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적 연구][과학적 경영관리][과학적 지식][과학적 관리법][과학적 방법론][과학적 연구][과학적 속담]과학적 연구, 과학적 경영관리, 과학적 지식, 과학적 관리법, 과학적 방법론, 과학적 연구, 과학적 속담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과학적 연구][과학적 경영관리][과학적 지식][과학적 관리법][과학적 방법론][과학적 연구][과학적 속담]과학적 연구, 과학적 경영관리, 과학적 지식, 과학적 관리법, 과학적 방법론, 과학적 연구, 과학적 속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과학적 연구
1. 기술(description)
2. 설명(explanation)
3. 예측(prediction)
4. 통제(control)

Ⅱ. 과학적 경영관리
1. 회계와 경영
1) 당년도 매출 및 경비지출 목표를 설정한다
2) 월별 자금수지계획서를 작성하여 자금의 흐름을 사전에 파악한다
3) 농장에서 발생하는 모든 거래를 기록한다
4) 매월 또는 필요시 결산을 실시한다
5) 결산결과를 반영하여 사전 손익계산서 및 자금수지계획표를 수정하거나 재작성한다
2. 경영분석 절차
3. 과학적 경영관리를 위한 주요 과제
1) 장부기록
2) 사전 타당성 검토
3) 무보조, 무차입 경영
4) 방어적 경영
5) 전자직거래의 촉진

