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밀양]경남(경상남도) 밀양의 문화재, 경남(경상남도) 밀양의 상권, 경남(경상남도) 밀양의 음악, 경남(경상남도) 밀양과 얼음골 사과, 경남(경상남도) 밀양과 밀양지, 경남(경상남도) 밀양과 밀양댐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남 밀양]경남(경상남도) 밀양의 문화재, 경남(경상남도) 밀양의 상권, 경남(경상남도) 밀양의 음악, 경남(경상남도) 밀양과 얼음골 사과, 경남(경상남도) 밀양과 밀양지, 경남(경상남도) 밀양과 밀양댐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경남(경상남도) 밀양의 문화재
1. 영남루
2. 표충비각
3. 표충사
4. 기회송림
5. 만어사
6. 밀양 백송
7. 밀양 향교
8. 석골사
9. 수산제
10. 아랑각
11. 어변당
12. 월연정
13. 작원관
14. 천진궁

Ⅱ. 경남(경상남도) 밀양의 상권

Ⅲ. 경남(경상남도) 밀양의 음악

Ⅳ. 경남(경상남도) 밀양과 얼음골 사과

Ⅴ. 경남(경상남도) 밀양과 밀양지
1. 구성
2. 서술체계의 특징

Ⅵ. 경남(경상남도) 밀양과 밀양댐
1. 위치 및 면적
2. 지형, 지질 및 토양조사
1) 지형
2) 지질
3) 토양
4) 식물상 조사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는 데 일정한 시사점을 주는 부분도 있는 것이다. 밀양지가 취한 몇 가지 장점은 최근에 간행된 이천시지의 서술체계와 상호 비교한다면 일정부분 드러난다. 무엇보다 이천시지와 밀양지의 전체구성이 많은 부분 비슷하다.
밀양지는 당시로서 새로운 지방사 서술 체제를 지향하였다는 점에서 획기적 측면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밀양지는 최근에 간행되고 있는 비교적 제대로 된 지방지의 경우와 비교하더라도 서술 체제의 기본 구성 원리가 비슷한 부분이 있다는 점을 볼 수 있다. 결국 최근 지방지들이 과연 지역사로서 특성들을 전형적으로 보여주고 있는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최근 간행된 경남 각 지역의 지방지를 망라하여 지방지 서술체계 상의 주요 강조점은 무엇인가 등 서술체계의 상호 비교를 통해 지역화 교육의 방향을 설정해야 한다. 그리고 지방지에 대한 본격 서평으로서 이천시지에 대한 서평도 참조된다.
Ⅵ. 경남(경상남도) 밀양과 밀양댐
1. 위치 및 면적
밀양댐은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고례리에 위치하고, 댐지점을 기준으로해 동경 128°54′ 북위 35°32′지점이다. 댐유역면적은 104.4km2로서 행정구역상 경남 밀양시 단장면과 울주군 상북면 일부와 양산시 원동면 일부가 포함된다.
평균 기온은 12.9。C로서 대체적으로 온화한 편이며 가장 추운 때는 1990년 1월로서 -15.8。C이며 가장 더운 때는 1994년 8월로서 39.4。C이다. 따라서 연간 기온의 차를 볼 때 대체적으로 분지 지역의 기후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24년간의 연간 강수량의 평균은 1201.93mm이며, 1972년부터 1995년까지의 연간 강수량의 변화를 볼 때 1977년에 814.2mm로 가장 적었으며 1985년에는 1697.6mm로 강수량의 차이가 매우 높다. 이러한 원인은 해마다 찾아오는 장마와 태풍에 따른 집중호우의 불규칙성 때문이라 판단된다.
연평균 풍속은 1.5m/sec로 약한 편이며 9월에 가장 약하여 1.1m/sec이며 4월에 1.9m/sec로서 가장 강하며, 풍향은 대체적으로 북서풍이 불며 여름에는 북서풍 또는 남동풍이 분다.
2. 지형, 지질 및 토양조사
1) 지형
밀양댐지역은 지형연륜상 장년기 지형에 속하고, 반경 10km이내에 우측으로는 향로산(950m)과 향로봉(727m)이 남북방향으로 자리잡아 서남쪽의 금오산(725m)과 만어산(670m)과 연계되는 L자형의 지형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댐지점을 기준으로 북측은 정상산(859.5m)에서 천황산(1189.2m)을 잇는 주능선과 이 능선에서 분지 된 NNE 및 NNW방향의 소능선으로 둘러싸여있고 동측은 재약산(1108.0m) 에서 배태고개를 잇는 주능선과 NW 및 NS 방향의 소능선에 의해 싸여있다.
