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한글)의 특징, 훈민정음(한글)의 목적, 훈민정음(한글)의 원리, 훈민정음(한글)의 관점, 훈민정음(한글)의 발음기관 상형기원설, 훈민정음(한글)과 신숙주, 훈민정음(한글)과 세종대왕상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훈민정음(한글)의 특징, 훈민정음(한글)의 목적, 훈민정음(한글)의 원리, 훈민정음(한글)의 관점, 훈민정음(한글)의 발음기관 상형기원설, 훈민정음(한글)과 신숙주, 훈민정음(한글)과 세종대왕상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훈민정음(한글)의 특징

Ⅲ. 훈민정음(한글)의 목적

Ⅳ. 훈민정음(한글)의 원리
1. 첫소리 본문 17자 만듦(생성)의 원리
1) 기본 5 글자의 발성기관 본뜨기 원리
2) 세기에 따라 획 더하는 원리
3) 획 더하기가 아닌 발성기관 모양 본뜨기
2. 17자 밖의 글자를 만드는 원리
3. 조음음성학의 자질과 동양철학의 합리화
4. 가운뎃소리 본문 11자 만듦의 원리
1) 기본 3소리 글자를 만드는 원리
2) 합한 8 글자 만드는 원리
3) 11 글자 밖의 운용 글자 만드는 원리

Ⅴ. 훈민정음(한글)의 관점

Ⅵ. 훈민정음(한글)의 발음기관 상형기원설
1. 고전기원설
2. 범자 기원설
3. 몽고자 기원설
4. 범자와 몽고자 기원설
5. 고대문자 기원설
6. 태극사상 기원설
7. 창문 상형 기원설
8. 기일성문도 기원설

