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기예보][악기상 정보][기상특보][기상]일기예보의 개념, 일기예보의 종류, 일기예보에 관한 이론적 탐구, 일기예보 관련 용어, 일기예보의 발달사, 일기예보의 과정, 일기도의 분석, 악기상 정보와 기상특보 분석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기예보][악기상 정보][기상특보][기상]일기예보의 개념, 일기예보의 종류, 일기예보에 관한 이론적 탐구, 일기예보 관련 용어, 일기예보의 발달사, 일기예보의 과정, 일기도의 분석, 악기상 정보와 기상특보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일기예보의 개념

Ⅲ. 일기예보의 종류
1. 종관적 예보(Synoptic weather forecasting)
2. 통계적 예보(Statistical weather forecasting)
3. 수치 예보(Numerical weather prediction)
4. 단기 예보
5. 장기 예보

Ⅳ. 일기예보에 관한 이론적 탐구
1. 기상요소
1) 온도(T)
2) 노점온도 (Td)
3) 습구온도(Tw)
4) 상당온도(Te)
5) 가온도(Tv)
6) 대류온도(Tc)
7) 온위(θ)
8) 습구온도(θw)
9) 상당온위(θe)
10) 혼합비(w)
11) 포화혼합비(ws)
12) 수증기압(e)
13) 포화수증기압(es)
14) 상대습도(RH)
15) 층후(h)
16) 대류응결고도(CCL)
17) 상승응결고도(LCL)
18) 자유대류고도(LFC)
19) 혼합응결고도(MCL)
20) 평형고도(EL)
21) 빙결고도(FL)
2. 공기의 이동
1) 고기압·저기압
2) 대류현상
3) 바람

Ⅴ. 일기예보 관련 용어
1. 건조 단열 변화
2. 건조공기
3. 건조단열감율(乾燥斷熱減率)
4. 경도풍
5. 극동풍
6. 기압
7. 기압계
8. 기압경도력
9. 기압의 마루
10. 기온감률
11. 대류권
12. 대류권계면(對流圈界面)
13. 단열감률
14. 단열기온변화(斷熱氣溫變化)
15. 단열변화
16. 단열승온
17. 단열압축
18. 상대습도(相對濕度)
19. 성층권
20. 성층경계면(成層圈界面)
21. 습윤단열감률(濕潤斷熱減率)
22. 습윤단열변화
23. 아네로이드기압계
24. 오존층
25. 온도풍
26. 제트류
27. 중간권
28. 중간권계면
29. 지균풍

Ⅵ. 일기예보의 발달사
1. 미신점술시대(약 1세기까지)
2. 관천망기, 일기속담시대(1세기~약 16세기)
3. 측기시대(17세기~20세기초)
4. 지상일기도시대(약 1920년~1940년)
5. 고층일기도시대(1930년대초~1950년대)
6. 레이더, 인공위성시대(1950년~1965년)
7. 수치예보시대(1965년~현재까지)

