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천황][일본 천황제][일본 상징천황제][천황대제]일본 천황(천황제) 관련 신화, 일본 천황(천황제)의 역사, 일본 천황(천황제)의 성격, 일본 천황(천황제)의 통치구조, 일본 상징천황제의 현대적 의미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 천황][일본 천황제][일본 상징천황제][천황대제]일본 천황(천황제) 관련 신화, 일본 천황(천황제)의 역사, 일본 천황(천황제)의 성격, 일본 천황(천황제)의 통치구조, 일본 상징천황제의 현대적 의미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천황(천황제) 관련 신화

Ⅲ. 천황(천황제)의 역사

Ⅳ. 천황(천황제)의 성격

Ⅴ. 천황(천황제)의 통치구조
1. 명치헌법과 황실전범
2. 교육칙어와 지배이데올로기의 체계화

Ⅵ. 상징천황제의 현대적 의미
1. 상징 천황제란
2. 현재의 일본 상징천황제
1) 신보수주의의 확대와 총 보수화
2) 신보수주의의 이념과 상징천황제
3) 상징천황제의 강화와 헌법개정 가능성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 위한 것만이 아니라, 일본인의 사상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빈림정부 1989, 51­61). 우선, 천황제가 내포하고 있는 부관용의 사상이나 차별의 사상은 천황을 중심으로 국민을 사상적으로 통합하여 일본 단일민족을 구성하고, 여기에 따르지 않는 자는 사회적·국가적으로 허용하지 않고 엄격히 배제하는 한편, 일본민족의 우수성을 바탕으로 다른 민족을 차별하는 것을 의미하며, 결국 이는 일본의 대외적 팽창의 중요한 사상적 기반을 제공한다. 또한, 천황제에 내포된 비합리주의 사상이나 무책임의 체계는 천황제에 대한 과학적 분석이나 언론의 보도를 방해하고, 전후의 전범재판 과정에서 나타났듯이 모든 책임을 \'천황의 명령에 대한 복종\'이라는 말로 회피하려는 무책임의 체계를 만들어 냈다. 이와 같은 천황제 이데올로기가 확대된다거나 극우세력에 의해 이용된다는 것은 일본의 미래행동에 대한 합리적 예측을 어렵게 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일본 보수지배세력이 신국가주의를 추진하면서 천황이라는 상징을 이용하는 현상은 타가와겐지(田川建三)의 [부의 종교의식]에 의해 잘 설명되어질 수 있다. [부의 종교의식]이란 평상시에는 종교 등에 무관심하지만 이러한 의식이 잠재적으로 내재해 오다가 어떤 사정이 생기면 다시 적극적으로 되는 정신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일본인의 경우 평소에는 적극적으로 종교를 믿는 자가 드물지만 어떠한 필요에 의해 이러한 의식이 촉발되면 무서운 기세로 이를 통한 통합이 가속화되는 진기한 특징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전천건삼 1987, 208).
3) 상징천황제의 강화와 헌법개정 가능성
냉전체제 붕괴에 따른 국내 국내정치의 총 보수화 경향과 극우세력의 세력확대는 천황의 지위격상을 위한 일련의 노력들로 연결되어 나타난다. 자민당내의 극우성향의 정치인, 보수적인 학자와 지식인, 우익단체 그리고 재계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천황의 지위를 규정한 일본헌법 제 1 조의 개정에 관한 논의는 그 대표적인 경우라고 할 수 있다. 헌법개정을 추진하기 위해 자민당 정부에 의해 마련된 [헌법조사회]의 답신은 천황의 지위 격상을 위한 개헌 논의와 관련하여 천황에게 일본의 대표성을 부여하거나 일본국의 원수로서의 지위를 헌법상 명문화하려는 견해를 나타내고 있으며, 비록 소수이기는 하지만 천황에게 국가긴급권의 발동 등을 포함한 정치적 권위를 부여하자는 운동도 전개되고 있다(소림직수 1987, 168­169).
