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복지의 등장배경 및 역사와 향약 및 인보관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지역사회복지의 등장배경

1. 공동사회와 이익사회
2. 사회복지 패러다임의 변화
3. 시설복지와 재가복지
4. 지방자치제와 지역사회복지
5. 인보관과 인보정신

Ⅱ. 향약과 지역사회복지

1. 조선시대 향촌사회의 자치규약
2. 향약의 4대강목과 상호관계
1) 덕업상권
2) 과실상규
3) 예속상교
4) 환난상휼

Ⅲ. 지역사회개발사업

Ⅳ. 외국 인보관의 역사

1. 영국의 초기 인보관
2. 미국의 초기 인보관
3. 일본의 초기 인보관

Ⅴ. 한국 인보관의 역사

1. 태화사회관
2. 동부인보관
3. 이화사회관

Ⅵ. 초기 인보관의 시사점

* 참고문헌

본문내용

설립에 동참하던 고바야시(小林源六 : 당시 남
대문로에 거주)는 일금 5백 엔을 기부하였다. 당시 인보관 건립을 위해 기부한 한국
사람은 종로 4가에 거주하던 김형필이 5백 엔,장인영(張寅永)이 50엔을 기부하여 인
보관이 건립되었다. 당시 건립된 인보관은 목조 2층 건물에 50평을 건립하였으며 기
부금과 경성부에서 지원한 예산 등을 합하면 4천 엔이 건축비로 소요되었다. 본 건
물은 1929년 8월 5일 공사에 착수하여 같은 해 10월 15일 준공을 하였다.
조선총독부에서 설립한 최초의 인보관은 동부인보관(東部隣保館)이라고 하였으며
종로구 효제동(孝辯洞) 251번지에 건립되었다. 초대 관장에는 이강혁(李康衛). 부관장
에는 태응선(大應善)과 이사에는 한국인 6명이 임명되었다. 동부인보관의 건립과 함
께 당시 “경성부고시 64호” 에 의하면 경성부 어의동(於義洞) 공립보통학교에 있던
동부방면위원 사무소는 동부인보관으로 사무실을 이전하게 된다. 조선총독부시대에
건립된 인보관은 1935년에 북부인보관, 1936년에 마포인보관, 성동인보관. 영등포인
보관 등 5개소의 인보관이 설립 운영되었다( 1984 : 62-63). 기록에 의하면 조
선총독부에 건립된 5개소의 인보관은 1954딘 이후 폐쇄되었다(강만춘, 1972 : 185).
이상과 같이 당시 서울에 인보관을 건립하여 운영하게 된 것은 당시 일본의 빈민
구제제도였던 방면위원사업과 인보사업을 병행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사업을 수행하
기 위함이었다. 그러나 당시의 사회적 상황으로 보아 식민지 조선의 빈민대책을 보
다 효과적으로 수행해 나가기 위한 표면적인 이유 이 외에도 질서유지나 지배강화를
도모하기 위한 통치의 목적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보여진다. 또한 당시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동부인보관 건립시에 한국인 김형필과 장인영이 기부를 하여 참여한 점,
초대 관장에 이강혁 그리고 6명의 이사가 참여하여 인보사업에 참여한 점은 인보사
업을 통해 당시 어려운 생활을 하고 있던 동포들을 위해 기여했다는 점에서 매우 의
미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3) 이화사회관
6. 25 전쟁이 끝난 지 3년째 되는 해인 1956년에 이화여대에서는 학교 정문 앞 대
신동에 대학인보관으로는 처음으로 이화사회관을 설립하였다. 설립 목적은 이화여
대가 가지고 있던 각종 재원을 활용하여 전후의 각종 사회문제를 예방하고 당시 사
회사업학과 학생들에게 실습과 실천의 장을 제공하기 위함이었다.
대학인보관을 설립하게 된 배경은 당시 이화여대 앞 대신동에는 6.25 전쟁으로
많은 공장이 파괴되었고 수많은 전쟁 피날민들이 심한 물가 인상 등으로 어려운 생
활을 하고 있었다. 이러한 사회상황의 개선을 모색하던 이화여대 기독교학과장 다니
엘(Miss Elda Daniels : 캐나다선교사) 교수와 사회사업학과장 이매리 교수는 기회가
