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토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토기의 제작 방법

* 신석기 시대의 토기
(1) 빗살무늬 토기
(2) 파상 점선문 토기
(3) 융기문 토기

*청동기 토기의 종류
(1) 각형토기
(2)공렬토기
(3) 발형 및 화분형 토기
(4) 채색 토기
(5) 미송리식 토기

* 철기 시대의 토기
(1) 점토대 토기
(2) 쇠뿔형 손잡이 토기
(3) 두형 토기
(4) 흑도

*고구려 토기

*백제토기
(1) 적갈색 연질 토기
(2) 회청색 토기

*신라 토기
(1) 유개 고배
(2) 무개 고배
(3) 배 및 개배
(4) 장경호
(5) 기대
(6) 단경호
(7) 대옹
(8) 이형 토기
(9) 토우
(10) 적색 조질 토기

*통일신라 토기
(1) 고분 출토 토기
(2) 골호
(3) 유약 토기

본문내용

형태의 토기가 출토되었는데, 이것은 한나라의 청동기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평남 대동에 있는 토포리 고분에서는 그림이 그려져 있는 토기 뚜껑 두 개가 출토된 바 있다. 그 가운데 하나는 뚜껑 한가운데 보주형의 꼭지가 달려 있고 그 둘레에는 연꽃무늬가 그려져 있다.
또 통구 근처에서 철도 공사 중에 황색 유약이 칠해져 있는 4귀 항아리가 발견되었다. 이 항아리는 바닥이 평저이고, 몸집이 길며 아가리가 밖으로 바라진 것인데, 전면에 황갈색 유약이 칠해져 있었다.
또한 이 부근에서 출토된 쟁반 모양의 토기에도 황갈색 유약이 전면에 칠해져 있었다. 이 쟁반형 토기는 한나라의 반과 그 형태가 비슷하다.
*백제토기
(1) 적갈색 연질 토기
무문 토기와 같이 태토가 매우 거칠 뿐만 아니라 화분형의 형태가 많다.
(2) 회청색 토기
백제의 회청색 토기에는 경질과 연질의 두 종류가 있다.
연질 토기는 와질 토기라고도 불리는 백제 특유의 토기이다. 이 토기에는 대체로 멍석무늬가 많이 시문되어 있으며, 공주 부근에서 발견된 목이 직립 한 항아리의 어깨 부분에는 톱니무늬가 곱게 새겨져 있다.
이 경질 토기는 백제 토기를 대표하는 것으로서 밑이 둥근독과 밑이 둥글고 목이 짧은 항아리, 납작 밑 항아리, 고배, 3발 달린 그릇, 그릇받침, 벼루 등 그 형태가 매우 다양하다. 초기에는 밑이 둥근 형식의 것이 만들어졌으며, 중기 이후부터는 밑이 납작한 그릇이 성행하였다.
*신라 토기
(1) 유개 고배
고배라는 것은 두형 토기에서 유래된 것인데, 원저 용기 밑에 원추형의 대를 붙인 것으로 대에는 몇 개의 장방형 구멍이 한 줄 또는 두 줄로 뚫려있다. 뚜껑 한가운데 있는 꼭지는 단추와 대를 축소하여 뒤집어 놓은 것 같은 모양의 형식이 그 주류를 이루고 있다.
(2) 무개 고배
뚜껑이 없는 고배는 처음부터 뚜껑이 없이 사용하도록 만든 것이다.
이러한 고배에는 손잡이가 달려 있는 것이 많으나, 경주 지방의 건은 납작한 띠 모양의 손잡이가 있으나 가야 지방의 것은 단면이 둥근 손잡이가 달려 있다.
(3) 배 및 개배
배 라는 것은 대가 없는 것으로, 그릇이 깊고 아가리가 약간 바라진 것이 많다. 이러한 것은 경주 지방에서 발견되고 있는데 반드시 둥근 손잡이가 달려 있어 맥주잔을 연상케 한다.
개배는 고배의 뚜껑을 뒤집어 놓은 것과 같은 모양으로 무늬가 없으며 출토된 예도 많지 않다.
(4) 장경호
장경호는 고배와 함께 신라 토기 중 가장 대표적인 기종의 하나이다. 둥근 항아리로 크고 긴 목이 달려 있고 바닥이 둥글거나, 가운데가 약간 위로 우그러져 있으며 대가 달린 것과 달리지 않은 두 가지가 있다.
(5) 기대
기대는 그 자체만으로 용기로 사용할 수 없고, 바닥이 둥근 그릇을 올려놓는데 쓰여진 것이다. 이러한 기대에는 두 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높은 원추형으로 상단에 얕은 사발을 올려놓은 것 같은 형태이고, 또 하나는 큼직한 원추형태 위에 넓고 깊은 용기를 얹은 형식이다.
