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고전문학의 분류, 한국 고전문학의 특성, 한국 고전문학과 사이버공간(온라인, 인터넷), 한국 고전문학과 고어해독, 한국 고전문학의 재창조 사례, 한국 고전문학의 지도 사례, 한국 고전문학의 학습 방법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고전문학의 분류, 한국 고전문학의 특성, 한국 고전문학과 사이버공간(온라인, 인터넷), 한국 고전문학과 고어해독, 한국 고전문학의 재창조 사례, 한국 고전문학의 지도 사례, 한국 고전문학의 학습 방법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한국 고전문학의 분류
1. 원시문학
2. 고대문학
3. 중세문학
1) 중세전기문학(삼국시대, 남북국시대, 고려전기시대) : 불교(佛敎)에서 보편성을 추구한다
2) 중세후기문학(고려후기시대, 조선전기시대) : 성리학(性理學)에서 보편성을 추구한다

Ⅲ. 한국 고전문학의 특성

Ⅳ. 한국 고전문학과 사이버공간(온라인, 인터넷)

Ⅴ. 한국 고전문학과 고어해독
1. 해독을 위해 무엇을 공부해야 하는가?
2. 어떤 교재로 어떻게 공부해야 하는가?

Ⅵ. 한국 고전문학의 재창조 사례
1. 게임을 통한 재창조
1) 재창조의 전제 조건
2) 구운몽, 옥루몽이 갖는 매력
2. 현대적 재창조 - 게임을 통하여
1) 방대한 스케일을 살린 장르 통합 게임
2) 서사가 있는 게임
3) 성취욕의 고취
4) 전략시뮬

Ⅶ. 한국 고전문학의 지도 사례
1. 고전소설을 애니메이션으로 만들기
2. 고전소설을 읽은 후 토론하기
3. 고전소설을 읽은 소감을 시나 시조로 쓰기
4. 고전 시가를 고전소설(현대 소설)로 바꾸어 쓰기
5. 고전소설을 독후감, 시화, 배경음악, 숨은 그림 찾기, 4컷 만화로 바꾸어 보기