Ⅶ. 일기예보의 과정
1. 기상 요소의 관측
2. 자료의 수집
3. 일기도 작성
4. 일기 분석
5. 예상 일기도 작성
6. 일기 예보

Ⅷ. 일기도의 분석
1. 지상 일기도분석
2. 전선분석
3. 상층일기도분석

Ⅸ. 악기상 정보와 기상특보
1. 예보구역
1) 육상예보
2) 해상예보
2. 기상특보의 발표기준
1) 폭풍 - 육상최대풍속을 기준으로 구분
2) 호우 - 24시간 강우량을 기준으로 구분
3) 폭풍우 - 폭풍을 기준으로 구분
4) 대설 - 24시간 신적설량을 기준으로 구분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 특성이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등압선을 그릴 때 육상에서는 바람보다 기압값을 더 중요시하고 해상에서는 기압값보다 바람을 더 중요시해야 한다.
○ 섬이나 산맥의 풍상측에서는 고압부가 나타나고, 풍하측에서는 저압부가 나타나서 등압선이 \'Z\"자형을 이루는 경우가 많다.
○ 기압이 시간에 따라 많이 변할 때는 등압선과 풍향의 사이각이 변압풍에 의하여 기압상승지역에서는 커지고 기압하강지역에서는 작아진다.
○ 등압선은 항상 기압계의 계통적인 배열이 잘 나타나도록 그린다. 기압능과 기압골은 그 특성에 유의하여 그린다.
○ 전선을 동반하고 있는 저기압에선 전선에서 등압선이 심하게 저기압성으로 굴곡되도록 그린다.
○ 동압선은 자료가 많은 곳, 또는 자료의 신빙성이 큰 곳부터 그리기 시작하여 주위로 연장시켜 나간다.
○ 기압계나 전선계 등은 갑자기 발생한다든가 소멸하는 경우가 거의 없고 연속적으로 변한다. 따라서 전 시각의 일기도의 등압선분포와 물리적인 연속성이 있도록 분석하여야 한다. 연속성을 유지하기가 힘들 때는 전 시각의 일기도 분석의 잘못 여부를 검토한다.
2. 전선분석
○ 전선은 갑자기 발생하거나 갑자기 소멸하는 일이 없으므로 전시각의 일기도로부터 연속적으로 추적할 수 있다.
○ 전선에서는 기압 자체는 연속성이 유지되나 기압경도는 불연속이므로 등압선이 급격히 굽어지는 곳, 또는 등압선은 평행해도 그 간격이 급격한 변화를 이루는 지역에 위치할 가능성이 크다.
○ 이동중인 전선에서는 기압경향이 불연속이므로 기압의 상승과 하강지역의 경계선 부근에 전선이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이 때 기압의 일변화를 고려해야 한다.
○ 전선은 기온, 노점온도, 풍향이 불연속을 이루어 이들 값이 급변하는 지역에 위치할 가능성이 크다.
○ 전선상에서는 일반적으로 일기가 악화되므로 강수 등 나쁜 일기가 선상으로 나타날 경우에 전선이 있을 가능성이 크다. 온난전선은 그 전방에서 넓게 악천을 보이다가 후방에서는 비교적 호천을 이루고, 한랭전선은 전방과 후방의 구별없이 전선상에서 비교적 좁게 악천이 나타난다.
○ 기온역전층이 있고 이 역전층에서 고도에 따라 풍향이 반전할 때 한랭전선, 순전할 때는 온난전선이므로 이를 근거로 지상의 전선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저기압의 중심부근에서는 전선이 존재해도 상승기류가 강하기 때문에 명확한 역전층이 없는 경우도 있다.
○ 지상전선은 상층일기도에서 등온선 조밀지역의 난기쪽의 경계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다. 층후도에서도 등층후선 조밀지역의 난기쪽 경계 또는 한랭이류와 온난이류의 경계에 위치한다. 따라서 지상에서 명확하지 않을 때는 상층일기도나 층후도 등을 이용하여 그 위치를 조정한다.
○ 이상의 조건들이 애매할 때는 전선을 넣지 않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 열적 저기압(태풍)은 전선을 동반하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 폐색전선 후방에는 이차전선이 형성될 가능성이 크다.
○ 약한 저기압이 동서로 여러 개 줄을 지어 있을 때는 보통 정체전선으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다.
3. 상층일기도분석
지상부근의 1000hPa 일기도 보다 높은 고도에 대한 드압면 일기도를 상층일기도라 하고 상층일기도의 분석은 기압계의 연직 구조를 알기 위한 입체분석의 수단으로 사용된다.
상층일기도의 종류는 925hPa, 850hPa, 700hPa, 500hPa, 300hPa, 200hPa, 100hPa 일기도 등이 있다. 지상일기도는 등고면에서의 등압선을 분석하는 대신 등압면에서의 등고선을 분석하고있다. 등압면에서 고도가 높다는 것은 등고면에서 기압이 높다는 것과 같은 의미이고 반대로 고도가 낮으면 기압이 낮다. 등고면 일기도 대신에 등압면 일기도를 분석하는것은 다음의 몇 가지 이유 때문이다.
고층관측에서 일정 고도의 기압값을 얻기 보다는 일정 기압면의 고도값을 얻기가 용이하다.
정역학 방정식에 의하여 기압과 고도는 서로 일대일 대응이 되므로 연직좌표축의 변환이 가능하다. 기압면에서의 등온선은 단열변화를 가정할 때 등온위선으로 간주할 수 있어서 등압면으로부터 등층후선을 쉽게 구할 수 있다. 등압면에서의 지균풍은 공기의 밀도에 무관하므로 계산이 용이하다. 등고면에서는 공기의 밀도를 알아야만 지균풍 계산이 가능하다. 실제로 항공기들이 등압면상을 비행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Ⅸ. 악기상 정보와 기상특보
악기상의 발생이 예상될 때는 악기상 정보를 발표하고, 호우, 폭풍우 등으로 인하여 재해 발생이 예상될 때는 주의보, 막대한 재해발생이 예상될 때는 경보를 발표한다.
1. 예보구역
기상예보는 지역별로 구역을 구분하여 발표한다.
1) 육상예보
시, 도단위의 12개 광역예보구역(예 : 경상남북도지방)과 시, 군 및 지형적 특성을 고려한 60개의 국지예보구역(예 : 경북북서내륙, 경북남서내륙, 경북북동내륙, 경북중북부내륙, 경북중남부내륙, 경북북부동해안, 경북남부동해안)
2) 해상예보
8개의 광역(예:경상남북도는 동해동부해상, 남해동부해상을 끼고 있으며 울릉도 독도와 강원도는 동해 중부해상에 위치함) 26개의 해상국지예보구역(앞바다, 부근바다)로 구분하여 예보를 발표한다.
2. 기상특보의 발표기준
1) 폭풍 - 육상최대풍속을 기준으로 구분
- 주의보 : 14㎧이상
- 경보 : 21㎧이상
2) 호우 - 24시간 강우량을 기준으로 구분
- 주의보 : 80mm이상
- 경보 : 150mm이상
3) 폭풍우 - 폭풍을 기준으로 구분
- 주의보 : 시간당 20mm이상 비 동반
- 경보 : 시간당 30mm이상 비 동반
4) 대설 - 24시간 신적설량을 기준으로 구분
- 주의보 : 5cm이상
- 경보 : 20cm이상
참고문헌
- 김연옥, 한국의 기후와 문화,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 민경덕 외, 한국기상학회, 대기과학개론, 시그마프레스, 1999
- 변희룡·김영철·조석준, 일상생활의 기상학, 시그마프레스
- 변희룡·김영철·조석준, 일상생활의 기상학159p~216p, 시그마프레스, 2000
- 소칠섭 외, 지구환경과학개론, 시그마프레스, 1997
- 이현영·이승호, 기후학의 기초, 두솔, 2002
- 홍성길, 일기예보 이야기, 교학연구사, 1993

키워드

  • 가격7,5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9.04.1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01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