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증아동(전반적 발달장애아동) 모방의 의미, 자폐증아동(전반적 발달장애아동) 모방 놀이의 교육자료, 자폐증아동(전반적 발달장애아동) 모방 놀이의 교육활동, 자폐증아동(전반적 발달장애아동)의 음악치료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폐증아동(전반적 발달장애아동) 모방의 의미, 자폐증아동(전반적 발달장애아동) 모방 놀이의 교육자료, 자폐증아동(전반적 발달장애아동) 모방 놀이의 교육활동, 자폐증아동(전반적 발달장애아동)의 음악치료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자폐증아동(전반적 발달장애아동) 모방의 의미
1. 대인관계의 매개체
2. 전언어기의 자아 및 다른 사람에 대한 인식의 측정 방법
3. 다른 사람에 대한 확인과 의사소통

Ⅲ. 자폐증아동(전반적 발달장애아동) 모방 놀이의 교육자료
1. 시각적 변별자료
2. 청각적 변별자료

Ⅳ. 자폐증아동(전반적 발달장애아동) 모방 놀이의 교육활동
1. 아동의 사물 분류 모방놀이와 시각적 변별
1) 아동의 시각적 변별 활동 경과
2) 시각적 변별 모방놀이 결과 예시
2. 소리변별 모방놀이와 청각적 변별 능력
1) 아동의 청각적 변별활동 경과
2) 청각과 시각의 동시 자극과 단일 자극의 비교
3. 소리의 형성과 촉진
1) 발화 입 모양의 모방 형성
2) 아모음 모방 형성

