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현대시의이해1940년대의 詩와 그 인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현대시의이해1940년대의 詩와 그 인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940년대의 詩와 그 인식】
1〉1940년대의 詩와 그 인식
Ⅰ.서론
Ⅱ.본론 -1940년대의 한국 현대시의 흐름
Ⅳ. 결론

2〉모국어의 회복과 1950년대의 시적 인식
Ⅰ.서론
Ⅱ.본론 -모국어의 회복과 1950년대의 시적 인식
Ⅳ. 결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의 시인들로 꼽힌다. 그리고 50년대의 시단은 현실에 대한 풍자시가 지탱하면서 정치의 현실과 사회 상황을 풍자했다.
《문예》지의 폐간이후 공백상태였던 문단에 1955년《현대문학》등이 창간되고 각 일간지의 신춘문예가 부활되면서 새로운 신예시인들의 대거 등장에 중요한 촉진제가 되며 본격적으로 전후문학이 형성되기 시작한다.
이 시기 전후시인으로는 〈휴전선〉으로 분단의 비극을 노래한 박봉우와 김광림, 김요섭, 박용래, 신경림, 황동규 등이 등장하여 전후의 새로운 감수성과 방법론을 보여주기 시작했다. 이들 가운데 특히 김수영과 김춘수, 조병화, 김남조, 홍윤숙 등은 개성적인 시세계를 보여주었는데 김수영은 특히 당시 4.19 이후 〈푸른하늘을〉,〈풀〉,〈눈〉등의 시를 통해서 모더니스트들의 일반적 경향인 도시문명 비판과 신기성, 암담하고 불안한 시대사조 등을 반영하고 있으며, 모더니즘적 시각과 리얼리즘의 정신을 결합함으로써 새로운 시야를 열어갔다. 그리고 유행이나 시사성에 물들지 않고 설익은 생경성을 극복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김춘수는 초기에는 R.M. 릴케의 영향을 받은 시를 썼지만, 50년 이후부터 의미의 시를 쓰기 시작하면 존재론적 서정을 무의미시론의 확대 심화해가면서 자신의 독특한 시세계를 열어갔다는 점에서 시사적 의미를 지닌다.
조병화는 현대적 도시풍의 서정시인으로 낭만적인 서정을 통해서 시적 공감대를 확대해 나가면서 자신의 독특한 시 세계를 구축하였으며, 일상의 평이한 문맥으로 사실적으로 그려내서 대중들에게 호평을 받았다. 김남조, 홍윤숙은 여성시의 가능성을 열어가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지니며, 그 밖의 시인들은 전통서정을 새롭게 계승하는 시범을 보여주며 개성적인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1950년대 후반은 몇 가지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첫째로는 서구시와 시론의 번역이 이뤄지면서 한국 현대시가 범세계적면모를 확대해 가기 시작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시론 또는 비평이 활성화 되었다는 점으로, 해방 직후의 문학 논쟁과는 달리 구체성과 논리적 체계성을 확보하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니게 된다. 그리고 현대시조가 해방 전 작가들의 의욕적 활동에 힘입어 새로운 시조시인들을 등단하게하고 시조를 현대적으로 개혁하기 시작하면서 현대시조 작단의 형성은 전통적인 시의 장르의식을 현대에 계승한다는 점에 의미가 있겠다. 여류시단에도 신인들이 등장하여 활약함으로써 시단을 풍요롭게 했다.
그리고 1960년대 시대는 그 자체가 4.19혁명과 5.16 쿠데타가 시작되면서 우리 시에 미친 영향은 엄청난 것이었다. 60년대는 민주화와 근대화라는 두 가지 목표가 상호충돌하면서 자유와 평등을 둘러싼 구조적 모순과 현실적 갈등을 드러내게 되어서 그 시대적 성격이 잘 드러난다. 1960년대의 시는 현실주의의 시와 서정적 예술주의 시, 주지적 성향의 시로 구별할 수 있는데, 4.19혁명 후에 4.19세대의 문학이 등장하는데 지식인의 민중시가 그 주축을 이루게 된다. 김수영의 〈풀〉,〈푸른하늘을〉과 같은 참여시론과 신동엽의 〈껍대기는 가라〉,〈금강〉의 참여시를 보듯이 사회참여를 통해 현식 비판이나 저항성을 강하게 드러내게 되면서 한 시대를 풍미하게 된다.
Ⅳ. 결론
지금까지 살펴보았던 것처럼 해방으로부터 1950년대 후반까지 우리 현대시는 현대시사의 전개과정에 있어서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고 문학사적 측면에서 모국어의 회복은 식민지사관의 극복이라는 대전제하에서 민족문학의 고유성과 주체성을 확보하는 데 결정적인 계기가 된 것 이다.
1950년대 전반은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살아가는 것, 그 자체가 급선무였던 시기이며, 50년대 후반은 전후 복구와 앞으로의 민족적 정통성을 확립하는 것이 시급한 시기였다. 좌익과 우익의 이데올로기의 격한 대립으로 극도의 혼란을 빚었던 해방공간과 6.25전쟁이라는 비극적 체험을 겪고 난 후, 사회와 역사적 현실을 문화적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극복했다.
이렇듯 해방 후부터 한국의 현대시사는 이 땅에서 전개된 역사적 소용돌이의 적나라한 반영으로 시대의 어려움과 생의 어려움을 예술적으로 수용하여 승화시키며, 그것을 극복하기 위한 몸부림의 표현인 것이다.
참고 문헌
김용직외,『韓國現代詩史硏究』(일지사, 2000)
장도준,『한국현대시 교육론』(국학자료원, 2003)
김창원,『한국문학-9 해방 이후의 현대시』,(웅진 밀레니엄북,1998)
김재홍,『특집l한국 현대시 100년』
이승하, 『이승하교수의 시쓰기 교실』((주)문학사상사,2004)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3.14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58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