밀양댐지역 주변하천을 살펴보면 단장천 유역은 밀양강의 제 1 지류로서 353.4km2의 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이중 30%가량을 밀양댐이 차지하고 있다.
2) 지질
밀양댐지역의 암석은 백악기에 형성된 화성암류 및 셰일층으로써 하위층은 밀양 안산암이며 상위층은 정각산층으로 구분되는 셰일이 분포한다. 정각산층은 거대한 분류암인 밀양 안산암 위에 놓여있고, 소규모의 범도리 안산암이 분출되어 있으나 대부분이 운문사 류문암질의 회색 응회암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정상층 하부는 녹색 내지 녹회색층으로서 응회질 사암 및 셰일로 구성되며, 최하부층은 밀양 안산암의 최상위 기저역암에 해당되는 응회질 역암이 놓인다. 정상층 중부는 회색 내지 회백색의 응회질 셰일 및 사암 또는 역암이 소량 산재한다. 범도리안산암은 단장면 범도리에 소량 분포하며, 주사산 안산암질 중에서 가장 후기의 안산암이다.
3) 토양
밀양댐지역내 전체적인 토양현황을 살펴보면(풍천, 행곡, 태화, 석토, 대흥, 봉산, 금곡, 고천, 무등, 고산) 9개의 토양통과 하천범람지로 분류가 되며, 그 외에 암석노출지역, 하천 및 하천충적지로 구분이 되며, 21곳의 조사지역은(금곡, 행곡, 무등, 석토, 고천, 태화, 대흥, 고산) 8개의 토양통으로 나뉘어진다.
4) 식물상 조사
사회동 일대는 경작으로 인하여 구기자, 메밀을 비롯한 여러가지 재배식물들이 퍼져있으며, 망초, 개망초, 돼지풀, 미국가막사리 등 귀화식물과 잡초성이 강한 초본이 널리 분포하고 있다. 마을의 인가 주위로는 감나무, 대추나무 등의 유실수가 많이 남아있다. 농암대골로 들어감에 따라 인위적인 간섭에 의한 식물분포는 점점 자연스런 형태로 변화한다.
식물상은 크게 계곡을 중심으로 하여 농암대 사면과 그 반대편 사면으로 대별되는데, 출현하는 식물종은 대동소이하다. 농암대 반대편(북사면)이 농암대편(남사면)보다 종이 보다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이는 북사면이 물을 가까이 접하고 있어 습도가 높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전체적으로 굴참나무, 상수리나무 및 신갈나무 등의 참나무류가 우점을 이룬 가운데 소나무, 굴피나무 등이 드물게 생육하고 생강나무, 비목나무, 함박꽃나무, 병꽃나무, 사람주나무, 쪽동백, 합다리나무, 나도밤나무, 누리장나무, 때죽나무, 팥배나무, 노각나무, 감태나무, 대팻집나무, 작살나무, 층꽃나무등의 목본이 있고, 초본식물로는 꿀풀, 큰까치수영, 바위채송화, 기린초, 용담, 칼잎용담, 일월비비추, 비비추, 백선, 삿갓나물, 우산나물, 비짜루, 방울비짜루, 둥굴레, 진황정, 애기나리 등이 분포한다. 특히 사람주나무는 개체수가 매우 많을 뿐 아니라 매우 폭넓게 분포하는 반면, 나도밤나무, 층꽃나무, 큰꽃으아리, 은대난초등은 개체수가 적고 분포범위도 매우 좁다.
현재까지 본 조사를 통하여 기록된 식물은 총 80과 175속 224종 31변종 5품종 등 총 260종류(Taxa)로 분류 되었다.
참고문헌
박헌렬, 지구촌의 환경과 인간, 서울 : 영풍문고, 2000
오수영, 경북의 식물자원, 자연보존, 1979
전라남도교육청, 자연을 사랑하는 교육, 환경 교육 연찬 교재, 1997
이영노, 한국의 희귀 및 위기동식물 실태조사연구, 자연보존연구보고서 제 10집, 1990
이창복, 우리나라의 천연보호구역-설정의 목적과 희귀 및 특산식물. 자연보존 54, 1986
조용훈, 자연·환경 그리고 창조, cited, 2000

키워드

밀양,   경남,   경상남도,   얼음골,   사과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0.10.30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68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