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에너지] 대체에너지 개발의 현황 및 전망 - 기술 개발 이유, 대체 에너지 종류, 시장 동향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체에너지] 대체에너지 개발의 현황 및 전망 - 기술 개발 이유, 대체 에너지 종류, 시장 동향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며

본문
1. 대체에너지란?
2. 대체에너지 기술개발 이유
3. 대체에너지의 종류
1) 태양광에너지
2) 태양열 이용기술
3) 풍력에너지
4) 연료전지
5) 수소에너지
6) 바이오에너지
7) 폐기물 재생 에너지
8) 석탄가스화·액화
9) 지열
10) 수력발전
11) 해양에너지
4. 국내외 대체에너지 시장동향분석
1) 해외시장 동향분석
2) 국내시장 동향분석
5. 대체에너지의 정책동향
6. 지자체의 대체에너지 개발사례
1) 세계 최대의 조력발전 인천
2) 광주의 태양열 발전
3) 경기도의 바이오매스
4) Solar City(태양의 도시) 대구
5) 강원도의 풍력발전단지
7. 향후 대체에너지 시장 전망

참고자료

본문내용

수립하고 추진에 들어가면서 본격화됐다.
아직까지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시작한지 몇 해 되지 않았지만 대구시의 의욕적인 행보는 곳곳에 드러난다.
짧은 기간 동안 제1회 세계솔라시티 총회와 대한민국 그린에너지 엑스포를 비롯해 각종 신재생에너지 관련 대규모 전시회 등을 개최하며 신재생에너지 문제에 대한 인식 제고와 홍보 등을 펼쳐왔다.
또 올해는 공공건물의 태양광시설 시범설치 사업으로 3군데 하수·정수처리장에 100kW규모, 시의회와 서구청사 옥상에 55kW 규모의 태양광발전시설을 설치했고, 신천 변에는 세계 최대 규모의 솔라파크조성 타당성 및 기본계획 용역을 마무리 중이다.
이와함께 시내의 모든 공공건물을 대상으로 1만6670가구의 주택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태양광발전시설 설치를 위한 대구솔라캐노피조성사업도 추진 중이고, 오는 2010년 완공 목표로 영남권 지역에너지센터를 건립해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과 보급, 관련산업의 메카로 나설 방침이다.
5) 강원도의 풍력발전단지
밤 사이 내린 비가 눈으로 변한 대관령, 삼양목장 전망대로 오르는 길에는 거대한 ‘바람개비’가 장관을 이룬다.
강원도 평창군 도암면 횡계리 삼양목장과 한일목장 초지 내에 설치돼 있는 대관령 풍력발전단지는 강원도의 힘이 무엇인지 보여준다.
해발 1140m 전망대에 도착하니 멀리 동해바다가 보이고, 사방 산마루마다 풍력발전기가 위용을 과시하고 있다. 독일 리마이어사와 도내 업체인 유니슨사가 합작해 완성한 49기의 풍력발전기는 국내 최대 규모로 연간 5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강릉시 가구의 절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이산화탄소를 줄이면서 7000㏊의 산림을 대체하는 효과를 갖고 있다.
태백과 강릉, 횡성, 양구, 평창 등 6개소에 추진중인 풍력발전단지는 10개소 이상을 추가해 총 20개 단지 370MW 규모로 세계 10위권의 풍력발전단지로 육성할 계획이다.
북부권 고산지역풍력단지, 중부권 대단위 풍력발전단지, 서부권 신재생에너지 복합단지, 남부권 폐광중심 지열산업, 동해안권 저풍속풍력 특성화단지 및 태양광발전단지.
강원도의 5대 권역별 신재생에너지 개발혁신 기본계획에서 보듯 강원도의 힘은 ‘바람’ 곧 풍력에서 나온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강원도는 풍력발전뿐 아니라 소수력발전소와 태양광발전 시설, 바이오매스 열병합 발전시스템 등 신재생에너지의 모든 분야에 있어 앞서나가고 있다.
지방대학의 신재생에너지 R&D(연구개발) 사업 활성화를 위해 지방대생의 해외 선진국 견학 등 탐구활동 지원에 나서는 등 인력양성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7. 향후 대체에너지 시장 전망
국내에서 발전전력 비중이 가장 높은 신재생 에너지원은 폐기물 소각이며 그 다음으로 소수력, LFG(Land-Fill Gas: 매립지 가스), 풍력, 태양광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소수력은 전국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고 개발잠재량도 상당히 높은 편이다. 폐기물 소각에 의한 발전은 설비 특성상 설치장소의 한계가 있으나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열량이 높은 폐기물이 많아지고 있는 추세여서 향후 개발잠재력이 높다. LFG는 최근 관심이 높아지면서 시설 용량이 점차 커지고 있으며, 각 지자체 및 민간의 투자가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으나 매립지의 특성상 일정한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풍력은 현재 제주도, 대관령 등 풍량이 많은 곳을 중심으로 투자가 많으나 자원의 특성상 일부 풍력자원이 많은 곳에 한정될 가능성이 많다. 태양광은 전국의 어느 곳에서도 발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잠재량은 많으나 설치단가가 높다는 점이 단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표 10>은 제 2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2002-2011)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수요 전망치로서 2001~2020까지 연평균 증가율이 6.8%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표 9> 신재생에너지 수요전망
구분
2001
2006
2011
2015
2020
증가율(%)
신재생에너지(구성비)
2.5(1.2)
4.0(1.7)
5.8(2.2)
6.8(2.3)
8.6(2.7)
6.8
(단위: TOE)
자료: “신재생에너지 발전의무비율 할당제(RPS) 도입 연구”, 산업자원부, 2004. 12
산업자원부에서 발표한 대체에너지 보급목표 달성을 위한 세부 실행계획수립연구(2003-N-PS04-P-01(2003.7))와 대체에너지 보급통계(2003)을 기초로 한 연도별 신재생에너지 공급전망과 증가율을 각 항목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표 10> 신재생에너지 원별, 연도별 보급목표
분 야
‘07년
‘08년
‘09년
‘10년
‘11년
‘12년
태양열
134
169
208
258
318
385
태양광
40
65
103
192
341
448
풍 력
230
361
652
882
1,311
1,456
소수력
170
229
298
367
446
534
수 소
-
0.1
0.1
1.3
1.3
1.3
IGCC
6.8
6.8
6.8
184
375
545
폐기물
5,630
6,150
6,870
7,110
7,540
8,930
바이오
737
768
801
833
1,050
1,082
연료전지
1.1
3.6
15
77
147
226
해 양
0.8
143
143
211
432
432
지 열
23
42
70
109
161
225
대수력
1,081
1,091
1,109
1,161
1,213
1,267
합 계
8,054
9,029
10,276
11,385
13,335
15,531
신재생에너지공급율(%)
3.30
3.60
3.99
4.32
5.00
5.60
(단위 : 천toe)
자료 : 제2차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보급 기본계획, 산업자원부, 2003.12
참고자료
<에너지절감/대체에너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07
<에너지 고갈에 따른 대체에너지 개발 - 대체에너지의 종류 및 특징> 코네틱포커스 2008년 24호
<에너지 고갈에 따른 대체에너지 개발 - 국내 대체에너지 보급현황 및 정책동향> 코네틱포커스 2008년 24호
<이제는 대체에너지 시대 - 앞서가는 지자체> 차상호 기자 경남신문
<화학전지의 종류와 친환경 대체에너지 연구 및 수업지도안> 이시연,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9.11.23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25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