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가격결정][자산의 가격결정거래모형][자산의 가격결정모형]자산의 가격결정 요인, 자산의 가격결정 위험과 수익률, 자산의 가격결정 필요성, 자산의 가격결정거래모형, 새로운 자산의 가격결정모형 심층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산][가격결정][자산의 가격결정거래모형][자산의 가격결정모형]자산의 가격결정 요인, 자산의 가격결정 위험과 수익률, 자산의 가격결정 필요성, 자산의 가격결정거래모형, 새로운 자산의 가격결정모형 심층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자산의 가격결정 요인

Ⅲ. 자산의 가격결정 위험과 수익률

Ⅳ. 자산의 가격결정 필요성

Ⅴ. 자산의 가격결정거래모형

Ⅵ. 새로운 자산의 가격결정모형
1. 주식수익률 변동성의 결정요인
2. 습관의 형성(Habit formation)
3. 행동재무학(Behavioural Finance)
1) 전망이론(prospect theory)
2) 비합리적 기대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적 기대와 연결되어져야 한다.
일반균형하에서 비합리성이 자산가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보기 위해 소비의 로그값이 편류(drift)를 갖는 무작위 보행(random walk)을 따른다고 가정해보자. 투자자들은 소비가 무작위 보행임을 이해하고는 있으나 그것의 편류는 과소평가하고 있다. 이러한 비합리적 비관주의는 무위험이자율을 낮추고 주식수익률 프리미엄을 증가시켜, 마치 낮은 시차선호율과 높은 위험회피계수가 자산가격에 미치는 영향과 동일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비합리적 비관주의는 risk-free rate puzzle과 equity premium puzzle을 둘 다 설명해 주는 좋은 근거가 된다.
Ⅶ. 결론
지난 20년간 자산가격결정에 관한 연구도 다른 과학적 연구와 마찬가지로 이론과 실증사이의 상호작용하에 이루어졌다. 이론 연구가들은 검증가능한 예측을 바탕으로 모형 구축을 시도하였고 실증연구가들은 모형에 맞지 않는 사실들을 정형화하여 새로운 의문점(puzzle)으로 제시하여 다음 연구의 시발점이 되게하였다. 주식수익률의 횡단면적 구조를 가장 잘 설명해주는 CAPM도 실증상 여러 가지 이상현상이 발견되었으며 이를 규명하기 위한 새로운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Banz(1981)는 체계적 위험이 같더라도 규모가 작은 기업의 주식이 규모가 큰 기업의 주식보다 평균적으로 더 높은 초과수익을 실현하는 규모효과(size effect)가 있다고 주장하였으며, Basu(1983), Fama-French(1992)등은 체계적위험이 아니더라도 각종 회계적 측정치와 주식 시장가치 등의 비율로서 주식수익률의 예측이 가능하다고 보았으며, Jegadeesh-Titman(1993)은 과거 312개월동안 높은 수익을 실현해 온 주식들은 앞으로도 계속 시장수익률을 상회하는 실적을 나타낼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특히 Fama-French(1992)는 Fama-MacBeth(1973)의 정태적CAPM 검증모형에 베타이외의 기업규모 등 다른 변수를 모형에 첨가하여 실증연구를 한 결과 기대수익률과 베타와의 관계는 기울기가 (+)인 선형관계가 아니라 수평관계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그러나 이 결과는 정태적 또는 무조건부 CAPM이 성립되지 않는다는 증거를 보인것이지 조건부 CAPM마저 성립되지 않는다는 증거를 보인 것은 아니다. 또 기존의 CAPM 실증연구에서 시장 포트폴리오 수익률의 대용치로 사용되어 온 종합주가지수 수익률은 Roll(1977)의 지적대로 총체적 부의 수익률에 대한 대용치로 부적합하므로 Jagannathan-Wang(1996)은 인적자본(human capital)에 초점을 맞추고 노동소득의 성장이 인적자본 수익률에 대한 좋은 대용치이므로 이를 부의 구성요소에 포함시키게 되면 CAPM에 대한 이상 현상은 줄어들 수 있다고 주장했다. Lakonishok-Shleifer-Vishny(1994)는 이상현상이 발생하는 근본원인은 투자자들의 예측을 비이성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심리적 편차가 지속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모형의 구축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최근 자산가격결정이론의 전개상 가장 두드러지는 의문점은 Mehra-Prescott(1985)와 Weil(1989)이 각각 주장한 주식수익률 프리미엄 퍼즐(equity premium puzzle)과 무위험 이자율 퍼즐(risk-free rate puzzle)이다. 그들은 지난 50년간 미국시장에서 주식과 단기국채(T-bill)의 수익률을 조사해 본 결과 놀랍게도 주식의 평균수익률은 8.1%인 반면 국채의 평균수익률은 0.9%에 불과했다. 또 주식수익률의 변동성(relatility)은 15.6%인데 반해 국채의 변동성은 1.8%에 불과했다. 과거 주식의 평균수익률이 단기국채의 수익률에 비해 왜 그렇게 높을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은 Mehra-Prescott의 주식수익률프레미엄 퍼즐로 정형화되었으며, 주식수익률의 변동성이 단기국채수익률의 변동성에 비해 왜 그렇게 높은가 하는 의문점은 Shiller(1981)에 의해 주식수익률변동성 퍼즐(equity volatility puzzle)로 명명되었다. Weil(1989)은 동일한 미국시장 자료로 검증한 결과 역사적 소비성장율이 약 2% 수준인 점을 고려할 때 무위험이자율 1%는 비정상적으로 낮은 수준이라는 것을 발견하고 이를 무위험이자율 퍼즐이라고 불렀다.
이러한 퍼즐현상에 대한 해명은 확률적할인요소(stochastic discount factor:이하 SDF로 표기)를 이용한 새로운 자산가격결정모형을 이용하여 시도되고 있다. 자본시장에 차익거래 기회가 존재하지 않으면 SDF를 이용한 자산가격결정 모형의 수립이 가능하다. 자산의 시장가격과 미래성과(payoff)와의 관계를 설명해 주는 SDF는 Arrow-Debreu의 일반균형 모형의 틀 하에서 이해될 수 있다. 일정시점에서 각 상태에 해당하는 상태가격(state price)이 존재하게 되고, 금융자산의 가격은 이 상태가격으로 가중된 가능한 미래성과의 합으로 표시될 수 있다. 완성시장(complete market)의 가정하에서는 유일한 SDF가 존재하게 되며, SDF가 어떤 공통요인들의 집합과 선형관계를 이룬다면 자산가격은 선형요인모형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SDF를 이용한 자산가격 결정 모형하에서 앞에서 제기한 세가지 퍼즐들이 어떻게 해결되고 있으며, 그 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자산가격결정모형의 새로운 연구동향에 대하여 개관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 구본열(1995), 자산가격결정의 Latent Variable모형에 의한 실증적 검정
· 감형규(1991), 주식의 가격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재무관리연구
· 김동순(2005), 국제자본시장에서의 가격결정에 관한 연구, 한국금융연구원
· 남주하·이주희(1995), 자본자산가격결정모형의 조건부공분산과 위험에 대한 보상비율의 시간에 대한 가변성여부 검증, 재무연구
· 노택선·신중렬(2005), 통계와 함께 배우는 경제학, 도서출판 해남
· 맨큐, 김경환·김종석 역(1999), 맨큐의 경제학, 교보문구
서기원 외 4명(2000), 경제학설사, 문영사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08.2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06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