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어휘][기본어휘][한국어][일본어][영어][중국어]한국어의 기초어휘(기본어휘)와 영어의 기초어휘(기본어휘) 및 일본어의 기초어휘(기본어휘) 그리고 중국어의 기초어휘(기본어휘)에 관한 분석(기초어휘, 기본어휘, 어휘)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초어휘][기본어휘][한국어][일본어][영어][중국어]한국어의 기초어휘(기본어휘)와 영어의 기초어휘(기본어휘) 및 일본어의 기초어휘(기본어휘) 그리고 중국어의 기초어휘(기본어휘)에 관한 분석(기초어휘, 기본어휘, 어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한국어의 기초어휘(기본어휘)
1. 기초어휘의 개념
2. 기초어휘의 선정기준
1) 의미영역
2) 어휘 구조의 체계

Ⅲ. 영어의 기초어휘(기본어휘)
1. 기초 영어(Basic English)
2. 핵심 어휘(Core Vocabulary)
3. 정의 어휘(A Defining Vocabulary)

Ⅳ. 일본어의 기초어휘(기본어휘)
1. 기초어휘의 개념
2. 기초어휘의 성격
3. 금후의 과제

Ⅴ. 중국어의 기초어휘(기본어휘)
1. 중국어 기초어휘 연구사 개관
2. 중국어 기초어휘의 특징과 범위
3. 기초어휘와 일반어휘 및 상용어휘와의 관계
4. 중국에서의 어휘 교육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1992년 중국의 국가교육위원회가 반포한 『九年制義務敎育全日制小學語文敎育大綱』(시험용)에 의하면 소학교 단계에 상용한자 2,500자를 습득하도록 규정하였다. 그리고 2000년 3월에 반포한 본 『大綱』의 수정본에서는 6년제 소학교 단계에 상용한자 3,000자를 익히되 2,500자 정도는 쓸 줄도 알고 구체적인 언어환경에서 사용되는 의미도 파악하여야 한다고 규정하였다. 중국의 조기 언어교육과 관련하여 중소학교 어문교육대강에는 어휘습득에 대한 구체적인 요구를 제시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소학교와 중학교들에서 실제로 실시하고 있는 교육 실태를 살펴보면 각기 상용어휘 3,000개 내지 8,000개 정도를 교육목표로 설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성인을 상대로 한 언어교육과 대외한어교육에 있어서는 어휘습득에 대한 단계별 요구를 다음과 같이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상용어휘 1,000개를 습득하는 단계에는 모든 단어에 대하여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등 4가지 사용법을 습득하도록 한다. 상용어휘 3,000개를 습득하는 단계에는 그 중 1,000개의 단어에 대하여 4가지 사용법을 습득하도록 한다. 상용어휘 5,000개를 습득하는 단계에는 그중 3,000개 단어에 대하여 4가지 사용법을 습득하도록 한다. 상용어휘 8,000개를 습득하는 단계에는 그중 5,000개 단어에 대하여 4가지 사용법을 습득하도록 한다.
그리고 한자의 요소를 고려한, 보다 구체적으로 요구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갑급과 을급 두 단계의 상용어휘 3,000개를 습득하는 단계에서, 상용한자 2,500자에 속하는 어휘에 한해서는 4가지 사용법을 모두 습득하도록 요구하고, 상용한자 2,500자준상용자 3,500자에 속하는 어휘에 대해서는 3가지 사용법만 습득하도록 한다. 병급 준상용어휘 2,000개 정도에 대해서는 상용한자 2,500자에 속하는 것은 4가지 사용법을 모두 습득하도록 하고 그 외의 한자에 속하는 것은 3가지 내지는 2가지 사용법만 습득하도록 한다. 정급 통용어휘 3,000개에 대해서는 상용한자 2,500자에 속하는 것은 4가지 사용법을 모두 습득하도록 하고 상용한자 2,500자준상용한자 3,500자에 속하는 것은 3가지 내지는 2가지 사용법만 습득하도록 한다. 그리고 그 외의 한자에 속하는 어휘에 한해서는 읽기 한 가지 사용법만 습득하도록 한다.(劉英林 외:2001; 29)
Ⅵ. 결론
