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전통적인 향토 음식과 일본, 중국의 음식 비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향토 음식과 일본, 중국의 음식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2. 본 론
1. 우리나라 각 지역 특성과 전통향토 음식의 종류
2. 일본의 전통음식의 특성
(1) 일본 전통 음식의 특성
(2) 일본 요리의 특성
(3) 일본 지방 특유의 향토음식의 특성
3. 중국 음식의 특성
(1) 북경의 음식
(2) 조리법
4. 중국 음식의 특징

3. 결 론

본문내용

이를 맛보는 것은 북경 여행 때 반드시 해야 할 두 가지이다. 원재료인 오리는 특별한 사료를 먹인 것을 쓴다.
이런 종류의 오리는 순수한 백색의 털과 부드럽고 영양분이 풍부한 살을 가지고 있다.
오리는 특별한 사료를 먹여서, 태어나서 45일 후엔 무게가 1.5kg이 나간다.
후기에 오리는 정기적으로 잘 마련된 사료를 먹이고, 무게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제한된 구역에서 자라게 된다. 오리는 무게가 증가하면서 살이 부드러워 진다. 그때 오리는 구이용으로 가장 적합하다.
굽는 기술이 뛰어나다. 오리는 열려진 화덕이나 닫혀진 화덕에서 구어 진다. 열려진 화덕의 경우에 오리는 장작불 위에 매달려 진다. 오리가 골고루 다 익도록 돌보는 것은 반드시 필요하다.
닫혀진 화덕의 경우에 장작를 위해 사탕수수대가 사용되어 진다. 화덕이 매우 높은 온도로
달구어 졌을 때 오리를 집어 넣고 문을 닫는다. 즉, 오리는 약한 불에서 구워진다.
오리가 굽는데는 12단계이상의 절차가 있다.
북경 오리구이는 중국의 등소평이 건강식으로 즐겨 먹던 전통요리로서 한방에서는 허약체질, 기와 혈이 부족한 사람, 산후 또는 수술 후 고혈압, 중풍 등의 보양요리로 권장되는 불포화 지방산으로 알카리성 육류이다.
특히 기름기를 많이 섭취해도 살이찌지 않으며 북경요리의 지방을 상식하면 오히려 위와 장이 충실해진다.
㉡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면과전병
창과면 : 치앙꾸오미엔 : 볶은후 삶은 면
1. 미리 준비한 반죽을 겹겹이 쌓는다.
2. 칼로 면발을 만들어 놓는다. 큼직하게 썰은 대파를 기름을 두른 후라이팬에 넣은후에 간장과 양념을 넣고 미리 볶는다.
3. 재료가 어느 정도 볶아지면 1리터 정도의 물을 넣고 끓인 후
면발을 넣고 저어가면서 끓인다.
4. 한번 끓인 후 약 100cc의 물을 더 넣은후 5분 정도 더 끓인다.
다 끓으면 그릇에 담은 후 잘게 썰은 김을 위에 얹는다.
春餠(춘병)
* 춘병은 우리의 구절판과 비슷하나 특히 중국에서는 북경구운오리를 싸서 먹는 요리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춘병 만들기
1. 잘라 놓은 반죽을 양손으로 적당히 돌려 원형으로 만든 후에
손바닥으로 눌러 조그만 원형으로 만든다.
2. 원형으로 만든 반죽을 손으로 한개씩 들고 아래 부분에 옥수수기름을 묻힌다.
3. 기름을 묻힌 반죽을 두 세개씩 포갠 후에 손바닥으로 누른다.
4. 반죽을 원통 막대를 이용하여 넓게 핀 후 기름을 두른 후라이팬에 굽는다.
5. 양면을 적당하게 구은 후 손으로 미리 포개 놓은 형태를 분리한다.
병에 넣어 먹는 요리
북경 군오리, 춘장, 대파, 계란 무침, 피망 볶음, 숙주나물 볶음
4.중국음식의 특징
① 재료의 선택이 매우 자유롭고 광범위하다. 일반적인 식료품 모두가 재료
로 이용되고 있을 뿐 아니라 제비집, 상어지느러미 같은 특수 식료품도 일품
