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A+] 추락하는 교권,이대로 좋은가 -교권하락의 실태, 원인 및 해결방안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학A+] 추락하는 교권,이대로 좋은가 -교권하락의 실태, 원인 및 해결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II.1. 교권의 정의

II.2. 교권하락의 실태
II.2.1) 교실붕괴
II.2.1).가. 교실 붕괴의 용어 정의
II.2.1).나. 교실붕괴 사례

II.3. 교권하락의 원인
II.3.1) 학생인권의 침해
II.3.2) 언론의 부정적 보도
II.3.3) 교사의 교육 전문성 및 인격적 품성에 대한 의문 증가
II.3.4) 입시위주의 교육 현실 (사교육증가)
II.3.5)자식 이기주의

II.4. 교권하락의 해결방안
II.4.1) 교권확립의 필요성
II.4.2) 교권신장의 방안
II.4.3) 교권추락 해결방안 모색
II.4.3).가. 외국에서의 교권추락 해결방안
II.4.3).나. 기타 제도적 방안
II.4.3).다. 교사들이 말하는 교권의 해결방안

III.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면허증 갱신제> http://kr.blog.yahoo.com/lhw6404/51
라는 제도가 있다. 이는 교사의 자격 10년마다 심사하고 '가르치는 프로로서의 교사 육성'을 바탕으로 하여 정해진 연수과정 이수 후, 사명감, 대인관계 능력, 학생에 대한 이해력, 교과 전문지식, 교과 지도력 등으로 평가 받는 제도이다.
이러한 제도는 학부모들의 교사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위에서 말씀 드렸다시피 자식 이기주의 교육이 부모 입장에서는 인지상정일지 모르지만 교사의 입장에서는 또 하나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그에 대한 책임이 전반적으로 부모나 교사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 전 사회적인 영향과 그런 영향적인 것에 갈대처럼 흔들릴 것이 아니라 쌍방의 공통된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II.4.3).나. 기타 제도적 방안
교권하락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도적 장치의 마련 및 자발적 실천의 각도에서 해결방안을 모색해볼 수 있다.
우선 교사회, 학생회, 그리고 학부모회의 법제화가 필요하다. 교사 뿐 아니라, 학생이나 학부모들도 공교육에서 피해를 받는다면 이를 지원해줄 체계를 만든다. 단 교육청 소속이 아닌, 독립기구여야 할 것이다. (예. 미국의 학부모교사협회PTA) 교사와 학생, 학부모의 소통의 장을 마련한다. 예를 들어 자율적이고 자유로운 세미나를 개최한다든지, 1박2일의 캠프 등을 주선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정보화시대에 발맞추어 교사의 자질 향상을 위한 외국연수를 통해 선진문화의 교육 방식에서 좋은 것과 나쁜 것들 분별하는 식견과 또한 배워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서 한 차원 더 빠르고 앞선 교육 방법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II.4.3).다. 교사들이 말하는 교권의 해결방안
1982부터 현재까지 중학교 수학 교사로 재직하고 계시는 방미숙 선생님과의 심층면접 내용이다.[1957년 서울 출생]
교사들이 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교사 연수 등을 통해 예전에 배운 지식, 교수방법, 사고방식 등을 개선하는 것이다. 현재도 이루어지고 있긴 하지만, 기회가 턱없이 모자라다. 각종 교육기관들에서의 교육 제도 개선을 위한 ‘해외 시찰’보다 더 시급한 것이 바로 직접 교육현장에 투입되는 교사들의 해외연수이다. 이를 잘 활용하기 위해서 방학을 이용하거나 여건이 되지 않으면 안식년을 만드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또한, 학생과의 상호 작용 면에서는 적당한 체벌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인격적으로 대우를 해서는 잘 알아듣지 못하는 정도의 아이들도 많다. 가정교육으로 밑거름이 안 되는 아이들, 인격적 대우를 받고 자라지 못한 아이들은 그러한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에는 타당하고 감정 섞이지 않은 체벌은 긍정적인 효과를 낳기도 한다.
학원, 과외 등 사교육을 통한 학원 선행학습 역시 교권 하락의 중요한 원인으로 꼽히고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학교에서 지식 평가(시험) 시 지금과 같은 피상적 수준이 아니라 완벽한 수준으로 확인을 한다면 어느 정도 문제가 해결되리라고 본다.
III. 결론
교권은 '국가 백년지대계'라는 교육에 너무도 존엄한 것이다. 교권은 교육자와 학생, 학부모와 시민이 함께 가꾸어야 한다. 선진국일수록 교사의 교권은 존중되고, 후진국일수록 교사들의 교권은 경시되는 것이다. 국민생활의 기본적인 가치가 헌법이듯이, 교육의 가장 기본적인 가치가 교권임을 명심해야 한다.(이의협)
그러나 위에서도 보았다시피 이는 학생과 교사뿐만 아니라 학부모와 학교, 정부, 나라 전체가 고민하고 노력해야 할 문제이다. 하지만 교사의 입장에서는 무조건 정책이나 “남 탓”을 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좋은 방법을 모색해 보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자발적 실천 의지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각자 잘못은 인정하고 그에 따라 변화의 노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즉, 교육문제에 있어서 누구의 잘못인지 가리는 것은 불필요하고 교사, 학부모, 학생의 관계가 조화롭게 상호보완적 관계로 놓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사람과 사람은 오고 가는 것으로 통한다. 권위 있고 인정받는 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교사의 노력이 제일 우선이다. 우리는 그런 희망을 갖고 그 현장에서 뛰어야 할 것이다. 그 현장에서 우리의 주권을 찾고 우리의 목소리를 되찾으려면 더 힘쓰고 머리를 써야 할 것이며 그것이 지금 우리의 사명이다.
<참 고 문 헌>
-김동춘(1999). 한국의 지배질서와 학교 붕괴, 전교조, 학교를 어떻게 살릴 것인가? 『참교육토론회자료집』, 195-196.
-김원중(2000). 교실붕괴의 교육심리학적 모색. 『교육인류학연구』, 3(2), 79-138.
-이인규(1999). 무너지는 학교 흔들리는 교단. 『학교 붕괴, 푸른 나무』, 51-68.
-이종각(2000). 21세기 학교와 교실,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창립2주년 기념 세미나 자료집.
-전종호(1999). 학교 붕괴 현상에 대한 교육 주체의 의식조사 연구. 『학교붕괴, 푸른 나무』, 243-286.
-조용현(2000). 학교 붕괴 현상의 교육인류학적 분석: 학교 문화와 청소년 문화의 갈등을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3(2).
-배경내(2006). 중등우리교육 11월호(통권 제201호), 68-69.
-송대헌(2006). 중등우리교육 7월호(통권 제197호), 42-43.
-이은찬(1987). 교권신장 방안에 대한 일연구 -교권침해사건 실태분석을 중심으로-, 4-6, 26-27, 34-39.
-정재열(1984). 초, 중등교사의 교권 인식도에 대한 연구, 17, 24-26.
-인터넷 싸이트-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87&article_id=0000098390§ion_id=102&menu_id=102
-http://www.segye.com/Service5/ShellView.asp?TreeID=1052&PCode=0007&DataID=200701091406000081
-http://news.media.daum.net/society/region/200704/28/yonhap/v16549843.htm
  • 가격1,7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0.07.16
  • 저작시기201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40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