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현대시레포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서론

Ⅱ.韓國近代詩의
文學史的 性格

Ⅲ. 1910년대의 詩와 그 인식

Ⅳ. 결론

본문내용

도 간주되지 못하고, 또한 섬세한 심혼시로 포함시킬 수 없어서 엉거주춤한 상태를 보이고 있으나, 베를레느로 대표되는 심혼시를 한국어로 어설프게나마 수용했다는 점이 전통적인 율조에 바탕을 둔 김소월의 심혼시를 낳는데 도움을 주었고 이로써 1910년대 시를 새로이 인식할 이유가 되었다.
그리고 1910년의 베를레느의 수용이 1930년대 모더니즘보다 우리 서정시에 생산적이자 문제적인 것이라는 설명을 보강시킬 수 있는 시인으로 심혼시에서 멀어지고자 한 주요한을 들 수 있다. 그는 초기의 작품인 「눈」과「불놀이」를 통해 고전시가의 형식을 파괴하고 현대적인 시를 정착시키는데 애를 썼지만 1910년대의 특징 중의 하나인 ‘자유시’와 ‘산문시’의 개념을 혼동하여 둘을 같은 뜻으로 받아들였고 그 것들만 근대시라고 착각을 했다. 그래서 그의 초기의 작품은 묘사시가 대부분이었고, 후에 다른 변모를 보이기는 했지만 심혼시에서 멀어지려는 경향은 여전했다. 1919년 주요한은 상해로 가서 격렬한 민족적 저항시를 발표하여 민중시를 지지하기 시작했고, 그 대표작으로는 「채석장」(1928)을 들 수 있다. 민중시를 지지함과 동시에 그는 민요를 지향하기 시작했고 이는 민중시의 지지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로써 주요한의 민요에의 지향과 민중시의 지지성이 심혼시에서 많이 멀어져있다는 중요한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렇게 1910년대 시는 배역시에서 심혼시에 이르는 과정을 보이는데 김억이 번역한 베를레느의 「시작」이 10년대 근대시의 인식을 새롭게 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배역시에서 심혼시로 너무 급격히 변화한 단계이기 때문에 시의 인식이 극과 극을 달린 모양이 되었지만 그것이 1910년대에 제시되었다는 사실이 근대시의 이해에 중요한 기준이 된다. 그리고 김소월 시로 대표되는 심혼시의 성장이 1920년대에 가능한 사실과 그의 작품인 「초월」이나 「무덤」과 같은 작품이 근대시를 일종의 맹목적인 숭배로 이끌면서 시의 울타리를 위험하게 한 사실을 알게 한 힘도 1910년대의 시의 인식으로부터 비롯되었음을 알 수 있다.
Ⅳ. 결론
지금까지 보았듯이 개화기에는 개화가사, 창가, 신체시 등 새로운 시가형식이 근대시로 발전해왔고, 또한 전통적인 시의 형식인 가사, 시조, 민요 등도 창작되어 일제치하에 대해 저항하고 계몽적인 활동에 참여하면서 민족의 시련과 아픔을 시적으로 표현하였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중에서도 1910년대 무렵부터 1920년대까지의 시기를 정하여 근대시의 역사적 흐름을 살펴보았다.
육당 최남선의 새로운 요소의 배역시부터 토속적인 정한의 감정을 심화시키는 김소월의 심혼시까지의 수많은 시인들이 한국의 근대시 발전에 중요한 밑거름을 마련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참고 문헌
김용직외,『韓國現代詩史硏究』(일지사, 2000)
장도준,『한국현대시 교육론』(국학자료원, 2003)
김창원,『한국문학-8 일제강점기의 현대시』,(웅진 밀레니엄북,1998)
김창원,『한국문학-9 해방 이후의 현대시』,(웅진 밀레니엄북,1998)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4.12
  • 저작시기2005.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97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