Krashen(1981, 1982)은 그의 언어 습득 이론(a language acquisition theory)에서 외국어를 익히는 방법을 두 가지로 보고 있다. 그 하나는 \'습득(acquisition)\'으로서 마치 어린아이들이 자신들의 모국어를 배우는 것처럼 무의식적으로 일어나는 자연스러운 과정이며, 또 다른 하나는 ‘학습(learning)’으로서 전형적인 교실수업에서 볼 수 있는, 규칙(rules)을 중요시하는 의식적이며 인위적인 과정이다. Krashen에 따르면, ‘학습’을 통해 얻어진 지식은 항상 의식을 통해서만 접근가능한 반면, 무의식적으로 ‘습득’된 지식은 언제든지 필요한 경우에 자연스럽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언어 교수(language teaching)는 ‘학습’이 아닌 ‘습득’을 지향해야 하며, ‘습득’이야말로 말을 틔우고 그 언어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유일한 방법이다. 한편, 의식적으로 배운 지식은, 일단 자연스럽게 ‘습득’된 지식이 산출되었을 때 그 산출물이 제대로 잘 되었는지를 검토하거나 통제하는 단순한 기능밖에는 할 수 없다는 것이다. Krashen(1981)의 관점에서 보면, 어휘는 그 자체를 직접적으로 배우는 것보다 배우고자 하는 어휘들을 포함한 전체적인 문장이나 메세지의 이해를 통해 간접적으로 습득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견해는 언어학자들이나 교육학자들 사이에 많은 토론과 논쟁을 불러일으켰는데, 특히 의식적으로 배워서 많은 연습과 훈련을 통해 그 지식을 숙달시킬 수 있다고 보는 Long(1983)의 견해와는 커다란 차이가 있다. 그러나 Krashen의 주장의 타당성 여부와는 별개로 이와 같은 논의에서 최소한 한 가지 결론을 끌어낼 수 있다. 즉, 어휘 학습은 자발적이고 자동적인 어휘 행위가 일어날 수 있도록, 딱딱한 지식이 아닌, 필요한 상황에서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는 유연한 지식을 얻을 수 있도록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외국어를 어떤 방법으로 가르치는 것이 가장 좋은가에 관해 이론적으로 다양한 견해들이 제기되어 왔다. 그 중에서도 의사소통을 그 궁극적 목표로 하는 방법에서는 어린아이들이 모국어를 습득하는 것과 흡사한 경험을 학습자가 갖도록 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즉, 학습자가 어휘 습득 과정에서 다양하면서도 의미 있는 자극과 피드백을 끊임없이 받아야 하며 ‘어휘에 관해서’가 아니라 ‘어휘 자체’를 배워야 한다는 것이다. Rivers(1981)가 지적하고 있듯이 외국어 학습의 실제는 모국어 습득의 경우에서처럼 의미 있는 자극이 풍요롭지도 자연스럽지도 못하다. 왜냐하면, 모국어의 경우는 다양한 피드백과 격려를 받으며 끊임없이 어휘를 접하지만, 외국어의 경우는 그렇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모국어를 배우는 것은 생존 수단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으나, 외국어의 경우에는 이미 효과적인 의사소통 수단을 갖고 있기 때문에 그다지 동기부여적이라 볼 수 없다. 따라서 외국어 교수 방법은 위와 같이 근본적으로 제한된 외국어 학습 환경을 어떻게 좀더 풍요롭고 자연스러운 것으로 전환시킬 것인가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참고문헌
◇ 금종학(2001), 한국어기초어휘론, 도서출판 박이정
◇ 배대온(1978), 기초어휘에 관한 소고, 논문집, 상지전문대
◇ 박흥수, 현대 중국어 개론, 다락원, 2005,
◇ 서상규·남윤진·진기호(1998), 한국어 교육을 위한 기초어휘 선정, 문화관광부 한국어 세계화 추진 위원회
◇ 이선옥(1988), 중학교 영어교과서의 기본어휘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유영기(1991), 중국어의 어휘구조 연구, 성균관대 중문과 박사논문
◇ 화도충부(1972), 기초어휘 일본어토일본어 교육어휘편, 문화청

키워드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   영어,   어휘
  • 가격5,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9.08.2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06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