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과(과학과교육) 탐구학습 인지갈등학습과 관찰학습, 과학과(과학과교육) 탐구학습 발견학습과 순환학습, 과학과(과학과교육) 탐구학습 경험수업, 과학과(과학과교육) 탐구학습 STS(과학기술사회)수업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과학과(과학과교육) 탐구학습 인지갈등학습과 관찰학습, 과학과(과학과교육) 탐구학습 발견학습과 순환학습, 과학과(과학과교육) 탐구학습 경험수업, 과학과(과학과교육) 탐구학습 STS(과학기술사회)수업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과학과(과학과교육) 탐구학습 인지갈등학습
1. 개념
2. 인지갈등 학습의 이론적 근거
3. 인지갈등 학습의 특징
4. 인지갈등 학습의 구분
5. 인지갈등 학습 단계
6. 적용 대상 및 효과
7. 단계별 교수․학습 활동 및 유의점
1) 선 개념 확인 단계
2) 인지 갈등 유발 단계
3) 개념 도입 단계
4) 개념 적용 및 심화 단계

Ⅱ. 과학과(과학과교육) 탐구학습 관찰학습
1. 이론적 배경
1) 관찰 학습이란
2) 관찰의 유형
3) 관찰의 특징
2. 관찰 학습의 안내
1) 관찰 학습의 단계
2) 적용 대상 및 효과
3. 단계별 교수․학습 활동 및 유의점
1) 문제파악 단계
2) 예상 계획 단계
3) 관찰 단계
4) 토의 단계
5) 적용 단계

Ⅲ. 과학과(과학과교육) 탐구학습 발견학습
1. 동화와 조절의 원리이다
2. 점진적 경험과 자유로운 활동의 원리이다
3. 학습의 능동성과 수동성의 원리이다
4. 신선함과 \"아하\" 경험의 원리이다
5. 탐구 과정으로서의 발견 활동 원리이다

Ⅳ. 과학과(과학과교육) 탐구학습 순환학습
1. 순환 학습의 의미
2. 학습 과정
3. 순환 학습의 특징

Ⅴ. 과학과(과학과교육) 탐구학습 경험수업
1. 이론적 기초
2. 특징
3. 적용 적합 단원(영역)
4. 과정
1) 자율 탐색 단계(자료 관찰, 자료 놀이, 분류)
2) 탐색 결과 발표 단계(결과 발표, 토의)
3) 교사의 인도에 따른 탐색(관찰, 관점 제시, 분류 기준 제시)
4) 탐색 결과 정리 단계(이해, 문장화)

Ⅵ. 과학과(과학과교육) 탐구학습 STS(과학기술사회)수업
1. STS교육의 등장배경
2. STS교육의 특성
1) ROY
2) Hofstein
3) 미국과학교사협회(NATA)
3. STS 을 적용한 과학교육의 실제
1) STS 프로그램과 관련된 자료를 제작한다
2) 소집단 탐구 활동 실시