(6) 단경호
단경호는 김해식 토기에서부터 시작된 것으로서 백제 때 널리 퍼진 기형이다. 둥근 몸체에 목이 짧고 아가리가 넓은 토기로 표면에 무늬가 없는 것도 있으나 김해식 토기와 같이 전신에 타형 무늬가 시문된 것이 많다. 아가리 끝이 V자형으로 된 것, 수평으로 바라진 것, 짧게 직립한 것 등이 있다.
(7) 대옹
신라 지방이나 가야 지방을 막론하고 널리 분포되어 있는데, 백제의 대옹과 같이 정교한 문양은 없으나, 성형할 때 두들긴 자국이 남아 있다. 백제 것에 비하면 목이 길고 아가리가 수평으로 바라진 것이 많다.
(8) 이형 토기
이형 토기는 용기로서의 형태를 벗어난 것이며, 주로 일상생활에 필요 불가결한 가옥 · 배 · 수레 등으로 사람과 친근한 동물들의 형상을 축소하여 만든 일종의 명기를 말한다.
(기마 인물상 토기, 마형 토기, 오리형 토기, 차형 토기, 주형 토기, 가형 토기)
(9) 토우
토우는 용기로서의 기능이 전혀 없으며 원래는 고배 뚜껑이나 장경호 등에 부착되어 있는 소형의 조각물들을 말한다. 작은 것은 트기가 2-3cm에 불과하므로 정교한 조각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약간 유치하게 보인다. 그러나 이것은 신라 사람들의 정신적인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임에는 틀림없다.
(10) 적색 조질 토기
이 토기는 낙동강 서안의 가야 지방에서 특히 많이 출토되는데, 낮은 온도에서 구워졌기 때문에, 흡수성이 많고 색깔은 적색 · 감색 · 갈색 등 다양하다. 표면에는 승석문이 있는 것이 많으며, 쇠뿔형 손잡이가 달린 것도 있다. 이 토기는 무문 토기의 전총을 이어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통일신라 토기
(1) 고분 출토 토기
통일신라시대의 고분은 주로 경주시 서쪽 충효동일대에 많이 밀집되어 있다.
고배의 대가 짧으며, 구멍도 아주 작고 뚜껑의 꼭지가 보주형으로 변해 있고 문양은 원이나 삼각형의 무늬가 많다. 그리고 뚜껑이 있는 합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것들의 바닥에는 놓은 굽이 달려 있다.
장경호도 목이 짧아지고 받침 역시 아주 낮아져서 굽을 연상케 한다.
(2) 골호
골호의 기본적인 형태는 뚜껑이 있는 합이나 항아리인데, 때로는 병이나 고배 등도 있다.
뚜껑이 있는 합에는 작은 것도 있으나, 직경이 30cm이상이 되는 대형도 있다. 어떤 것은 뚜껑 아랫부분과 몸집 윗부분에 구멍이 뚫려 있는 4개의 꼭지를 붙여서 뚜껑을 봉하게 만든 것도 있다.
골호의 문양은 대게 압인문인데, 간혹 선문도 있다. 국립 중앙 박물관에 소장된 골호에는 뚜껑의 형태가 인도 산치탑과 같은 모양을 하고 있으며, 인화문 대신에 직각으로 4등분하여 폭 2cm정도의 계단을 각선으로 그린 것이 있었다.
(3) 유약 토기
삼국시대 고분에서도 유약을 바른 토기가 출토된 예는 있으나, 이것은 모두 중국에서 만들어진 것들이나, 통일신라시대에 있어서도 유약 토기가 만들어지기 시작하였다.
이때 사용한 유약은 연유 이다. 연유는 연단과 석영을 3대 1의 비율로 섞어서 사용한 것이며, 낮은 온도에서 용해되어 녹색이나 황녹색을 나타낸다. 그렇기 때문에 유약 토기는 액체로 유약을 바르지 않은 토기보다 연질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9.05.18
  • 저작시기200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60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