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주의 학습이론이 현장수업에 주는 시사점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구성주의의 개념과 배경
2. 구성주의 교육학
1) 일상적 구성주의와 급진적 구성주의
2) 인지적 발달 이론 (Jean Piaget)
3) 사회 발달 이론 (Lev Semanovich Vygotsky)
3. 구성주의적 교수-학습 환경
4. 구성주의 교수-학습관
1) 구성주의의 기본 가정
2) 학습원리

Ⅲ. 결 론

본문내용

해야한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지식이 개인에게 의미있는 것으로서의 작용을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학습원리가 적용된다.
① 학습은 발달의 결과가 아니라. 학습이 곧 발달이다.
학습은 학습자 스스로 발명과 자기조작을 요한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이 스 스로 자신이 해결해야 할 문제를 생성하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써 자신의 가설과 모형을 산출하고 이들의 적합성 여부를 검증할 수 있도록 뒷받침해 주어야 한다.
② 불균형이 학습을 촉진하다.
인지적 갈등과 혼란은 학습을 위한 자극이며 이것이 학습될 내용의 조직과 본 질을 결정한다, 오류도 학습자가 이해한 결과로 보아야 한다. 따라서 이를 의도적 으로 최소화하거나 회피하고자 해서는 안된다. 장시간에 걸친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한 갈등과 혼란, 그리고 놀라움 속에서 학습이 일어난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 다. 따라서, 실제적이고 유의미한 맥락에서의 도전감 있고 개방적인 탐구가 강조 되어야 하며, 긍정과 모순이 되는 다양한 대안을 탐구, 산출하도록 해야한다. 특 히, 모순되는 점을 분명히 하고 이를 탐구, 토의할 수 있도록 주어야 한다.
③ 반성적 추상이 학습의 원동력이다.
인간은 의미의 구성자로서 다양한 경험을 표상적인 방식으로 조직, 일반화 하 고자 한다. 반성적인 글쓰기를 통한 반성의 시간을 줌으로써, 광범위한 경험을 다 양한 상징적 방식으로 표상하고, 이들간의 관계를 논의함으로써 반성적 추상을 촉진할 수 있다
.
④ 학습은 원래 사회적, 대화적 활동이다.
공동체 구성원들간의 대화가 깊이 잇는 사고를 촉진시킨다. 교실은 다양한 활 동과 반성적 사고, 대화가 이루어지는 대화 공동체로 보아야 한다. 교사가 아니라 학습자들 스스로가 자신의 아이디어를 교실의 구성원들에게 전달하고 정당화하는 책임을 지녀야 한다. 지식은 개인적 이해의 적합성에 대한 평가와 사회적 협상을 통해 진전된다. 따라서 구성원들에게 공유되는 아이디어만이 유용한 것으로 받아 들일 수 있다.
⑤ 학습은 구조의 발전을 지향한다.
학습자들이 의미 구성을 위해 노력할 때, 관점에 점진적인 구조적 변화가 이루 어져 보다 큰 아이디어를 구성하게 되며, 이는 곧 다양한 경험에 일반화될 수 있 는 핵심 조직 원리가 된다. 이러한 과정은 발달의 과정 동안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
⑥ 학습은 상황에 기초하여 일어난다.
학습이 진정한 의미를 갖기 위해서는 풍부한 맥락, 실세계 상황이 반영된 실제 상황에서 진행되어야 한다.
⑦ 학습은 구성적, 능동적 과정이다.
지식은 경험으로부터 구성되며 학습은 학습자가 지식을 내적으로 표상하는 구 성적 과정이자 경험에 기초하여 의미를 개발하는 능동적인 과정이다.
⑧ 학습은 도구와 상징을 통해 촉진된다.
학습은 의미를 구성하는 것이다. 의미의 구성은 도구(물리적 수단과 기능)의 상 징(언어, 수, 지도 등과 같은 기호학적 수단과 기능)의 활용을 통해 촉진된다.
