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이중심학습의 의미, 과학과 놀이중심학습(과학탐구놀이)의 형식, 과학과 놀이중심학습(과학탐구놀이) 원리, 과학과 놀이중심학습(과학탐구놀이) 프로그램, 과학과 놀이중심학습(과학탐구놀이)의 적용과제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놀이중심학습의 의미, 과학과 놀이중심학습(과학탐구놀이)의 형식, 과학과 놀이중심학습(과학탐구놀이) 원리, 과학과 놀이중심학습(과학탐구놀이) 프로그램, 과학과 놀이중심학습(과학탐구놀이)의 적용과제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놀이중심학습의 의미

Ⅲ. 과학과 놀이중심학습(과학탐구놀이)의 형식

Ⅳ. 과학과 놀이중심학습(과학탐구놀이)의 원리
1. 교수-학습 원리 1
1) 인식 및 탐색 단계
2) 탐구의 단계
3) 적용의 단계
2. 교수-학습 원리 2
1) 발견적 탐색놀이의 단계
2) 탐구적 구성놀이 단계
3) 확장적 통합놀이 단계
3. 교수-학습 원리 3
4. 교수-학습 원리 4
5. 교수-학습 원리 5

Ⅴ. 과학과 놀이중심학습(과학탐구놀이)의 프로그램

Ⅵ. 과학과 놀이중심학습(과학탐구놀이)의 적용 과제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헝겊에 문지를 때에는 한 방향으로 문지른다.
2. 쌀알이 잘 붙지 않으면 헝겊으로 빗을 문지른다.
깡통 굴리기
준비물
빈 음료수 깡통 4 개, 못, 망치, 널빤지, 벽돌, 모래, 테이프
놀 이
안 내
1 . 크기가 같은 깡통을 준비한다.
ㅇ 깡통 ① : 빈 깡통
ㅇ 깡통 ② : 모래를 가득 채운 깡통
ㅇ 깡통 ③ : 가운데에 못을 4개 박은 깡통
ㅇ 깡통 ④ : 가장자리에 대각선으로 못을 4 개 박은 깡통
2 . 벽돌을 세우고 4 개의 널빤지를 얹어 4 개의 비탈을 만든다. 3 . 각자 한 개의 깡통을 빗면 꼭대기에 나란히 놓았다가 동시에 출발 시킨다.
4 . 가장 빨리 굴러가는 깡통은 어느 것인가?
5 . 가장 멀리 굴러가는 깡통은 어느 것인가?
6 . 가장 빠르게, 가장 멀리 굴러가는 깡통을 가진 사람이 이긴다.
주 의
할 점
1 . 깡통은 크기와 모양이 같은 음료수 깡통으로 한다.
2 . 비탈의 기울기와 길이는 같게 한다.
3 . 못은 깡통을 통과할 수 있는 긴 대못을 이용한다.
4 . 비탈의 아래는 평평한 곳이어야 한다.
무지개 그림 그리기
준비물
플라스틱 접시, 수성 사인펜( 3-4색 ), 클립, 거름 종이, 물,
놀 이
안 내
1. 거름종이를 원뿔 모양으로 접고 겹치는 부분에 클립을 끼운다
2 . 거름종이 밑부분에서 1cm되는 곳에 3-4 가지 색 사인펜으로 길이 1cm의 정도 선을 그린다.
3. 접시에 물을 반쯤 채운다.
4 . 거름 종이를 접시에 살며시 올려 놓는다.
5 . 양초를 유리판 앞쪽으로 15cm 떨어진 곳에 놓는다.
6 .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인펜을 그은 곳의 색깔을 살펴 본다.
7. 색무늬가 가장 잘 나타나고 높이 올라간 조가 우승한다.
주 의
할 점
1. 접시의 물이 넘치지 않도록 한다.
2. 선을 그을 때 한 번 그은 것과 두 번 그은 것을 비교해 보는 것도 재미있다.
Ⅵ. 과학과 놀이중심학습(과학탐구놀이)의 적용 과제
자신이 과제를 명확히 인식하고, 자신이 더 해보고 싶은 과제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한다. 학생들이 과제를 해결할 때 과학적으로 생각하고, 행동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즉, 탐구 활동의 요소인 문제 인식, 실험 설계, 변인 통제, 자료 해석, 결론 도출의 활동을 꼭 형식적이거나 문서화된 방식으로 지도하지 않더라고 과학적 탐구 활동을 통한 과학적 방법을 체득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 수 있다.
또한, 과학 탐구 놀이는 학생들 자신이 어떻게 생각하는지 혹은 어떻게 사고해야 하는지를 지도해야 한다. 이는 학습자의 능동적 구성 학습에서 매우 중요한 점을 부각시킨 것이다. 즉, 이미 주어진 상황에 대해 다르게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것은 경험이 없는 학생들에게는 안내된 탐구 활동을, 경험이 풍부한 학생들에게는 열려진 탐구 활동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Ⅶ. 결론
미래 사회는 과학만능의 사회임이 분명하다. 과학과 밀접해지는 사회에서는 과학은 과학자들 자신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과학을 응용하는 사람이나 국가 지도자들에 의해서 남용 또는 오용되어 인류에게 큰 재앙을 가져다 줄 수도 있다. 따라서 미래 사회를 살아갈 시민들은 과학을 합당하게 지원하고 과학의 오남용을 알아차릴 수 있고, 현명하게 판단할 수 있는 일정 수준의 과학적 소양을 가져야한다. 이러한 과학적 소양만이 미래 사회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제 학교 교육은 미래 시민에게 필요한 이러한 과학적 소양 교육에 주력하여야 한다. 학생들에게 일상 경험과 관계가 먼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내용만을 전달할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일상에서 직접 만나는 자연 현상과 연관 있는 내용들을 가르쳐야한다. 그래서 학생들이 학교 시험지에 써 넣을 정답으로서 가치와 실제 경험에서 체득한 가치의 차별 속에서 더 이상 혼돈에 빠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참고문헌
김창식·이화국·권재술·김영수·김찬종(1993) / 과학학습평가, 교육과학사
김해진(1999) / 심화·보충형 수준별 수업이 학습 능력별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유준희(1993) / 과학역할놀이와 공연, 관악사
이경훈(1997) / 탐색적,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한 과학에 대한 태도 3요소 모델의 타당도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정완호·권재술·정진우·김효남·최병순·허명(1997) / 과학과 수업모형, 서울 : 교육과학사
최돈형 역(1989) / 과학과 학습 모형의 이론과 실제, 서울 : 교육과학사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10.0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40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