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윤복의 작품으로 알아보는 한국 풍속화의 특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한국 풍속화의 전성기
2. 신윤복의 풍속화
Ⅱ. 서양 풍속화와 신윤복의 풍속화
1. 서양 풍속화의 특징
2. 서양 풍속화와 동양 풍속화의 공통점
Ⅲ. 신윤복의 <주사거배>
1. <주사거배>에 대한 해석
2. 서양 풍속화와 <주사거배>의 비교
Ⅳ. 결론
1. <주사거배>를 통해 알아본 한국 풍속화의 특징
2. 한국 풍속화와 한국문화의 이해

본문내용

. 때는 바야흐로 진달래 흐드러진 봄인 듯...꽃에 취하고, 봄기운에 취하고, 술에도 취하고 싶지만, 마음 놓고, 자리잡고 앉아 먹을 수 있는 처지가 아닌 것이다. 그러니 서서 먹을 수 밖에... 그래서강명관 선생은이 그림의 제목을 <선술집>이라고도 했다.
2. 서양 풍속화와 <주사거배>의 비교
1> 해학적 표현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해학은 풍속화의 표현방식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조선이나 서양 풍속화 모두 해학적인 표현을 즐겨 사용하였다. 그런데 그 표현방식에 있어 약간의 차이점이 있다. 조선후기 풍속화에서는 등장인물간의 관계 속에서 일어나는 해학적인 표현이 주류를 이룬다면, 서양풍속화에서는 인물 자체의 해학적 표현이 중심이 된다.
브뤼겔의 작품 <농민의 결혼식>에서는 식욕을 억제치 못하고 게걸스럽게 빵을 뜯어먹고 있는 전경의 아이에게서 자세와 표정의 해학성을 읽을 수 있다. 여기서 브뤼겔은 식탐에 대한 금언적인 경고로서 어린아이를 배치하였다고도 한다. 그림에 나오는 어린아이 인물 자체의 해학적 표현이 이 그림을 보는 이들로 하여금 교훈을 받도록 해주는 것이다. 아무튼 전경의 어린아이의 자세와 모습 그리고 막 추수한 곡식을 벽에 걸어놓은 채 불그스름한 뺨을 가진 건장한 체구의 신부 등은 이 작품을 딱딱하거나 엄숙한 작품이 아닌, 유머러스한 작품으로 읽히게 하는 단초를 제공하고 있다할 것이다.
반면, 조선 후기 풍속화에 내재된 해학성은 매우 포괄적인 개념으로, 공격적, 비판적이거나 신랄한 사회 풍자보다는 당시 현실에 애정을 가진, 휴머니즘적 요소를 지니며, 서민들의 절박한 정취를 순화시켜 정감 있게 표현한 것이 특징이다. Ⅲ-1에서 언급한 내용과 같이 <주사거배>는 주막에 관련된 서민들의 정취를 순화시켜 정감 있게 잘 표현한 그림이라 할 수 있다. 등장인물 하나하나를 비판하고나 풍자하는 것이 아니라 그 당시의 흐름이나 관계 속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나 사태를 해학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2> 구도와 공간표현
조선 후기 풍속화에서는 자연스러운 구성을 선호한 반면, 서양 풍속화에서는 전반적으로 대비적인 효과와 감각적인 구도를 즐겨 사용한다.
신윤복은 특히 15도 정도의 높이에서 부감하는 방식을 자주 기용한다. 그런데 이 경우도 배경과 등장인물이 자연스럽게 조화를 이루는 구성이 주를 이룬다. 공간표현에 있어서 확연한 차이 중 하나인 서구식의 3차원적인 대상 표현과 공간 표현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점 역시 <주사거배>에서 잘 나타난다.

최근 인기있었던 드라마 <바람의 화원>에서는 신윤복이 그림을 그리기 전에 구도를 2번째 그림과 같이 잡지 않았을까 추측하여 상상해보기도 하였다.
3> 색채
조선후기 풍속화는 주로 수묵담채의 담백한 색조로 표현된 반면, 서양의 풍속화에서는 장식적이고 화려한 색채가 구사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유교 국가를 표방하면서 궁정과 사찰에서는 건물이나 복식에 있어서 화려한 색채의 사용이 활발했던 반면, 양반 및 서민계층에서는 색채의 사용을 정책적으로 규제할 만큼 위축되었다. 조선시대 서민들의 무명옷은 바로 그러한 상황을 상징적으로 대변하여 주는 것은 아닐까. 조선 후기 풍속화의 경우 초창기에는 필선 위주에 갈색 계통이나 청색 계통의 색채를 옅게 곁들이는 정도였다가 신윤복에 이르면 화려한 원색의 색상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여 회화적인 맛이 풍부해진다.
Ⅳ. 결론
1. <주사거배>를 통해 알아본 한국 풍속화의 특징
신윤복의 <주사거배>를 통해 알아본 한국 풍속화의 특징을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이 요약해 볼 수 있다.
첫째, 서양 풍속화와 마찬가지로 풍자법을 사용하되 등장인물간의 관계 속에서 일어나는 해학적인 표현이 주류를 이룬다.
둘째, 주로 배경과 등장인물이 자연스럽게 조화를 이루는 구성이 주를 이룬다. 공간표현에 있어서 확연한 차이 중 하나인 서구식의 3차원적인 대상 표현과 공간 표현은 존재하지 않는다.
셋째, 조선 초기에는 양반 및 서민계층에서는 색채의 사용을 정책적으로 규제할 만큼 위축되었었기에 색채가 화려하지 않았으나 신윤복에 이르면서 색채는 적극적이어진다.
2. 한국 풍속화와 한국문화의 이해
신윤복의 한국 풍속화만 봐도 알 수 있듯이 한국 풍속화에는 우리 문화가 고스란히 담겨져 있다. 조상들의 생활방식, 주거공간, 의류, 심지 남녀간의 사랑까지도. 한국 풍속화는 그만큼 역사적 가치도 높을 뿐만 아니라 소박했던 우리 민족의 얼 또한 담겨 있다. 따라서 한국 풍속화를 즐겁게 감상하는 것 또한 한국문화의 이해에 큰 도움을 주리라 생각한다.
  • 가격2,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11.07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99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