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식문화][의복문화][복식][의복][백제][고려][조선][효명세자][대원군]백제시대 복식문화(의복문화), 고려시대 복식문화(의복문화), 조선시대 복식문화(의복문화)와 효명세자 복식(의복), 대원군 복식(의복)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복식문화][의복문화][복식][의복][백제][고려][조선][효명세자][대원군]백제시대 복식문화(의복문화), 고려시대 복식문화(의복문화), 조선시대 복식문화(의복문화)와 효명세자 복식(의복), 대원군 복식(의복)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백제시대의 복식문화(의복문화)
1. 상의
1) 포
2) 유
2. 하의
1) 고
2) 상

Ⅲ. 고려시대의 복식문화(의복문화)
1. 왕복
1) 제복(祭服)[면복: 冕服]
2) 조복(朝服)
3) 공복(公服)
4) 연복(練服)
2. 백관복
1) 제복 (祭服)
2) 조복 (朝服)
3) 공복(公服)
4) 상복(常服)
3. 여자복식
1) 귀부녀복
2) 민서여복

Ⅳ. 조선시대의 복식문화(의복문화)

Ⅴ. 효명세자의 복식(의복)
1. 책례시 복식
2. 관례시 복식
3. 왕세자의 의장
1) 국조오례의의 의장
2) 책례시 의장
3) 관례시 의장

Ⅵ. 대원군의 복식(의복)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립과 1개가 오른쪽에 있으며 다음은 모절 2개가 좌우로 나뉘고 정 2개가 좌우로 나뉘며 다음은 작선 4개가 좌우로 나뉘고, 청개 2개가 가운데 있어 좌우로 나뉜다.(각각 1인이 잡으며 청의에 조건을 착용하는데 산과 청선을 잡는 사람도 이와 같다.) 사벽 16인이 상복을 갖추고, 오장을 쥐고 좌우로 나뉘어 서며 별감은 10인이 모두 흑의에 조건을 쓰고 가운데 있어 좌우로 나뉘며, 청양산 1개가 가운데 있다.(충찬위 16인이 상복을 갖추고 걸어서 따른다.) 상마대가 이를 따른다. (1인이 끄는데 청의에 흑립을 쓴다.) 왕세자의 연이 가고 (봉담 60인이 청의에 조건을 쓰고, 학창을 입고 홍대를 매고 청행등에 운혜를 신는다.) 청선 2개가 가운데 있어 좌우로 나뉘며 다음은 사복사의 관원 4인과 시종관이 (좌우의 익위는 칼을 차고, 좌우의 사어는 궁시를 지닌다.) 좌우에서 협시를 하고 의대를 받든 충찬위가 이를 따르며 시강원과 익위사의 관원이 모두 상복을 갖추고 횡행하며 시위를 한다.
2) 책례시 의장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에 나타난 반차도에는 홍개 2개가 좌우로 나뉘어 있고 그 뒤로 백택기, 삼각기, 각단기, 벽봉기, 주작기, 은등자, 금등자, 은립과, 금횡과, 은횡과, 금월부, 작선, 봉선, 흑개 2개씩이 좌우로 나뉘어 있다. 청선 2개가 중앙에 있고 그 뒤로 기린기, 백택기 2개가 좌우로 나뉘어 있으며 그 뒤에는 왼쪽으로 현학기가 오른쪽으로 백학기가 있으며 왼쪽으로 표골타가, 오른쪽으로 웅골타가 있으며 영자기 2개가 좌우로 나뉘어 있다. 그 뒤로 은등자, 금등자 2개가 좌우로 나뉘어 있으며 왼쪽에 은장도가 오른쪽에 금장도가 있으며 왼쪽에 은립과, 오른쪽에 금립과가 있고 모절 2개가 좌우로 나뉘어 있으며 정이 좌우로 나뉘어 있다. 가운데로 금과 고가 있으며 그 뒤를 가구선인기와 청개 2개씩이 중앙에 있다. 작선 4개가 좌우로 또한 나뉘어 있다.
3) 관례시 의장
『관례책저도감의궤(순조)』의 관례도에 나타난 의장을 보면, 중앙에 일산과 양산이 있으며 그 뒤를 청선 2개가 있다. 인마, 평교자, 연여가 중앙에 있으며 그 옆으로 청개가 좌우로 금이 왼쪽에 고가 오른쪽에 있으며 궐달마와 가구선인기가 좌우로 나뉘어 있다. 그 좌우로 월도가 2개, 오장 16개, 작선 4개, 정 2개, 모절 2개가 좌우로 나뉘어 있다. 그 뒤를 왼쪽에 은립과, 금장도, 오른쪽에 금립과, 은장도가 각1개씩 있으며 은등 2개, 금등 2개, 영자기 2개가 좌우로 나뉘어 있다. 그 뒤를 왼쪽에 웅골타, 오른쪽에 표골타가 있으며 왼쪽에 백학기, 오른쪽에 현학기가 있고 백택기 2개, 기린기 2개가 좌우로 나뉘어 있다. 그 뒤로는 내금위 30인이 좌우로 나뉘어 있다.
