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격교육의 개념, 인격교육의 형성, 청소년 인격교육의 목표, 청소년의 올바른 인격형성을 위한 실천 지도 사례, 청소년 인격교육의 목표와 인격교육의 효과적 방안 분석(인격교육, 인격, 청소년인격교육, 인격형성)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격교육의 개념, 인격교육의 형성, 청소년 인격교육의 목표, 청소년의 올바른 인격형성을 위한 실천 지도 사례, 청소년 인격교육의 목표와 인격교육의 효과적 방안 분석(인격교육, 인격, 청소년인격교육, 인격형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인격교육의 개념

Ⅲ. 인격교육의 형성

Ⅳ. 청소년 인격교육의 목표

Ⅴ. 청소년의 올바른 인격형성을 위한 실천 지도 사례
1. 가정과 학교의 연계 지도 사례
2. 기본생활 습관 실천 지도
1) 교실 출입 지도
2) 복도 통행 지도
3) 교실 정리 정돈하기
4) 화장실 사용 지도
3. 소집단 공동체 운영 지도
4. 독서를 통한 덕행의 기회 부여
5. 나의 효행 생활 실천 사례

Ⅵ. 청소년 인격교육의 목표와 효과적 방안
1. 학교 인격교육의 바람직한 목표와 원리
2. 학교 인격교육의 효율화 방안
3. 학교, 학부모, 지역사회의 유기적인 협력체제 구축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덕을 가르치는 것을 뜻하는 인격교육이라는 용어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95년 교육개혁위원회가 발표한 실천위주의 인성교육 강화라는 개혁 방안이 제시된 이후로 인성교육 혹은 인격교육이라는 단어가 널리 쓰이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식으로 추진되고 있다.
물론 이 인격교육도 강조하는 바가 무엇이냐에 따라 전통론자(traditionalists)의 입장과 일반론자(generalists)의 입장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베넷(W. Bennett), 킬패트릭(W. Kilpatrick), 라이언(K. Ryan), 윈(E. Wynne)과 같은 전통론자들은 가치명료화 접근이나 콜버그를 중심으로 하는 도덕발달 접근의 대안으로서 인격교육이라는 독특한 개념을 사용하고 있다. 이들은 직접적 교수나 모델링을 통해 덕을 함양할 수 있다고 말하면서, 가치명료화 접근이나 도덕발달 접근이 선한 행동의 습관보다는 의사결정의 능력을, 권위에 대한 존중보다는 자율성을, 전통적 덕성의 함양보다는 상대주의를 촉진시켰다고 혹평하고 있다. 이와는 달리 리코나(T. Lickona)를 위시한 일반론자들은 인지적 발달 심리학의 통찰을 포함하여 다양한 도덕교육이론과 방법들에 관심을 두면서, 인격교육이라는 개념을 포괄적 혹은 절충적 접근이라는 관점에서 사용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기서는 도덕발달이라는 개념이 중심적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 인격교육에서는 자아의 도덕적 차원을 강조하고 있는 점이 특징적인데, 이는 인지적 발달 접근(도덕적 토론 및 정의로운 공동체 접근)에서 강조한 도덕적 추론에서 도덕적 행위자(moral agent)로 초점이 변화한 것이다. 이런 면에서 최근의 인격교육은 인지적 발달 이론과는 다르다. 그러나 도덕적 행위자가 되기 위해서는 합리적 의사결정이나 자신에 대한 반성을 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인격교육은 도덕교육에서의 인지적 발달 접근과 양립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점은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전통적인 인격교육이 덕에 관한 합리적인 이해 혹은 인간 발달에 관한 개념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는 사실을 주목해 보면 쉽게 이해가 된다. 