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변동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서론
제 1 장 한국의 환율변동 변천 추이
제 2 장 환율 변동 요인
1. 단기적 요인
2. 장기적 요인

Ⅱ. 본 론
제 1 장 환율변동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1. 환율 상승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2. 환율 하락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제 2 장 최근 한국의 환율 변동 상황
1. 최근 환율 하락의 원인
2. 최근 환율 하락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
3. 환율 하락의 긍정적인 효과
제 3 장 향후 환율 변동 전망
1. 원화 강세 전망
2. 기관별 환율 전망

Ⅲ. 결 론
환율 변동에 따른 대응방안

본문내용

것으로 전망된다.
이 과정에서 환율에 변화를 초래할 수 있는 변수는 여전히 북핵문제와 미국의 금리정책 전환속도가 될 것이다. 그러나 두 변수 모두 환율의 상하변동을 초래할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평균적으로 원달러 환율에 미치는 영향을 크지 않을 것이다.
기존의 전망 기조처럼 향후 환율은 미국경제 연착륙 여부, 주요국의 금리정책과 같은 대외 거시변수에 의해 주로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원화는 이미 다른 아시아통화에 비해 상당히 절상되어 있어 추가적인 절상 폭은 완만할 것으로 전망된다.
2. 기관별 환율 전망
가. 국내기관
대부분의 국내기관들은 올해 들어 원달러 환율에 대한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원달러 환율은 연간 평균으로 당초 1,000원대 보다 낮아진 980원 내외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주요 국내기관별 원·달러 환율 전망
(단위 : 원/달러)
당 초
변 경
향후 일정
산업연구원
1,000
980
한국경제연구원
1,006
994.7
한국금융연구원
1,010
1,000
추가 조정 (970~980) 예상
삼성경제연구소
1,014
960
LG경제연구원
1,005
990
추가 조정 예상
현대경제연구원
1,010

970~980으로 조정 예상
대 우 증 권
1,025
994
C J 투자증권
1,000
960
신 한 증 권
1,015
980
동양종금증권
1,021.3
961.3
주 : 연간 전체의 평균 환율 기준임
나. 국제기관
국제투자 은행들의 경우 국내 기관들에 비해 더 낮은 수준의 원달러 환율을 예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하반기 이후 원화강세 요인이 더욱 두드러지면서 연말에 이르면 원달러 환율은 달러 당 930원 내외에 이를 것으로 전망들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국제투자은행별 원·달러 환율 전망
(단위 : 원/달러)
전망 일자
전망 당시
3개월 후
6개월 후
12개월 후
SCB
01. 10.
984
985
960
987
Citigroup
01. 19.
985
-
925
900
BNP 파리바
01. 24.
976
970
950
930
리먼브라더스
01. 25.
969
1,000
950
925
모건스탠리
01. 25.
969
965
950
920
골드만삭스
01. 25.
969
975
950
925
도이체방크
01. 27.
971
970
960
950
DBS
02. 01.
961
1,000
960
930
HSBC
02. 01.
961
950
920
900
미쓰비씨도쿄
02. 01.
961
950
940
920
SSBT
02. 01.
961
920
960
980
J. P. Morgan
02. 03.
970
-
990
950
주 : 해당 시점별 기말 환율 기준임.
Ⅲ. 결론
환율 변동에 따른 대응방안
위기를 기회로
개방화 경제에서 환율 하락은 수출 감소보다는 내수 회복 및 설비 투자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측면도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환율 하락의 긍정적인 영향력이 지나치게 간과되는 경향이 있다. 긍정적 영향력이 간과되는 이유는 높은 가계부채에 따른 유동성 제약, 노사관계 악화 등에 따른 기업 투자 심리 위축, 금융 시스템의 자금전달 기능 장애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규제완화, 금융 구조조정 지속 추진 등으로 세계적인 달러화 하락추세를 오히려 국내 경제 체질 개선과 경기회복 계기로 삼을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수출은 환율 요인(가격 요인) 보다는 해외 소득 요인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미국의 경기회복 및 대외 불균형 해소는 중장기적으로 국내 재화 및 서비스에 대한 수입 수요 증가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세계적인 경기 회복과 미국 경상 수지 적자 감소는 국내 기업과 금융기관에게 좋은 사업 기회를 제공한다.
일반 기업 및 금융 산업에 대한 규제 완화로 투자 및 고용을 촉진하고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완화시킬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미국, 일본의 가계에 대한 많은 연구 결과 가계 소비의 주요 결정 요인은 부채 부담이 아닌, 미래소득에 기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외국인 국내 직접 투자 지원, 출자총액제한제도 등 국내기업에 대한 각종 규제 완화로 기업 투자심리를 회복시키고 내외국인 차별 철폐 유도 → 투자촉진 유도 → 고용 확대 → 미래불안 해소, 소비 진작이 가능하다.
최근의 환율 하락은 경제 근본을 반영한 시장의 조정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세계무역구조의 불균형 해소에 수반되는 환율조정이 진행되고 있다. 경기상승 속도, 기업의 수익성 등을 반영하여 원화 환율이 상대적으로 빠르게 하락하고 있다. 이러한 환율 조정에 상응하는 총수요 조정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비의 견실한 성장과 투자확대 유도로 경제성장을 지속해야한다. 성장잠재력 배양을 위해서도 투자 확대와 생산성 제고로 환율 하락에 대처한다는 정책방향을 설정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시장제도 선진화, 개방, 동북아협력 증진 등 기존 정책방향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한다. 외환자본 시장 제도 개선으로 시장의 신축성과 자율 위험관리 능력 제고를 통하여 국내인의 해외투자활동 자유화를 지속추진하고 자본시장 통합법의 차질 없는 추진으로 위험 헤지 금융거래를 활성화 시킨다.
개방정책을 통하여 투자환경 개선 및 생산성 제고를 유도하고 한중일 정책 공조를 강화하여 바람직한 세계무역구조의 조정 방안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고 환율 및 통화정책 방향을 공조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신 무역론, 김인기, 박영사, 2002
연합뉴스 기사 인용, 2006.1
‘외환위기에 따른 환율 급등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 LG경제연구소, 이용만 윤종일,1998
학국공작기계공업협회, www.komma.org
'최근 환율하락의 원인과 영향‘ 한국개발연구원, 2006.5
‘환율하락의 긍정적 효과’ 현대경제연구원 금융분석팀, 2003
http://blog.naver.com/hss7540/20030854865
‘환율전망과 그 영향 및 대응 방안’ 한국무역협회 인천지역, 2006.2
삼성경제연구소, www.seri.org
'원화 절상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경우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경제대학원, 1990
  • 가격3,0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10.04.02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59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