Ⅵ. 대원군의 복식(의복)
고종명성후 가례시 고종의 부모인 대원군과 부대부인 민씨는 비부모의 역할을 하였다. 비부의 역할을 한 대원군은 납채, 납징, 책비, 고기시에는 공복을 입었는데 친영시에는 종친과 4품 이상 문무백관, 또한 도제조, 각차비 등과 마찬가지로 조복을 입었다. 조복은 문무백관이 대축원단동지조칙을 반포할 때와 진표할 때 입었으며 가례시에는 친영의에 비부와 종친문무백관 사품 이상이 입는 예복이다. 경국대전에 나타난 조복의 구성을 보면 금관적초의적초상백초중단적초폐슬대대패옥수말규홀로 되어 있다. 이렇게 국초에 제정된 조복의 규정은 국말까지 그대로 지켜져 왔다. 조선시대는 관료제도가 잘 정비된 유교적 법치국가로 조복에서 금관의 양수와 후수의 문양으로 관등의 차를 엄격히 구별하였다.
국말 조복의 정확한 차림은 대원군의 초상화에 잘 나타나 있다. 양관은 세종실록 예복도설에 나와 있는 것보다 무가 낮아지고 있고 복은 적고리, 파지, 두루마기를 입고 그 위에 답호를 입었으며, 다시 그 위에는 청삼을 입었는데, 이 청삼은 고종대에 와서 백초중단이 청초중단으로 바뀐 것으로서 깃도련수구에 흑선을 두른 것이었으며, 그 위에 상을 입었다. 그리고 청초중단에는 깃도련수구에 흑선을 두르면서 사이에 가는 백선이 둘러져 있는 적초의를 입었다. 폐슬은 원래는 별개의 것이었으나 후세에 와서 홍삼에 아주 꿰맸고 후수는 홍삼위에 뒤에 찼다. 그리고 흑피화를 신었다.
Ⅶ. 결론
조선말 우리나라의 시작은 안팎으로 혼란기를 겪게 되었다. 1864년 철종의 뒤를 이어 12세의 어린 고종이 즉위하자 국왕의 부친으로서 실권을 잡은 대원군은 안으로는 개혁정치를 단행했으며 밖으로는 쇄국주의를 실행하였으나 집권 10년만에 반대 세력에 의해 축출당하고 조선은 개국주의를 채택 서양 여러 나라와 통상을 시작하였고 1894년 갑오병장을 계기로 근대화의 일대전환기가 되었다. 복식은 서구문명의 접촉으로 첫 번째 개혁이 있은 것은 관복이었다. 여성들의 복장에 있어서도 커다란 변혁을 가져왔는데 이시기 계급타파와 더불어 신분의 구별없이 착용하게 되었고 예복으로는 왕비의 적의를 비롯하여 활옷, 원삼, 당의와 스란치마, 대란치마 무지기, 대슘이 있는데 한일합방과 더불어 왕비의 법복의 적의가 사라졌으며 관혼상제에 쓰이는 예복의 경우는 계속 사용되었다. 여성들의 일반복장의 종류로는 저고리, 치마, 속적삼, 바지, 속속곳, 다리속곳, 너른바지, 배자, 갓저고리, 버선, 두루마기, 마고자, 토시, 허리띠 등이 상하의의 기본구조이며 외출시에는 반드시 쓰게치마와 장옷으로 얼굴을 가렸다. 짧은 저고리는 조선후기에 나타난 것으로 겨드랑이 밑 길이가 거의 없어 배래선과 직선을 이루었고 개화기 기독교 전도부인들은 서양인 선교사의 영향으로 저고리 길이가 길어지기 시작했고 긴치마는 짧게하여 단색으로 저고리를 만들어서 입었다, 우리나라 여자복식에 있어 양장의 시작은 1899년 윤치오가 외국생활에서 돌아온 후 그 부인 윤고라가 양장착용을 한 것이 그 효시이다. 그 후 물결로 여자의 양장은 자연스럽게 유행 변화하였다.
참고문헌
◇ 유송옥·이은영·황선진, 복식문화, 교문사, 1996
◇ 유송옥, 한국복식사, 수학사, 1998,
◇ 유희경·김문자, 한국복식문화사, 교문사, 2001
◇ 이영화, 조선시대 조선사람들, 가람기획, 1998
◇ 조규화, 복식사전, 경춘사, 1995
◇ 조효순, 한국 복식 풍속사 연구, 일지사, 1988

추천자료

  • 가격6,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9.07.2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62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