따라서 90년대 이후에 강조되고 있는 인격교육은 도덕교육에서 완전히 새로운 접근이라기보다는 덕목 중심의 전통적 인격교육과 인지적 발달 이론이 중심을 이루는 합리적 도덕교육 이론이 갖는 한계를 보완해야 한다는 강력한 요청을 수용하면서, 인격이 갖는 세 가지 차원(인지적, 감정적, 행동적 요소)의 조화로운 발달에 주목하고, 훌륭한 인격(good character)의 발달 혹은 도덕적 행동(실천력)을 높이기 위한 효과적인 다양한 방법을 통합적으로 체계화하여 실천하는 통합적 접근(the integrated approach) 혹은 포괄적 접근(the comprehensive approach)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인격교육의 통합적 접근에서는 인간에 관한 통합된 견해(a unified view)를 견지하고 있는데, 이는 도덕발달에 있어 인지적이고 정의적인 과정의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통합적 인격교육에서는 인격이 지닌 포괄적이고 상호 관련된 측면에 주목하고 인격형성에 관여하는 다양한 요소들에 대한 유기적인 연관, 이를 실행하는 조화롭고 효과적인 방안 등에 초점을 두고 있다. 그렇다면 훌륭한 인격형성을 위한 통합적 인격교육의 효과적인 방안 혹은 전략은 무엇인가? 대체로 인격교육론자들은 교사의 모범적 언행, 협동학습, 도덕적 이야기를 활용한 모범적 행동의 제시, 학교나 교실의 공동체를 민주적인 분위기로 만들기, 학교와 가정의 협력체제 구축, 알고 있는 도덕적 지식이 실천될 수 있는 기회의 제공 등 다양한 방법들을 제시하고 있다. 이 가운데에서도 특히 본 논문이 주목하고자 하는 것은 도덕적 이야기를 활용한 인격의 함양 방안이 어떤 의의와 효과가 있으며, 이를 우리의 도덕과 수업에 적용할 때 그 적절한 방안은 무엇인가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인격교육에서는 이야기에 내포된, 우리가 배워야 할 교훈적 가치는 물론 인간 존재에서 중심적 측면을 차지한다고 볼 수 있는 이야기 말하기(story-telling)에 초점을 두고 있는 바, 이는 우리 인간들은 본래부터 이야기를 말하는 동물(story-telling animals)\', 즉 우리는 주로 이야기를 통해서 우리의 행동이나 타인의 행동을 이해한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이야기는 도덕적 의미를 가진 일련의 사건을 부여해 주는 기능을 하므로, 인간의 도덕적 경험을 이해하기 위한 유일하게 강력한 수단을 제공해 주고 있다. 도덕발달을 가능케 하는데 이야기를 활용한 접근은 어떤 공통점을 갖는가?(M. B Tappan & M. J. Packer) 첫째, 이야기는 도덕적 영역이 갖는 다차원적인 특성을 함께 파악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이것은 인간 존재의 도덕적 삶이 될 수 있고, 그러한 삶에 대해 말해지는 서로 다른 많은 도덕적 이야기가 있다는 사실을 인식할 때 가능하다. 둘째, 도덕적 경험이 일상생활의 시·공간과 연관된 맥락에서 발생하고, 그 관련된 맥락이 이야기의 중요한 차원이 됨으로써 이야기적 접근은 생생한 도덕적 경험에 갖게 한다. 셋째, 이야기는 근본적으로 구성적인 의미로서 언어와 문화에 우선권을 두며, 도덕적 사고, 느낌, 행동은 대화의 형식이나 주고받는 언어를 통해 매개된다는 것이다. 이야기가 의미가 만들어지는 주요한 방식이 되는 것은 바로 생각과 느낌과 행동이 의미론적으로 이런 방식을 통해 구조화되기 때문이다.
경험상 우리는 도덕적 이야기가 도덕교육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는 점은 쉽게 이해하면서도 그것을 어떻게 활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인지에 대해서는 쉽게 답하지 못하고 있다.
참고문헌
박용석 외5명, 교육학개론, 문음사
정세구(1995), 인격교육과 덕교육, 배영사
정창우(2004), 도덕교육의 새로운 해법, p 131~160
추병완(1999), 도덕교육의 이해, p 159~160
최용성(2002), 도덕철학과 도덕교육, 인간사랑
토머스 리코나, 박장호·추병완 역(1998), 인격교육론, 서울:백의
A. MacIntyre, 이진우 역(1997), 덕의 상실, 문예출판사
  • 가격6,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9.10.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59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