있을 때마다 학생들에게 자원봉사활동에 참여를 권유하였으며, 박마리아 부총장에
게 사실을 보고하고 대학의 협력을 구하게 된다. 또한 대학의 협력과 함께 외국 원
조기관이었던 캐나다연합선교사 주한미군 군수원호부(AFAK), UNKRA, 한미재단
(AKF)의 원조를 받게 된다(이명흥, 1891 : 7).
이러한 뜻에 따라 1956년 7월 이화대학부설 사회관(93.6평)이 학교 정문 앞 대신동
에 완공되어 사업을 전개하게 된다. 당시의 주된 사업은 구호사업, 보건사업, 근로청
소년 초중등교육사업, 탁아사업, 직업보도사업, 유아의료사업 등이 전개되었다. 개관
된 지 9년 후인 1965년 3월에 대학서문 쪽으로 대지 100평을 마련하여 이전하게 된
다. 19년에는 사회관의 명칭을 사회복지관으로 변경하였다. 당시 1957년부터 1960
년까지 이화사회관의 총무였면 이숙자(李淑子)에 의하면 이화사회관의 초대관장이었
던 이매리는 1955년부터 1962년 정년까지의 7년간 대학으로부터 받은 급여 전액을
사회관 운영비로 기부하였다고 한다.
이화여대 사회관은 대학 최초의 인보관이라는 데 의미가 있다. 당시 이매리의 헌신
적인 활동과 권유에 의해 많은 학생들이 자원봉사활동에 참여를 하였다. 이매리는 이
화여대에서 정년을 한 후 한국시각장애인복지협회 회장, 한국사회복지협의회 회장을
역임하고 1983년 88세에 돌아가셨다. 그는 우리나라 대학인보관의 설립과 발전에 헌
신하였으며 제자들과 후배들에게 토인비 홀의 정신을 일깨워 준 스승이라 할 수 있다.
6. 초기 인보관의 시사점
이상과 같이 영국, 미국, 일본 그리고 우리나라에 설립된 태화사회관, 조선충독부
에 의해 설립된 동부인보관, 대학부설 최초의 인보관인 이화사회관의 설립 배경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상에서 연구된 인보관들의 운영주체는 다르지만 최초라는데
의미가 있다. 특히 영국의 토인비 홀, 미국의 헐 하우스, 일본의 킹스레이관에 관한
후속 연구가 계속해서 나오기를 기대해 본다.
또한 우리나라의 태화사회관과 이화사회관은 외국선교사와 대학의 뜻 있는 사람
에 의해 설립된 인보관으로, 동부인보관은 조선충독부에 의해 설립된 최초의 인보관
으로 연구의 가치가 있다.
이러한 인보관사회관에 대한 연구는 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후학들에게 많은
교훈을 제공하게 된다. 이렇게 설립 운영되어 오던 인보관은 다시 한국적 커뮤니티
센터(community center)로 발전시켜 보려는 선배 사회사업가(사회복지사)들에게 꿈을
제시하게 된다.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 외국 원조기관인 캐나다유니태리안봉사회에 근무하
던 사회사업가들은 외국인 선교사들과 함께 지역을 중심으로 한 의료사업과 원조지
원사업을 전개하던 중 우리나라의 인보관 사회관 사업의 한국적 커뮤니티 센터의
건립을 모색하게 된다. 이러한 계획과 노력은 1964년 인보관사회관의 전통을 이어
받아, 사회복지관이라는 명칭으로, 한국 최초의 목포사회복지관을 설립하게 된다.
*참고문헌
- 김통원 외. '사회복지웹사이트', 학지사.
- 은천노인복지회. '데이케어프로글매 연구', 홍익재.
- 양용희, 김범수, 이창호. '비영리조직의 자원개발'
- 김영호. '자원복지 이론과 실제', 홍익재.
- 김범수. '지역사회복지관의 발전과정', 홍익재.
- 김형배. 지방자치론, 개명사.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 가격3,5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1.03.17
  • 저작시기201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72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