Ⅴ. 자폐증아동(전반적 발달장애아동)의 음악치료
1. 소리와 반응
2. 환경 조성
3. 촉각의 훈련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해 반응을 보이지 않기 위한 방어 수단이다. 많은 자폐아를 교육·교정하는 연구자들이 이들에 관심과 즐거움을 가지고 음악에 접근할 수 있도록 음악의 종류 즉 트럼펫 협주곡, 관악 4중주 그리고 교향곡 같은 것을 사용하여 그 효과를 보아왔다.
2. 환경 조성
어린이들의 자기 기능을 나타낼 수 있는 능력은 주위환경의 물리적인 상황에 의하여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주위 환경은 우리가 어린이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음악적 자유를 부여한다는 뜻에서 대단히 중요하다. 여기서 자유라 함은 떠들 수 있는 자유, 소리 지를 수 있는 자유와 움직일 수도 있고 또 편안하게 위협 당하지 않는 등 정서적, 지적, 사회적으로 방해를 일으키는 공포나 강박으로부터의 자유도 포함된다. 이와 같이 자유의 느낌을 경험한 어린이는 어린이 스스로가 유익하게 음악에 반응함으로서 그 음악을 더욱 잘 받아들일 수 있게 된다. 특히 자폐아는 환경이 바뀌는 것을 매우 두려워하고 큰 혼란을 느끼는데 교사나 치료사가 아무리 주의 깊게 환경을 꾸몄다 하더라도 어린이가 즐겁게 받아들이는 환경이 아니면 안 된다. 자폐아들로 하여금 그가 처한 환경에 익숙해야 하고 효과적으로 반응할 수 있어야 하며, 그들의 활동을 잘 관찰할 수 있는 환경이어야 한다.
3. 촉각의 훈련
대부분의 자폐아들은 자기 몸에 대한 타인과의 신체적인 접촉을 싫어한다. 치료사의 몸의 접촉, 즉 치료사와 어린이 사이의 만족스런 관계가 성립되기 위해서는 먼저 신체적인 접촉이 필요하다. 어린이의 이러한 신체적 접촉의 욕구는 음악의 경험으로 얻어질 수가 있다. 김미경은 치료사가 피아노를 치거나 노래를 부르는 동안 어린이를 무릎 위에 올려놓고 가만히 안아 줄 수도 또는 가볍게 흔들어 줄 수도 있고 감싸줄 수도 있다. 만약 어린이가 이러한 육체적 접촉을 받아들인다면 말로써 사랑을 표시하는 것보다 훨씬 더 직접적인 대인관계를 형성할 수가 있을 것이다. 보다 더 진행된 교육 단계에서는 손을 붙잡는 접촉은 직접적 소통을 더욱 강하게 촉진시킨다. 치료사가 손으로 어린이의 손을 꼭 잡아 주는 것은 그에게 말을 가능하게 하고 그를 자극하여 음악의 효과를 더욱 강하게 하고 그리고 더욱 그 관계가 결속될 수도 있게 한다. 이러한 특수 교육적인 방법은 어린이가 음악을 어느 정도 좋아할 때 더욱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가 있다.
Ⅵ. 결론
자신과 다른 사람에 대한 인식의 발달은 사회적 인지 영역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자신과 다른 사람의 이해와 관련한 포괄적인 개념들은 생각의 원리(Theory of Mind; ToM)라는 이론적 틀 속에서 연구되어 왔다(Baron-Cohen, Tager-Flusberg & Cohen, 1993; Perner, 1991). 넓은 의미의 생각의 원리란 사람들의 마음 또는 생각(mind)에 대한 모든 지식을 의미하는 것으로 아주 어린 유아들이 무엇인가를 하기 위하여 어머니의 얼굴을 쳐다보는 것과 같은 행위까지도 포함된다. 이에 반하여 보다 제한된 의미의 생각의 원리란 믿음(belief)이나 바램(desire), 의도(intention) 등과 같이 직접적으로 관찰할 수 없는 정신적 상태를 추론하고, 이러한 추론에 의하여 행동을 설명하고 예측하도록 하는 추상적이고 인과적이며 일관성 있는 체계이다(Baron-Cohen, 1999; Wellman, 1990). 생각의 원리에 대한 초기 연구들은 주로 믿음-바램 추론 구조(belief-desire reasoning framework)와 관련된 것들이었다. 이러한 연구들은 점차적으로 자폐아동의 생각의 원리 결함 가설에 대한 연구들로 확대되었다. 이와 더불어 생각의 원리의 발달적 기원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면서 생각의 원리는 보다 어린 시기에 발달이 시작된다는 데 상당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다른 사람과 공동의 관심을 형성하고 다른 사람의 행동을 모방(imitation)하는 능력은 생각의 원리 발달에서 중요한 전제 요소로 여겨진다. Baron-Cohen(1999)은 생각의 원리 발달의 전조들을 의도탐지기(ID; intentionality detector), 시선 방향 탐지기(EDD; eye-direction detector), 공동의 관심 형성하기(SAM; shared-attention mechanism) 등으로 제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발달기 초기에 나타나는 모방 능력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고 있다. 어린 유아들에게 있어서 사람은 유의미한 대상으로 인식되는데 이러한 인식의 과정에서 모방이 많은 역할을 한다. Meltzoff와 Gopnik은 모방능력을 생각의 원리의 발달적 전조로 이해하였다. 신생아가 다른 사람들의 얼굴표정을 따라하는 것은 사회적 지식의 지표일 뿐 아니라 다른 사람의 심리적 상태에 대한 이해 능력을 발달시키는 기제이다. 그동안 모방의 중요성과 모방의 일반적인 역할에 대하여는 널리 알려진 바이다. 그러나 다른 사람과 자신의 이해와 관련한 사회 인지적 차원에서 모방의 사회적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매우 부족한 상황이라 할 수 있다. 우리는 여기서 자폐아동의 다른 사람에 대한 인식의 발달과 모방의 사회적 역할과 중재적 가치를 중심으로 보며, 자폐아동의 다른 사람에 대한 이해 능력의 결함을 모방 능력의 결함과의 관계로 보며 의미를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강경희(1994), 팔들기 동작법이 자폐증아의 부적응 행동 변화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 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 교육부(1991), 동작모방훈련의 이론과 실제, 특수교육 교육과정 운영자료
○ 김군자(1984), 자폐성 아동의 음악 요법, 음악 교육, 미 간행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박현옥(1988), 정신지체아와 정상아의 자아인식 발달에 관한 비교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이정미, 자연적 교수기법의 언어지도가 자폐아의 언어 모방과 일반화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 이영진(1993), 자폐 아동을 위한 음악프로그램-모형개발에 대한 연구, 석사 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Auimon, Benon-Cohen·Patrick Balton 저, 김영심 역, 자폐증의 진단과 치료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09.20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34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