⑨ 인간의 궁극적인 성취는 앎의 방법을 아는 것이다.
앎과 학습의 과정을 스스로 점검하고 통제할 수 있는 능력, 즉 반성적 사고야 말로 인간이 지녀야 할 중요한 능력이다. 반성적 사고는 우리가 더불어 살고 잇 는 세상을 새롭게 이해하고 창조할 수 있는 핵심 요인이다.
즉, 구정주의에서의 학습은 곧 발달이며 학습자가 스스로 문제를 생성하고 그 것을 자신이 처한 상황에 맞게 변화시키며 자신의 가설과 모형을 산출하여 결과 를 도출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여러 가지 갈등과 혼란이 생기며 실질적인 학습이 가능하게 되며 결과에 대하여 반성을 해봄으로 더욱 더 학습의 질을 높일 수 있 게 된다. 그리고 학습은 사회적, 대화적 활동이므로 공동체 구성원들간의 대화가 깊이 있는 사고를 촉진시킨다. 학습자들은 의미의 구성을 위해 스스로 지식을 내 적으로 표상하며 다양한 도구와 상징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점진적 인 구조의 변화가 생기고 보다 큰 아이디어를 구성하게 된다.
Ⅲ. 결 론
구성주의는 “지식은 발견되기 보다는 구성되는 것”이란 명제로 말할 수 있다. 전통적인 객관주의 이론은 지식을 보편타당한 절대적인 인식자와 분리된 것, 외적 실체와 일치하는 것으로 보고 있으나, 구성주의에서는 지식은 경험을 통해 구성되며 학습은 구성적 과정으로 보고 사고하는 개인이 자신의 경험을 기초로하여 아는 것을 구성한다는 가정하에 출발한다.
구성주의적 교수-학습에서의 교사는 학생이 학습을 능동적으로 구성해 나가는 과정에서 지식의 전달자가 아닌 사회자, 안내자, 조력자, 촉매자, 협력적 조성자, 동기부여자로서의 역할을 요구하고 있으며, 교수-학습 방법으로는 학생이 자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에 의문이 생기면 교사는 직접 답을 가르쳐주는 것이 아니라 적절한 질문과 힌트를 주어 학생 스스로 깨우쳐 알 수 있는 학습 분위기를 제공해준다. 이때, 학생은 자발적으로 지식을 구성해 나가는 과정에서 합리적창조적생산적인 사고를 할 수 있게 되며, 구체적인 활동을 통하여 학습자 개개인이 가능한 한 스스로 지식을 구성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런 구성주의의 특징은 지식과 현실에 대한 상황성, 독특성. 그리고 다양성을 강조한다는 것이다. 구성주의는 객관적 절대적 지식이나 진리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상대적 진리관이다. 개인이 현실을 살아가고 이해하는데 자신에게 의미가 있고 적합하고 타당한 것이면 그것이 바로 진리가 되고, 지식으로 본다. 다시 말하면 그것은 개인의 지속적인 사회참여와 인지적 활동을 통해서 구축된 결과로 볼 수 있다.
구성주의는 이러한 이론적인 매력에도 불구하고 구성주의적 활동방식이 우리 나라의 현실에 보편적으로 적용하기에는 많은 문제점들이 남아있다.
우리 나라의 객관주의적 교육과 획일화되고, 교육 환경의 부족함 등으로 인하여 구성주의 교육을 실천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또한, 우리 나라의 교육은 시시때때로 변해가기 때문에 교육기관에서 교육목표를 따라가기 위하여 여러 이론들을 깊이 파악하지 않고 그저 견학이나 간단한 연수 등으로 “우리는 무슨 교육을 합니다”라는 것보다는 한 가지의 교육 방침을 가지고 뚜렷한 교육관을 세워 따라가기 위한 교육보다는 교육 현장에서 창조적이며 실용적인 교육과정으로 재구성되어야 한다고 본다.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9.01.25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59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