 그 체제가 유지될 수 있었던 크게는 중요한 두 가지 요소를 빠뜨리고 있다. 그 중 하나는 눈에 보이는 적, 즉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존재가 박정희 정권에게 미친 영향에 대해 서술하지 않은 것이며 두 번째는 ‘국민’이 아닌 사람들이 겪는 ‘차별’이 국민화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서술하지 못한 점이다. 이 두 가지 모두 박정희 정권의 유지나 국민화 양쪽 모두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사료된다. 우선 첫 번째와 관련해 사실 박정희 정권은 정권의 위기가 올 때마다 국민의 공포심을 자극하는 정책을 써 왔다. 그 안에서 직접적인 전쟁의 공포를 알고 있는 사람들은 계급이나 성별 등을 뛰어넘어 하나의 국민으로 거듭나는 것을 주저하기 힘들었을 것이다. 특히 7·4남북 공동 성명이 있고, 한편으로 비전향 장기수들에게 끔찍한 전향테러를 감행했던 바로 그 시점에 박정희 정권이 소외되었던 농민계층에 눈을 돌려 ‘새마을 운동’을 주도했다는 시대적 공통점은 눈여겨 볼 만 하다. 두 번째로 박정희 시대의 인권 탄압이나 ‘非국민’에 대한 차별이 없었다면 더 많은 사람들이 국민화에 저항하거나 박정희 체제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 해 보는 리스크를 짊어졌을 수도 있다. 하지만 체제 내로 편입했을 때의 권리와 동시에 체제 밖으로의 시도를 했을 때 당할 수 있는 강력한 탄압의 존재는 사람들이 더 쉽게 국민화의 길을 걷는 계기가 되었을 것이다.
이번에 우리가 주제로 한 ‘근대를 다시 읽는다’는 앞서 머리말에서 설명했던 바와 같이 한국 현대사의 ‘인식’과 ‘재인식’이 서로를 비판하면서도 공통점으로 갖고 있는 문제점에 주목하여 새로운 ‘대안’으로써 제시되었던 책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전의 연구와는 달리 현대사를 바라보는 관점 자체가 굉장히 신선하고 새롭게 구성되어있다. 그러면서도 책을 구성하는 각각의 저자들은 논리력 있고 설득력 있는 문장들을 구성해나간다. 그것이 이 책이 갖는 가장 큰 장점들 중에 하나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책의 발간이 2006년 ‘한국 현대사의 재인식’의 여파가 커지자 그에 대한 반향으로 조금은 급하게 나온 것이니만큼 논문간의 불협화음 또한 종종 발견되곤 한다. 우리가 맡은 몇 개의 논문 사이에는 사실상 전혀 연관이 없이 묶여진 경우도 있었을 뿐만 아니라 몇몇 용어나 정황설정 등에 있어서는 학자마다 다른 견해를 내보여 읽는 사람에게 혼란을 주는 경우도 나타났다. 탈근대를 지향하는 책의 관점에서 보자면 나름대로 일리가 있는 다른 견해들은 그대로 인정하고 시각의 차이를 두는 것이 그렇게 나쁜 것만은 아닐 것이다. 하지만 현대사를 바라보는 인식을 바꾸고자 하는 목적이 더 많은 사람들에게 쉽게 다다가고 읽혀지기 위해서라면 기본적인 용어나 개념의 통일이 가장 먼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가격1,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8.11.17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26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