Ⅶ. 훈민정음(한글)과 신숙주
1. 음운학에 밝은 세종과 신숙주
2. 신숙주의 조선 한자음에 대한 판단

Ⅷ. 훈민정음(한글)과 세종대왕상
1. 수상대상
2. 내용
3. 수상사례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를 이른바 「절운계 운서」라고 한다. 그 이후로도 왕조에 따라 대표적인 운서가 편찬되었으니 원(元)대에는 유연의 『임자신간예부운략』(1252)과 웅충의 『고금운회거요』(1297)가, 명(明)대에는 『홍무정운』(1375)이 간행되었다. 또 송대에는 등운학(等韻學)이 성하여 『절운지장도』(11761203 이전)와 같은 등운서가 출현하였다. 여기에서는 한자음의 성모가 발음되는 위치에 따라 7음을 분류한 다음 36자모를 선정하고 각 성모(聲母)의 변별적 자질인 청탁의 체계를 확립하였다. 그리고 운모(韻母)에 대해서는 먼저 사성을 구분한 다음 운두의 종류와 유무에 따라 개구음[-rounded]과 합구음[+rounded]으로 양분하고 또 운두와 주모음(핵모음)의 성질에 따라 1등운4등운을 구별하여 각 한자음의 변별성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등운도(일종의 sound table)를 작성하였던 것이다.
신숙주가 이상의 운서와 등운도를 비롯하여 중국 음운학에 대한 조예가 매우 깊었던 증거를 여기에서 문증으로 다 제시할 지면이 없지만 그가 집필한 『동운』 서와 『역훈』 서는 물론 최세진의 『사성통해』(1517)에 수록된 『사성통고』 범례 등을 정독하여 보면 곧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세종 당시에 우리 한자음의 실상은 어떠하였던가. 신숙주는 『동운』 서문에서 당시에 전승된 조선 한자음의 특징을 빚어낸 변인을 매우 극명하게 지적하였다. 즉, 어리석은 스승이나 선비들이 (1) 반절법을 모르고 (2) 자모와 운모의 분류 방식도 몰라서 (3) 혹은 자형이 상사하여 한 음으로 하고 (4) 혹은 선왕의 휘자를 피하여 다른 음을 빌리며 (5) 혹은 두 글자를 합하여 하나로 하고 (6) 혹은 한 음을 둘로 나누며 (7) 혹은 다른 글자를 빌리고 (8) 혹은 점이나 획을 가감하며 (9) 혹은 중국 한음에 기대기도 하며 (10) 혹은 우리말 음을 따라서 (11) 자모와 칠음, 청탁과 사성이 모두 변하였다.
이상 11가지 변인 중 특히 (11)의 내용을 알기 쉽게 해설하면 다음과 같다.
①원래 중국 한음에서 [k\'-](무성유기음)로 발음되던 자음이 우리 한자음에서는 대부분 [k-](무성무기음)로 발음되고 있다(溪母之字 太半入於見母).
②원래 중국 한음에서 [k\'-]로 발음되던 자음이 더러는 [h-]음으로 발음되는 것도 있다(溪母之字或入於曉母).
③우리말에서는 [k\'-]음이 많이 쓰이는데 조선한자음에는 오직 \'?\'(쾌)자가 있을 뿐이다(國語多用溪母 而字音則獨?之一音而已).
④ 설두음과 설상음의 구별이 없다.
⑤ 순중음과 순경음의 구별이 없다.
⑥치두음과 정치음의 구별이 없다(如舌頭舌上 脣重脣輕 齒頭正齒之類 於我國字音 未可分辨).
⑦ 우리 한자음에는 전탁음이 없다(於字音無濁聲).
이상의 사항들은 세종 당시까지 우리나라의 전래 한자음이 지닌 성모의 특징을 중국 운서음과 비교 귀납한 것으로 특히 ④⑥은 한중어 간에 존재한 음소 목록의 차이를 명확히 꿰뚫어 본 것이다. 그러므로 성모에 관한 한 전래 조선한자음 중에 ①③항과 ⑦항에 해당한 자음들이 크게 개정되었음을 볼 수 있다.
그리하여 ④⑥은 당시의 국어 음운 체계에서도 비변별적(non-distinctive)이었으므로 『동운』에서는 중고한음의 36자모를 통합하여 23개 자모를 책정하였던 것이다.
Ⅷ. 훈민정음(한글)과 세종대왕상
유네스코가 세계 각국에서 문맹퇴치사업에 가장 공이 많은 개인이나 단체를 뽑아 매년 시상하는 문맹퇴치 공로상.
수상분야 : 문맹퇴치
주 최 : 유네스코
개최원년 : 1990년
개최시기 : 매년 9월 8일
시상내역 : 종사자, 언론캠페인 종사자, 교육자재개발, 학술연구
1989년 6월 한국정부의 제의에 따라 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유네스코) 집행위원회에서 제정, 1990년부터 대상자를 뽑아 문맹퇴치의 날인 매년 9월 8일에 수상한다. 상은 본상과 장려상의 2부문으로 수여되며, 상금 3만 달러는 한국정부가 출연한다.
1. 수상대상
① 문맹퇴치사업에 직접 종사한 경우, ② 국가 또는 지역 단위의 문맹퇴치사업 종사, ③ 문맹퇴치를 위한 언론캠페인 종사, ④ 문맹퇴치를 위한 교육자재개발 생산, ⑤ 문맹퇴치관련 학술연구, ⑥ 문맹퇴치사업계획 수립 및 이를 위한 조사업무, ⑦ 청소년의 문맹퇴치사업 참여유도, ⑧ 문맹퇴치에 공이 있는 언론 등이다.
2. 내용
989년 6월 유네스코와 한국 정부에 의해 세계의 문자 중에 가장 과학적인 한글반포의 업적과 한글 창제에 담긴 숭고한 세종대왕의 정신을 기리고, 전 세계에서 문맹을 퇴치하기 위하여 헌신하는 개인, 단체, 기관들의 노력을 격려하고 그 정신을 드높이기 위해 제정되었다. 한글은 이미 유네스코에서 세계 기록유산으로 등록되어 있다고 한다.
1990년에 처음 시행된 이래 인도, 가나, 요르단 등 세계 곳곳에서 문맹퇴치에 커다란 공을 세우거나 성공적인 활동을 펼친 단체에 수여되고 있으며, 수상자에게는 소정의 상장과 메달, 그리고 상금 3만 달러가 지급되는데 상금은 한국정부의 지원금으로 충당된다고 한다.
9월 8일은 1965년 테헤란에서 열린 세계교육장관회의에서 지정된 세계 문맹퇴치의 날이기 때문에 유네스코에서 문맹퇴치상인 세종대왕상을 9월 8일에 수상자를 발표하고 시상은 한글날인 10월 9일에 한다.
3. 수상사례
1990 인도 과학 대중화 단체
1991 가나 성인교육연구소
1992 인도 지식의 등불 운동
1993 요르단 교육부
1994 튀니지 여성연맹
1995 중국 에쿠아도르 전국부녀연합회 문맹퇴치훈련 프로젝트
1996 사우디아라비아 자이르 국방항공부 군교육문화국 디브와디아 디툼바 유네스코클럽
1997 필리핀 토고공화국 노트르담 자선활동기금 토고면직회사
1998 이집트 프랑스 문해 및 성인교육 총괄국 비문해퇴치를 위한 상설기구
참고문헌
- 김슬웅(2007), 28자로 이룬 문자 혁명 훈민정음, 아이세움
- 강신항(1990), 훈민정음연구, 성균관대학교출판부
- 박현모(2006), 세종의 수성 리더십, 삼성경제연구소
- 박영규(2002), 세종대왕과 그의 인재들, 들녁
- 유창균(1996), 훈민정음, 형설출판사
- 전정례·김형주(2002), 훈민정음과 문자론, 역락출판사
  • 가격6,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0.12.0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24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