Ⅷ. 한국 고전문학의 학습 방법
1. 고대가요 : 구지가, 황조가, 공무도하가, 정읍사
2. 향가 : 제망매가, 찬기파랑가, 안민가, 처용가, 정석가(향가 잔존 형태)
3. 고려속요 : 가시리, 청산별곡, 동동, 서경별곡
4. 경기체가 : 한림별곡 - 고려시대에는 단 한 작품뿐이다
5. 시조 : 고려말(3~4편), 조선 초(3~4편), 윤선도, 정철, 이황, 이이, 황진이, 후기 사설시조(10여 편)
6. 가사 : 상춘곡, 면앙정가, 사미인곡, 속미인곡, 관동별곡, 누항사, 선상탄, 내방가사, 기행가사
7. 고소설 : 금오신화, 박지원(호질, 허생전), 판소리계 소설, 영웅소설, 구운몽
1) 인물
2) 사건
3) 배경
4) 문체
5) 갈등
6) 서술자와 시점
7) 주제
8) 판소리계 소설
9) 박지원 소설
8. 민요 : 시집살이 노래, 노동요
9. 수필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 늦으면 시간이나 분량을 제한하는 것도 한 방법이나 가능한 제한 없이 쓰게 하는 것이 좋다. 쓴 후 반드시 몇 작품을 발표시킨다. 의외로 기발한 작품이 나와 수업시간에 활력소가 되기도 한다.
5. 고전소설을 독후감, 시화, 배경음악, 숨은 그림 찾기, 4컷 만화로 바꾸어 보기
이 활동은 고전 소설을 갖고 다양한 활동을 하는 수업 방법인데 이 때 교실이 소란하거나 교사가 많은 신경을 써야 하므로 어려움이 많겠지만 한 번 시도해보면 적은 시간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미리 예고한다.(1차시-조 나누기, 조별 활동 영역 정하기, 준비물-조별 활동에 맞게)
-조별 활동(2차시-30분)
-교사 중간 점검 및 지도는 꼭 필요
-마지막 차시(조별 발표 및 감상)
▶가능한 모든 활동 후 학생들의 소감을 간단히 적게 하여 교사가 참고한다.
Ⅷ. 한국 고전문학의 학습 방법
고전문학은 문학이 가진 기본적 성질과 함께 고전문학 고유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고전문학을 해석하고 감상하기 위해서는 문학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함께 고전문학 각각의 장르가 가진 특성을 먼저 공부해야 한다. 그런 다음 당시의 시대상이나 사람들의 의식 세계를 고려해 가며 작품을 해석하면 된다.
1. 고대가요 : 구지가, 황조가, 공무도하가, 정읍사
* 고대가요는 배경설화가 얽혀 있다. - 배경설화에는 당시 사람들의 의식 세계가 들어있고, 그것은 곧 작품을 이해하는 단서가 되므로 가요와 배경설화의 연관성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 내용도 표현 기법도 대단히 단순하다. - 이에 관해 이해해 두는 정도면 된다. 다만 [구지가]는 집단의식을 반영하고 있으며 상징적 수법을 쓰고 있으므로 이를 이해해 두어야 한다.
2. 향가 : 제망매가, 찬기파랑가, 안민가, 처용가, 정석가(향가 잔존 형태)
* 향가 역시 대부분 배경설화가 있다. - 상호 연관성을 이해해 두어야 한다.
* 대체로 불교적 성격을 띠면서도 작품 나름의 성격이 있다. - 작품의 주제의식을 잘 파악해야 한다.
* 10구체는 의미상 3단 구조, 결구(結句)의 감탄사 등이 시조의 형식과 연결된다.
3. 고려속요 : 가시리, 청산별곡, 동동, 서경별곡
* 생활 속의 감정을 진솔하게 표현했다. - 당대 현실과 삶의 모습을 연관지어 이해해야 한다.
* 여음(조흥구)을 비롯하여 음성율 등의 음악적 성격 두드러지다. - 음악성이 자아내는 감정이 어떤 것인지, 그것이 내용(주제)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파악한다.
4. 경기체가 : 한림별곡 - 고려시대에는 단 한 작품뿐이다
* 지시적 언어(대상을 직접적으로 가리켜 표현하는 언어)를 사용한다. - 일반적 시적 표현과 상반된 성격이다.
* 화자인 문인들이 자기네의 문화를 열거의 방식으로 과시하고 있다.
* 표현방식도 내용도 지극히 단순하여 일반적 기준에서 보는 문학성은 떨어지지만 현대 문화 현상에서 비슷한 상황을 생각하며 공부하면 좋겠다.
5. 시조 : 고려말(3~4편), 조선 초(3~4편), 윤선도, 정철, 이황, 이이, 황진이, 후기 사설시조(10여 편)
* 고려말부터 조선 초기의 시조는 시대에 대한 고민을 담고 있다. - 시대상과 연관지어 이해한다.
* 조선 전기의 시조는 대체로 강호가도(江湖歌道)를 담고 있으며 상투적이고 관념적이다. - \'강호가도\'는 시인의 생활 속에서 우러나오는 자신의 자신만의 감정이라기보다는 당대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추구하는 관념, 그래서 본받고자 하는 관념이라고 할 수 있다.
* 이황이이 등의 시조는 도학적인 성격이 강하다.
* 황진이를 비롯한 몇몇 연정을 담은 시조는 삶 속의 감정을 진솔하게 드러내면서도 표현이 개성적이다.
* 조선 후기의 사설시조는 서민들의 생활 감정을 진솔하게 표현, 필요 이상의 유희에 가까운 열거, 일상어 사용, 서사적, 해학적(풍자적) 요소 등의 성격이 있다.
6. 가사 : 상춘곡, 면앙정가, 사미인곡, 속미인곡, 관동별곡, 누항사, 선상탄, 내방가사, 기행가사
* 조선 전기의 가사는 역시 주로 관념적인 강호가도(江湖歌道)를 상투적이면서도 다양한 수사기교로 표현했다. - 표현 기법에 관한 이해와 의미 해석이 중요하다.
* 조선 후기의 가사는 작자의 처지가 반영된 다양한 삶의 모습을 나름의 기법으로 표현했다. - 표현 기법에 관한 이해와 의미 해석이 중요하다.
7. 고소설 : 금오신화, 박지원(호질, 허생전), 판소리계 소설, 영웅소설, 구운몽
1) 인물
전형적유형적 인물, 주인공은 재자가인(才子佳人), 말하기 방식(직접적)으로 제시, 주로 평면적 인물
2) 사건
비현실성전기성(傳奇性):개연성 부족, 우연의 연발, 시간 순서대로 구성, 행복한 결말
3) 배경
막연한 시공간적 배경, 주제에 대한 기여도 미약, 중국을 배경으로 하는 경우 많다.
4) 문체
문어체 위주, 고사와 한자성어 이용
5) 갈등
선과 악의 대립
6) 서술자와 시점
삼인칭 전지적 입장의 서술자, 작중 사건에 대한 논평과 개입
7) 주제
권선징악, 현실 풍자
8) 판소리계 소설
하층민 입장에서의 풍자와 해학, 이원적 문체(운문+산문, 고유어+한자어, 구어+문어, 상층+하층), 비극적 상황에서의 해학적 요소를 통한 감정의 이완, 판소리 장단과 내용의 연관성
9) 박지원 소설
독창적인 문체, 양반 사대부에 대한 풍자
8. 민요 : 시집살이 노래, 노동요
* 서민들의 생활과 감정의 구체적인 표현
* 민요적 운율
* 해학적 표현
9. 수필
고려 후기 문인들의 한문 수필(4~5편), 조선 후기 실학자들의 한문 수필(4~5편), 궁중수필(3~4편), 여류 수필(4~5편)
* 한문 수필은 현대국어로 번역하여 제시, 주제와 전개 방식 파악
* 궁중수필은 역사적 사건과 연관
* 여류 수필은 여성들의 삶과 감정을 생활어를 중심으로 섬세하게 표현
참고문헌
김기동(1985), 한국고전소설연구, 교육연구사
문일환(1997), 조선고전문학사, 한국문화사
유광재(2003), 희소전공국어 고전문학, 열린교육
집문당, 고전문학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정경섭·조규빈(2003), 고전 문학의 이해와 감상2 - 산문2, 문원각
황재군(1985), 한국 고전 여류 시문학 연구, 집문당
  • 가격6,5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0.11.1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87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