요리의 재료로 이용되고 있을 만큼 재료의 종류가 다양하고 광범위하다.
② 맛이 다양하고 풍부하다. 간[甘]·셴[鹹]·쏸[酸]·신[辛]·쿠[苦]의 오미
(五味)를 복잡미묘하게 배합하여 창출해 내는 중국요리의 맛의 다양성은
세계의 어떤 요리도 따를 수 없는 특징이다.
③ 조리기구가 간단하고 사용이 쉽다. 다양한 요리의 종류에 비하여 조리
기구의 수가 적고 사용법도 간단하다. 훠궈[火鍋:중국냄비]·사궈[砂鍋:볶음
·튀김냄비]·러우사오[漏勺:그물조리]·정룽[蒸籠:찜통] 외에 식칼·뒤지개·
국자 등이 조리기구의 전부라 할 만큼 그 기구가 간단하다.
④ 조리법이 다양하다. 조리기구가 간단한 반면에 조리법이 다양하다. 조
리법에 관한 용어는 둥[凍]·조우[粥]·탕[湯]·차오[炒]·자[炸]·젠[煎]·먼
[檣]·카오[矣]·둔[燉]·웨이[坍]·쉰[燻]·정[蒸] 등 여러 가지 조리법이 있
어 어떤 재료를 쓰든 원하는 요리로 조리해 낼 수 있다.
⑤ 기름을 합리적으로 많이 사용한다. 중국 요리의 대부분이 기름에 튀기
거나 조리거나 볶거나 지진 것이라 할 수 있을 만큼 기름이 많이 이용된다.
적은 재료로 많은 칼로리원(源)을 얻을 수 있어 합리적이다.
⑥ 조미료와 향신료의 종류가 풍부하다. 중국요리의 맛이 풍부한 것은 많
은 종류의 조미료와 향신료를 적절히 이용하기 때문이다.
⑦ 외양이 풍요롭고 화려하다. 중국요리에는 몇 인분이라는 말이 없다. 1
사람 앞에 얼마씩 따로 담는 것이 아니라 1그릇에 1가지 요리를 전부 담아
낸다. 따라서 먹을 사람이 많아지면 1가지 요리의 양을 늘리는 것이 아니
라 요리의 가지수를 늘리는 것이 원칙이다.
3. 결론
일본과 중국의 음식과 조리법에 대해서도 나왔듯이 그나라의 기후조건과 삶의 질에 의해서도 많은 차이가 난다.
개국신화인 단군신화는 쑥과 마늘만을 먹고 햇볕을 피하기 삼칠일만에 사람으로 변한 곰의 이야기가 있다.
의식이 든든해야 아름다움도 즐거움도 느낄 수 있다는 소박한 생활인의 발상이 아니겠는가? 그러므로 이렇게 중요한 우리 나라의 식생활이 어떻게 변천되어 왔으며, 우리 문화와 어떻게 조화하여 온 것인가 하는 연구는 우리 민족의 생활의 지혜에서 전통을 이해하는데 필수 불가결한 것이다.
기원전 6000년경부터 만주 남부에서 한반도에 걸치는 지역에 빗살무늬토기를 가지는 신석기 인들이 살고 있었는데 초기시대에는 고기잡이나 사냥 등을 주로 하다가 신석기시대 후반부터 원시적인 농경생활을 하게 되었다. 그 이후 농경이 더욱 발달하게 되니 풍요로운 생산을 기원하고 생산물에 대한 감사의 뜻에서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각종 제천의식들이 생기게 되어 이 무렵에는 떡과 술이 있었으며 여러 가지 과일들이 특산물로 생산되었다.
그 후 삼국시대에 접어들어 이 나라에 불교가 들어오게 되었고 신라나 백제에서는 살생금지령이 내려져 불교가 식생활에 미친 영향은 매우 컸다.
통일신라를 거쳐 고려시대에 이르니 불교가 더욱 융성해지고 이에 따라 육식이 쇠퇴하여 자연히 식물성 식품의 음식이 연구되었고 사찰음식이 크게 발달하게 되었다.
전통만 고집하기 보다 시대에 맞게 기호에 맞게 발전시키면 우리나라의 요리도 음식에만 그치지 않고, 세계적인 문화 유산이 될 수 있다.
내용출처 : 북한의 향토음식&향토음식연구회 지역별 향토음식 발췌
  • 가격4,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09.13
  • 저작시기201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05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