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근현대사 A+독후감]망국의 역사, 조선을 읽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근현대사 A+독후감]망국의 역사, 조선을 읽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부. 조선은 어떻게 시들어갔는가?(17~18세기)
조선과 중국의 관계 : 천하체제 속의 전통 질서
조선과 중국의 관계 : 껍데기만 남은 조공 관계
사림의 권위와 사림의 세력
실용주의의 보루, 대동법
신권과 왕권의 힘겨루기, 예송논쟁
정조의 어찰 정치
정조의 권도 정치
실학의 좌절

2부. 조선은 어떻게 쓰러져갔는가?(19세기)
조선 망국의 두 단계
실종된 왕권
대원군도 못 벗어난 세도 정치의 틀
동도서기론의 한계
매천 야록의 고종 시대
망국의 마지막 고비, 임오군란
친일의 두 자세, 김홍집과 박영효
세도 정치의 종점, 을미사변
왕 노릇을 거부한 고종

3부. 조선은 어떻게 사라져갔는가?(대한제국기)
외세 줄서기의 천태만상
중국과 일본의 엇갈린 행로
조선의 마지막 지킴이, 의병
고종만을 위한 나라, 대한제국
고종의 마지막 짝사랑, 러시아
러일전쟁을 향한 길
오적의 죄인가, 고종의 죄인가?
죽음의 품격

본문내용

훨씬 나아졌다는 것을 입증할 수 있다.
우리는 대신 목표를 가지고 식민 지배를 하였던 일본을 우리의 적 또는 경쟁자로 인식하고 있다. 또한, 우리는 역사 공부를 통해 과거를 반성하고 지지 않기 위해 노력하는 투쟁적 사회 문화가 확립되었다.
여기에 저자는 지금의 경쟁적 사회에서 엘리트층의 부패가 식민 사회의 유물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이는 이해할 수 없는 부분이다. 우리나라는 일제의 침략을 당하는 동안 타율성이 어느 정도 생긴 것은 인정할 수 있는 부분이다. 하지만 그 타율성이라는 것이 개인이 아니라 사회 전체에 만연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조금 지나치다고 생각한다.
저자의 말을 정리하면 경제적인 면에서 물질 만능적이고, 정치적인 면에서 미국에 편입되는 것에 대해 아무런 우려가 없다고 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과연 이것들이 식민지 사회의 유물로 취급되어야 하는가?
오늘 날 물질에 대해 집착하는 것은 자본주의 사회 이후 등장한 패러다임이다. 재물을 통해 인간은 남보다 나은 삶을 영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동·서양 구분 없이 모든 이들의 생각이다.
또한 친미적인 성향 역시 세계화의 추세에서 보면 정당한 사유이다. 유쾌하지 않은 사실이지만 세계에 미치는 미국의 영향력은 막대하다. 심지어 오늘날 음모론자들은 미국과 중국이 배후에서 세계를 조종 한다고 말한다. 이 만큼 대단한 나라인 미국은 우리나라와 우방국으로 우리의 경제적 원천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미국을 통해 우리는 자본적 이익을 얻을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우리가 미국 문화에 과연 편입되기를 바라고 있을까? 물론 소수의 엘리트 계층은 미국을 통해 자신의 부를 지속시켜 나가려고 노력할 수 있다.
하지만 대다수는 우리 고유의 문화를 잘 지켜나가고 있다. 한국에서, 한국어를 쓰며, 한국 음식을 먹고, 한국 문화를 향유한다. 심지어 요즘 유행하는 한류라는 것에 자부심을 느끼며, 우리 문화의 우수성을 알리려 노력하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저자의 의견을 무시하거나 배척하는 것은 아니다. 단지 이 사실을 인정하게 되면 한국인들은 국가적으로, 사회적으로, 문화적으로 남들에 열등감을 지닌 사람들로 오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광복이 60년이 넘어감에 따라 우리 사회는 많은 것이 변했다. 물론 지금도 변하고 있다. 나쁜 것은 고치고 좋은 것은 계속 간직하면 된다. 세계적인 추세에서 봤을 때 우리나라는 잘 성장해가고 있고, 남들과 비교할 필요가 없다는 것임을 알린다.
  • 가격4,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1.03
  • 저작시기2010.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70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