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언어(북한말, 문화어, 북한어) 중요성, 북한언어(북한말, 문화어, 북한어) 맞춤법, 북한언어(북한말, 문화어, 북한어) 어휘, 북한언어(북한말, 문화어, 북한어) 문화어, 북한언어(북한말, 문화어) 주체언어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한언어(북한말, 문화어, 북한어) 중요성, 북한언어(북한말, 문화어, 북한어) 맞춤법, 북한언어(북한말, 문화어, 북한어) 어휘, 북한언어(북한말, 문화어, 북한어) 문화어, 북한언어(북한말, 문화어) 주체언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북한언어(북한말, 문화어, 북한어)의 중요성

Ⅲ. 북한언어(북한말, 문화어, 북한어)의 맞춤법
1. 어머 ‘-아/ -어, -았-/-었-’
2. 부사로 된 단어의 ‘어’
3. 사이시옷
4. 띄어쓰기의 비교
1) 띄어쓰기의 원칙
2) 의존 명사
3) 수사
4) 성명, 호나 자, 호칭어, 직명 등
5) 고유 명사
6) 전문 용어
7) 성구, 속담

Ⅳ. 북한언어(북한말, 문화어, 북한어)의 어휘

Ⅴ. 북한언어(북한말, 문화어, 북한어)의 문화어

Ⅵ. 북한언어(북한말, 문화어, 북한어)의 주체언어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치적 생명을 지닌 수령이다. 그가 만든 주체사상에서도 수령론에 대해 이론적 타당성과 합리성, 그 역사성에 대해 상당부분을 할애하여 세밀히 서술하고 있다. 그만큼 수령중심의 전일적인 사회체제가 바로 북한이다. 따라서 수의 뜻은 당과 인민들에게 절대적인 교시가 되고, 수령의 말과 지시가 바로 정책이 되는 것이다. 먼저 1964년 1월 3일 북한 언어학자들과의 담화에서 언급된 김일성의 언어관을 보면, 북한의 주체 언어이론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언어는 민족을 특징짓는 공통성 가운데서 가장 중요한 것의 하나이다. 핏줄이 같고 한 령토안에서 살아도 언어가 다르면 하나의 민족이라고 할 수 없다. 우리는 공산주의자들이다. 우리는 자기의 말과 글을 발전시키는데서 세계인민들의 언어발전의 공통적인 방향을 고려해야 한다. 물론 언어발전을 세계 공통적인 방향에 접근시킨다고 하여 너무 빨리 우리 언어의 민족적인 특성을 버려도 안 된다.
우리의 말과 글은 우리나라의 경제와 문화, 과학과 기술의 발전에서, 사회주의 건설의 모든 분야에서 힘 있는 무기로 되고 있다. 언어는 민족을 이루는 공통성의 하나이며 나라의 과학과 기술을 발전시키는 힘 있는 무기이며, 문화의 민족적 형식을 특징짓는 중요한 표징이다. 그러므로 민족어를 발전시키지 않고서는 사회주의적 민족문화를 성과적으로 건설할 수 없다.
여기서 김일성은 사회주의 건설과 과학, 기술 발전의 힘 있는 무기는 민족어의 발전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것은 언어를 혁명의 수단과 도구로 보는 북한의 주체 언어이론을 잘 보여주는 대목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정도복의 논문을 보면 1981년 북한에서 간행된 「현대 조선말 사전(제2판)」에 규정된 언어의 개념을 적고 있는데, 인용하면 다음과 같다.
언어[명] : 사람들이 사상을 나타내며 서로 교제하는 데 쓰이는 중요한 수단, 민족을 이루는 공통성의 하나이며, 나라의 과학과 기술을 발전시키는 힘 있는 무기이며, 문화의 민족적 형식을 특징짓는 중요한 표징으로 나타난다. 언어는 혁명과 건설의 힘 있는 무기로서 사람들의 자주적이며 창조적인 생활에 힘 있게 복무한다.
여기서 우리는 위의 1964년도에 발표한 김일성의 교시가 1981년도에 발행된 북한의 「현대 조선말 사전」에 그대로 옮겨져 있음을 한 눈에 알 수 있다. 이것은 주체사상을 통한 수령중심의 북한사회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모습이다. 북한의 주체사상은 한마디로 사람의 지위와 역할을 해명해 놓은 철학이다. 사람은 자주성과 창조성과 의식성을 지닌 사회변혁과 혁명의 주체라고 밝히고 있다. 따라서 사람은 세상의 주인이며, 자연을 개조하고, 사회를 개조하고, 인간을 개조하는 힘을 지녔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공산주의 혁명과 건설의 주인은 인민대중이며, 그 힘도 인민대중에게 있다는 주장이다.
북한에서 모든 것은 주체사상을 통해 이론적으로 확립되고, 사상과 당(黨)의 검증을 통해 결정된다. 언어도 마찬가지다. 언어에서 주체를 세우는 기본 요구는 민족어를 체계적으로 발전시킴으로써 민족적 자부심과 긍지를 가지도록 하여 공산주의 혁명과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주체사상을 전면적으로 구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것이 바로 주체사상을 사상적, 이론적, 방법론적 기초로 하는 주체 언어이론이다.
참고문헌
▷ 김민수(1993), 북한의 국어연구, 일조각
▷ 고영근, 북한의 말과글, 을유문화사
▷ 김상준(2002), 남북한보도방송언어연구 우리언어의 동질성 회복은 가능한가,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 김영배(1992), 남북한의 방언 연구, 경운출판사
▷ 남성우·정재영(1990), 북한의 언어생활, 고려원
▷ 북한 언어 연구회(1989), 북한의 언어 혁명, 한송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08.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69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