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권자]유권자(선거인, 선거권자)의 정보원과 정치참여, 유권자(선거인, 선거권자)에 대한 TV의 영향, 유권자(선거인, 선거권자)에 대한 신문의 영향, 유권자(선거인, 선거권자)에 대한 인터넷의 영향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권자]유권자(선거인, 선거권자)의 정보원과 정치참여, 유권자(선거인, 선거권자)에 대한 TV의 영향, 유권자(선거인, 선거권자)에 대한 신문의 영향, 유권자(선거인, 선거권자)에 대한 인터넷의 영향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유권자(선거인, 선거권자)의 정보원
1. 미디어 이용
2. 미디어 평가
3. 영향력에 대한 인식
4. 인터넷 등장에 대한 문제

Ⅲ. 유권자(선거인, 선거권자)의 정치참여

Ⅳ. 유권자(선거인, 선거권자)에 대한 TV의 영향
1. 투표 참가여부의 변화
2. 투표대상의 변화(전이)
3. 후보자에 대한 지지도의 변화, 구체화(crystalization), 동요(wavering)
4. 지지정당의 변화
5. 정치지식에의 변화
6. 정치에 대한 흥미의 변화
7. 정치성향의 변화

Ⅴ. 유권자(선거인, 선거권자)에 대한 신문의 영향

Ⅵ. 유권자(선거인, 선거권자)에 대한 인터넷의 영향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포함한 온라인 테크놀러지 이용은 정치적 지식수준과 긍정적 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Althaus와 Tewksbury는 또한 정치지식 수준이 높을수록 인터넷 이용도가 높다고 주장했다. 물론 이 같은 상관관계와 관련해서는 인터넷 뉴스 원 이용자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신문이나 텔레비전 뉴스를 더 빈번하게 이용한다는 사실과도 관련 있을 수 있다(Pew Research Center).
비교적 많은 학자들이 인터넷 이용자들은 정치적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밝혔다(참고, Bucy, D\'Angelo, & Newhagen, 1997; Bonchek, Hurwitz, & Mallery, 1996; Johnson & Kay, 1998). 아마도 인터넷 매체는 정치에 대한 공중의 관심을 촉발시키는 기능을 하기 때문일 것이다(Davis). Johnson과 Kaye에 따르면 정치 정보를 얻기 위한 웹 의존도와 정치사이트 이용에 소요한 시간 등의 변인은 이용자의 높은 정치적 관심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Johnson과 동료들에 따르면 인터넷 이용자들의 약 90%가 전반적 정치에 매우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80% 이상은 1996년의 미국 대통령선거 캠페인에 매우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인터넷 매체는 ‘제3당 후보’와 같은 무명 정치인이 저 비용으로 유권자들에게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기능을 하며, 이는 곧 선거 경쟁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경쟁력 있는 후보군의 증가는 정치과정에 대한 유권자들의 관심을 증폭시킬 수 있다(Corrado).
또한 많은 학자들은 인터넷 이용은 더 많은 정치활동 참여로 연결된다고 주장한다. 인터넷 이용자들의 투표율은 비 이용자들보다 높은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인터넷의 선거 뉴스 이용자의 약 43%가 인터넷은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자신들의 투표행위에 영향을 미쳤다고 응답했는데 이는 대선 때의 31%보다 크게 증가한 비율이다(Pew Research Center). 특히, 온라인에 의한 선거 뉴스는 젊은 층과 교육 수준이 높은 남성 유권자들의 투표행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의 대선에서 8백50만 명의 유권자가 후보를 선택하는데 있어 인터넷의 영향을 받았으며 젊을수록, 그리고 교육을 많이 받은 남성일수록 가장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고됐다(Winston). 미국의 대선에서 30세 이하 유권자들 중, 온라인 선거 뉴스 이용자들의 약 절반 정도가 특정 후보에 찬성 혹은 반대표를 던지는데 있어 온라인 정보의 영향을 받았다고 밝혔다(Pew Research Center). Pew Research Center 조사에 따르면 대선 캠페인의 막바지 단계 동안, 여성 인터넷 이용자 보다는 남성 인터넷 이용자가 더 적극적으로 인터넷으로부터 정치뉴스를 얻었으며 부유층 이용자가 상대적으로 그렇지 못한 이용자보다 더 적극적으로 정치 뉴스를 얻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Ⅶ. 결론
미래에는 지금과 같은 방식의 대중매체를 넘어서 더욱 발전된 형태로 나아갈 것이다. 만일 미래에 비디오텍스와 같은 수단을 이용해 투표하게 된다면 (여기에는 많은 문제가 있지만 논자는 결국 그렇게 되리라고 믿는다.) 유권자들은 매스미디어에 대한 정보 의존이 더욱 커질 것이며 그 정치적 효과도 더욱 증대할 것이다. 현실성이 부족한 비디오텍스에 의한 투표 등은 좀 더 먼 미래의 것으로 하더라도 오늘날과 같은 눈부신 기술의 발전은 새로운 형태의 매스커뮤니케이션을 발달시키면서 자리잡을 것이다. 만일 그러한 때에 새로운 매스미디어 체계를 특정 상업자본이나 정치 권력자가 지배하게 된다면, 아마도 비극적인 결과가 초래될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의 매스커뮤니케이션의 정치적 효과에 대한 연구와 이해는 좀더 비판적인 안목을 필요로 할 것이다.
참고문헌
곽인숙(2001) - TV 노출이 투표행위에 미친 영향: 15대 대선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양승찬(1997) - 미디어 정치시대 선거보도, 서울 : 한국언론연구원
안광식(1994) - 한국 언론이 대통령 선거 때 유권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한국문화연구원논총
이준웅(1998) - 후보 이미지의 정치적 영향력에 대한 사회인지론적 설명, 한국언론학보, 한국언론학회
이효성(2003) - 대중매체와 인터넷 이용이 16대 대선관심과 후보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 한 고찰, 그 빛과 그림자, 매체선거 단행본
한국언론연구원(1988) - 선거와 언론-제3회 미디어의 영향과 신뢰도 조사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7.1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57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