이 외에도 천황제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려는 신 국가주의자들의 노력들은 1980년대 중반 이후 본격화되고 있다. 대표적인 몇 가지 예를 살펴보면, 우선 황국사관을 강조하는 교과서 개정을 들 수 있다. 앞에서 살펴본 극우단체의 하나인 [일본을 지키는 국민회의]는 민간 주도로 황국사관을 주장하는 교과서 개정작업에 착수하여 신편일본사를 집필하였는데 이는 1986년 7월에 문부성의 검정에 통과하여 교육되어지고 있다. 그런데 그 내용 가운데 1946년 1월 1일 발표된 천황의 조서가 천황의 \'인간선언\'이라는 부분이 집필진의 완강한 거부로 삭제되어 있었다(이병승 1992, 213­214). 다음으로 황실행사의 범국가적 집행이나 정부 각료들의 신사참배를 지적할 수 있다. 1989년 1월 7일 옛 천황이 죽고 새로운 천황이 즉위하는 이른바 X­day를 맞아 일본정부는 헌법이 규정하는 \'주권재민\'이나 \'정교분리\'의 원칙을 벗어나 공적인 황실행사라는 이유로 123억 엔이라는 거액을 들여 다이조사이(大賞祭)를 감행했다(이병승 1992, 217­218). 정부 각료들의 神社참배는 1983년 나카소네 수상의 야쓰쿠니 진쟈(靖國神社) 참배 이후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으며, 全각료의 야쓰쿠니 진쟈 참배에 동의한 자민당 내의 중·참의원의 수만 해도 300여명에 이를 정도다(신희석 1991, 242). 그 외에 일본 정부 각료나 정치인들에 의한 천황제 강화 발언들을 지적할 수 있다. 1985년 7월 27일 나카소네 수상이 \'카루이자와(輕井澤)세미나\'에서 [일본의 새로운 주체성]이라는 보고를 통해 \"자연공동체­만세일계의 천황제 라는 방향으로 일본국을 정립한다\"는 요지의 소신을 피력한 것을 비롯해 1989년 히로히토 천황의 죽음을 맞이하여 발표된 다케시다(죽하)수상의 담화에는 \'히로히토의 영단\'에 의해 종전이 이루어 졌다는 내용이 담겨져 있으며, 그 밖에도 다케시다 내각의 국토청 장관 오쿠노(奧野誠亮)의 \'공무원의 神社참배 금지를 비판하는 발언\' 등 천황제의 위상 강화를 주장하는 일본각료들의 발언은 끊이지 않고 있다. 이상과 같은 노력들은 냉전적 사고가 붕괴된 1990년대 이후에 와서 국제사회에서의 일본의 위상이 강화되면서 한층 그 폭과 깊이를 더해가고 있다.
이와 함께 히노마루(日ノ丸)나 키미가요(君が代)와 같은 또 다른 상징을 통한 신국가주의 사조의 강화도 천황제의 강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1987년 8월 일본 문부성은 [신학습지도요령]을 발표하여 전국 공립 초·중·고교의 입학식과 졸업식 때 히노마루를 게양하고 키미가요를 부르도록 하여 그 해 말까지 거의 모든 학교에서 이를 시행했다(이병승 1992, 211). 어느 국가든지 자신의 국기와 국가를 갖는 것은 당연하다고 하겠으나, 일본의 경우 전전 군국주의의 상징이던 히노마루와 천황을 숭배하는 내용이 담긴 키미가요를 부활시켜 교육과정을 통해 확산시켜 나감으로써 천황제의 강화와 신국가주의 의식을 확산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이는 중요한 의미를 지닐 수 있다. 이러한 천황제의 강화를 위한 노력들이나 이를 통한 신국가주의 사조의 확산은 냉전후의 세계질서 재편과 관련하여 일본이 군사대국화나 패권질서의 추구의 길로 나아갈 지도 모른다는 주변국들의 우려와 경계심의 중요한 근거가 되고 있다.
참고문헌
박웅진, 점령관리와 천황제 파시즘, 미국의 초기대일점령정책, 형설출판사, 1986
이노우에 키요시, 일본인이 쓴 일본의 역사, 대광서림, 1995
사이카와마코토, 천황을 알면 일본이 보인다, 다락원
스즈키마사유키, 류고열 역, 근대일본의 천황제, 이산출판사
사이카와 마코토, 조양욱 역, 천황을 알면 일본이 보인다, 다락원, 2001
촌상중량, 천황과 천황제, 한원, 1989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9.07.1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49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