참고문헌

본문내용

커리큘럼이 보급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1970 년대 후반부터 탐구 커리큘럼에 대한 비판과 그 동안의 사회 변화의 특성을 재검토함으로써 인본주의와 정보화 사회의 수용을 위한 수정이 가해지게 되었다.
20세기 중엽에 접어들면서 과학과 시술은 서로 간의 발전이 상승 작용을 하게 되고 , 또 한 그 발전 속도가 급격히 빨라짐에 따라 산업 체제와 경제 나아가서는 사회 변화를 가속화시키게 되었다.
그리하여 과학 그 자체가 응용과학이나 기술보다 한 층 사회 변화의 강력한 원동력이라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따라서 현대 사회는 과학 교육의 본질을 과학의 전달 기능에 두는 것이 아니라 과학의 창조 기능에 두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게 되었다.
즉, 창조성이 풍부하고 탐구심이 왕성한 인간을 기르고 과학의 방법을 체득함으로써 현대와 미래의 생활을 원만하게 영위할 수 있게 하며 나아가서 과학 기술의 토대가 되는 과학적 인식 능력을 길러 주어 과거의 문화를 무리 없이 흡수하고 새로운 변화 과정으로 이끄는 창조적인 통찰력과 전이력 있는 지성과 인력을 기르는 탐구 커리큘럼이 필요하게 되었다.
Bruner를 중심으로 하는 학계에서 학문 중심 교육 철학을 바탕으로 지식의 전수가 아닌 지식의 창조와 개발을 중요시하는 교육 방법을 제시하였다. 즉 그들은 지식의 구조화탐구 또는 발견 중심의 교육 방법을 중핵으로 하면서 이를 더욱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인지 발달 이론과 내재적 동기 유발 즉 지적 호기심 직관적 사고와 분산적 사고 학습 준비와 적절한 교육 자료의 준비 등을 활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과학 교육에서는 지나칠 만큼의 학문의 순수성을 강조하여 다른 학문과의 관련성상보성 등이 결여되었고, 나아가서 학생들의 흥미의 폭을 좁혔으며 창의적 사고의 기회를 줄였다는 비판을 받게 되었다. 그리고 학문 중심 교육과정은 복잡한 사회 문제·가치문제 등을 수용할 수 없어서 경직될 우려가 있으며 응용성실용성을 지나치게 등한시한다는 비판을 하게 되었다.
그리고 Schwab 의 탐구론은 정형 탐구 과정과 부정형 탐구 과정으로 나누어지는데 전자는 Deway 의 과학적 방법론과 후자는 Kuhn의 과학의 발전모델과 각각 그 맥을 같이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부정형 탐구론은 중등학교 수준의 교육에서 과학의 지식 체계까지 의미 있게 관련 지우는 데 있어서 기술적인 한계에 부딪히게 되어 일단은 실패하였다고 하는 사람도 있다.
1960년 이후 1970 년 중반에 이르기까지 미국을 중심으로 탐구형 교육 과정의 효과를 실험적으로 분석한 결과에 의하여 새 교육 과정의 성과 살 만하다는 결론이 나온다. 이와 같이 탐구 학습이 효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앞에서 언급한 비판들이 나왔고 이러한 교육 철학에 입각한 과학 교육의 혁신 운동이 주춤해진 것은 여러 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탐구 학습 지도 방법에 대한 미숙이 가장 큰 주원인으로 지적하고 있다.
1970년대 후반에 접어들면서 과학 교육을 자연과 사회와 인간이라는 관점에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특히 인간적인 측면을 강조하였다. Alberty는 탐구 커리큘럼이 과학주의에 치중되기 쉽고 학습자의 인간성이 경시되기 쉽다고 경고하였으며 Comts는 과학의 기술사회경제도덕 등과의 관계가 중요시되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1980년대에 접어들면서 고도산업 사회가 정보화 사회로 이행해 감에 따라 과학 교육의 지향할 방향이 재검토되어야 할 시점에 도달하게 되었다.
2. STS교육의 특성
STS에 대하여 과학 교육자들은 다양한 정의를 내렸다.
1) ROY
STS는 과학과 기술사회에 대한 공통적이고 통합적 교육이다. 전통적 교육은 학문을 분리한 측면에서 다루지만 STS는 과학과 기술과 사회를 통합적인 측면에서 다룬다. 현대 과학기술사회에서 학생들이 ‘과학적 기술적 소양’을 갖추는 유의미한 방법이다
2) Hofstein
“STS 란 일반적으로 과학을 기술적 사회적인 환경 하에서 과학 내용을 가르치는 것을 의미하며 학생은 자연 세계에 대한 그들의 개인적 이해를 인간이 만든 세계와 학생이 매일 경험하려는 사회 세계를 통합하려는 경향을 가진다. STS는 이러한 과학-기술-사회의 상호 관련성을 나타낸다.”고 정의하였다.
3) 미국과학교사협회(NATA)
STS란 “인간의 경험적인 맥락에서 과학을 가르치고 학습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그 목적은 “과학적으로 교양 있는 시민을 길러내는 것”이다.
즉, STS교육은 소수의 과학자니 과학 관련 종사자를 위한 교육이 아닌 다수의 일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만인을 위한 과학’을 추구하는 학습이다
3. STS 을 적용한 과학교육의 실제
1) STS 프로그램과 관련된 자료를 제작한다
(1) 학습을 이질 집단으로 소집단을 조직하여 효율적으로 운영하게 하고 학습 집단을 소집단으로 편성한다.
. 학급을 이질 집단으로 4명 씩 한 조로 편성하여 각 조원의 역할을 분담시킨다.
. 각 조원을 역할에 맞는 이름을 선정한다.(조장, 도우미, 깔끔이, 진행이 등)
. 각각의 역할은 순번제로 실시한다.
(2) 정보매체를 활용하여 학생들 스스로 수집하기를 원하는 자료를 수집.
(3)교사의 학습 연간 계획을 참고하여 자료를 수집하며 제작한다.
2) 소집단 탐구 활동 실시
(1) 각각의 실험에서 필요한 자료를 주변에서 모을 수 있도록 연간 계획서를 배부한다.(정보통신 활용매체를 활용도 가능함)
(2) 단원에 알맞은 자료를 찾고 분석하여 학습과 연관시켜 진행한다.
(3) 조별 주제를 선정하고 자료를 수집하여 스크랩하고 발표한다.
참고문헌
김인희(1994) : STS에서의 수업사례, 과학학습방법의 혁신: 과학교육창간 30주년기념 세미나, 국립서울과학관
권재술(1996) : 탐구의 본질과 과학 수업 절차, 과학개념 형성의 인지적모형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경상남도 과학 연구원(2001) : 과학 교육 정보 제23호
조희형·박승재(2001) : 과학론과 과학교육, 교육과학사
정지숙(1996) : 삼차원 과학 탐구 평가 틀을 이용한 국민 학생들의 과학탐구 능력 측정,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전남 금성초등학교(1999) : 폭넓은 학습 경험을 위한 체험학습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연구학교 운영보고서

추천자료

  • 가격6,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1.03.2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83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