Ⅲ. 과학적 지식

Ⅳ. 과학적 관리법

Ⅴ. 과학적 방법론

Ⅵ. 과학적 연구

Ⅶ. 과학적 속담
1. 개미가 거둥하면 비가 온다
2. 겨울밤 구름 없이 맑으면 눈. 비 온다
3. 겨울에 남풍 불면 큰 눈 온다
4. 겨울에 눈 많으면 보리 풍년
5. 곡우에 비가 안오면 논이 석자 갈라진다
6. 꽃 다시 피면 겨울은 늦게 시작된다
7. 낙엽이 일찍 지면 눈도 빨리 온다
8. 뇌우 많은 해는 풍년
9. 눈 밟을 때 소리나면 추워진다
10. 눈오는 날엔 빨래하기 좋다
11. 달 가까이 별 있으면 화재 위험
12. 대한(大寒)이 소한(小寒)집에 가서 얼어 죽는다
13. 마른 번개는 가뭄의 징조
14. 마파람에 곡식이 혀 빼물고 자란다
15. 맑은 날이 계속되면 사막이 된다
16. 머리가 헝클어지면 비 올 징조.
17. 무 꽁지가 길면 추운 겨울
18. 물독에 물방울이 맺히면 비가 온다
19. 밤하늘이 맑으면 큰 서리 내린다
20. 봄볕에 며느리 내 보낸다
21. 봄비가 많이 오면 아낙네 손이 커진다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압이 발달해 기온이 높고 날씨가 좋기 때문이다.
번개가 치면 공중에 질산 및 아질산가스가 생긴다.
이것이 비와 함께 땅에 떨어지면서 토양을 비옥하게 만든다.
이런 이유로 뇌우가 많이 발생하는 해는 풍년이 든다는 의미의 속담이 나오게 됐다.
9. 눈 밟을 때 소리나면 추워진다
겨울철에 내리는 눈은 습기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뉜다.
건조하고 가벼운 눈은 건설(乾雪)이고 수분함유량이 많아 무거운 눈은 습설(濕雪)이다.
건설은 대기상층부의 기온이 낮아 수분을 많이 흡수하지 못했기 때문에 생긴다.
잘 뭉쳐지지 않아 밟으면 눈 결정이 서로 부딪혀 소리가 난다.
대기상층이 한랭하다는 뜻이므로 지상날씨도 추워질 공산이 크다.
10. 눈오는 날엔 빨래하기 좋다
겨울철엔 눈 오는 날이 빨래하기 좋다는 뜻이다.
눈구름은 땅의 따뜻한 기운이 대기 중에 흩어지는 것을 막아 줘 평소보다 온난한 날씨를 만든다.
예전엔 개울에서 옷을 빨았는데 넝마 걸친 거지가 얼음 깨가며 빨래하기가 얼마나 힘들었을까.
추운 겨울눈이 내려 날씨가 푸근해졌다면 거지까지도 빨래터에 나갈 정도일 것이다.
11. 달 가까이 별 있으면 화재 위험
겨울철에는 날씨가 추워지고 건조해져 불이 날 위험이 높다.
화재 가능성은 대기 중 습기의 정도로 알 수 있다.
밤엔 달이 별들을 거쳐서 지나간다.
이때 공기의 상층이 습하면 달 주위가 뿌옇게 되기 때문에 별이 보이지 않는다.
거꾸로 달 곁에 있는 별을 볼 수가 있다면 그만큼 공기가 건조한 셈 이다.
12. 대한(大寒)이 소한(小寒)집에 가서 얼어 죽는다
대한이 소한 집에 놀러갔다 얼어 죽었다. 춥지 않은 소한 없고 포근하지 않은 대한 없다.. 실제로 대한 추위는 이름값을 못한다.
그런데 왜 대한이라는 이름이 붙었을까? 24절기가 중국에서 생겨났기 때문이다. 입동(入冬)에 추위가 시작해 소한 때 점점 추워져 대한에 최고에 달한다고 하지만 1월 중순께 가장 추운 우리나라와는 맞지 않는다.
13. 마른 번개는 가뭄의 징조
오후에 치는 번개는 지면이 과열돼 상승기류가 생기면서 발생하는 열뢰(熱雷).
그러나 지면 온도가 계속 높게 유지될 수 없어 비구름이 형성되기 어렵다.
맑은 하늘에 번개가 치면 대기가 건조하다는 것을 뜻한다.
달리 말해 곧 가뭄이 올 것을 예고한다고 할 수 있다.
14. 마파람에 곡식이 혀 빼물고 자란다
마파람은 \"남쪽에서 부는 바람\"이란 뜻을 가진 순 우리말이다.
한자로는 경풍(景風)이나 개풍(凱風)에 해당되는데 모두 온화한 바람을 일컫는 단어이다.
따뜻한 남쪽 바람은 곡식을 왕성하게 자라게 한다.
마파람을 받아 곡식이 성장하는 모양새를 \"혀를 빼물고 자란다.\"고 한 선조들의 표현이 재미있다.
15. 맑은 날이 계속되면 사막이 된다
인생의 의미를 날씨에 비유한 속담이다.
살다보면 항상 맑은 날만 있는 것도 아니고 흐린 날만 있는 것은 아니다.
날씨가 변화무쌍한 것처럼 우리 인생도 신나는 일만 있는 것도 그렇다고 늘 어렵고 힘든 일만 있는 게 아니라는 얘기이다.
16. 머리가 헝클어지면 비 올 징조.
머리카락은 습기에 민감하게 반응하는데, 습도가 높아지면 수분을 흡수한 머리카락이 늘어나기 때문에 헝클어지거나 처지는 것이라고. 비 오는 날 파마를 하지 말라는 것도 다 이런 이유에서라고 한다. <경향신문>
17. 무 꽁지가 길면 추운 겨울
가을 무 꽁지가 길면 겨울이 춥다.
김장철이 다가왔다.
김장을 담그려고 무를 사다보면 예년보다 무 꽁지가 길게 뻗어 나온 경우가 있다.
가을에 바깥 날씨가 빨리 차가와지면 무가 영양분을 섭취하려고 비교적 따뜻한 땅 속 깊은 곳으로 뿌리를 내리기 때문이다.
결국 무 꽁지가 길수록 그해 추위는 심하다는 것을 뜻한다.
18. 물독에 물방울이 맺히면 비가 온다
\"물독에 물방울이 맺히면 비가 온다.\"는 속담을 아는가.
저기압일 때는 기온과 습도가 높아지는 반면 물독은 상대적으로 온도가 덜 오른다.
물이 공기보다 천천히 가열되는 때문이다.
물방울은 물독 안과 밖의 온도차에 비례해 커진다.
물독에 물방울이 맺히면 이미 저기압의 영향권에 들었다고 볼 수 있다.
19. 밤하늘이 맑으면 큰 서리 내린다
밤하늘이 유난히 맑으면 큰 서리가 내린다는 말이 있다.
서리란 대기 중의 수증기가 지표면 등에 열을 빼앗기며 승화해 생기는 얼음이다.
새벽에 서리가 많이 발생하는 것은 이 시간의 기온이 하루 중 가장 낮기 때문이다.
고기압의 중심권에 놓여 있으면 밤하늘은 유난히 맑게 마련인데 이 때 바람도 없고 지면의 기온이 빠른 속도로 떨어지면 서리가 많이 만들어 진다.
20. 봄볕에 며느리 내 보낸다
\"봄볕에 며느리 내보내고 가을볕에 딸 내 보낸다\"는 속담이 있다.
봄볕이 더 따갑다는 것을 경험으로 체득한 어머니들이 며느리보다 딸을 더 아끼는 마음에서 나온 말이다.
봄볕 일사량은 가을에 비해 1.5배정도 많다.
겨울엔 일조시간도 짧고 옷을 두껍게 입기 때문에 자외선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다가 따뜻한 봄철 갑자기 자외선에 노출돼 피부가 손상을 입을 수 있다.
습도는 봄철이 63%,가을철이 69%다.
습도가 높을수록 투과하는 햇빛의 양도 줄어 봄보다는 가을이 쾌적한 느낌을 준다.
21. 봄비가 많이 오면 아낙네 손이 커진다
\"봄비가 많이 오면 아낙네 손이 커진다\"란 속담이 있다.
봄에 비가 많이 오면 밭작물의 생육이 좋아지고 모심기도 잘돼 가을에 풍년들어 아낙네들의 씀씀이가 커진다는 뜻이다.
\"봄비는 쌀비다\"라는 속담도 비슷한 뜻이다. 건기인 봄철에 비가 넉넉하게 오면 그 해 벼농사가 잘된다는 의미이다.
참고문헌
권태준(1997), 과학적 실천이라 무엇인가, 현대사회와 과학문명, 서울대학교 사회정의연구실천모임 편, 나남출판사
김웅진(1993), 방법론의 이론 종속성과 이론의 방법론 종속성 : 연구방법론의 聖化와 지식의 化石化, 한국정치학회보 27집 2호[하]
신세호(1983), 창의력 개발을 위한 교육, 서울 : 교육과학사
조희영(1994), 잘못 알기 쉬운 과학 개념, 서울 : 전파 과학사
최창렬(1999), 우리 속담 연구, 일지사
황훈영(1999), 우리 조상들은 얼마나 과학적으로 살았을까, 서울 : 청년사
  • 가격7,5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1.03.2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94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