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디오방송]라디오방송의 특성, 라디오방송의 역할, 라디오방송의 CM송, 라디오방송의 주부대상프로그램, 라디오방송과 인터넷라디오방송, 라디오방송의 외국어 제목사용 실태, 라디오방송의 서비스모델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라디오방송]라디오방송의 특성, 라디오방송의 역할, 라디오방송의 CM송, 라디오방송의 주부대상프로그램, 라디오방송과 인터넷라디오방송, 라디오방송의 외국어 제목사용 실태, 라디오방송의 서비스모델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라디오방송의 특성
1. 청각 매체
2. 속보성
3. 휴대성
4. 참여성
5. 전문성/지역성
6. 개인의 매체
7. 현황
8. 변화추세

Ⅲ. 라디오방송의 역할

Ⅳ. 라디오방송의 CM송
1. 성우․출연자 선정
2. 음악효과
3. 스튜디오 워크(studio work)
4. 본 녹음
5. 편집 접착(편집용)
6. 방송 광고 심의
7. 방송

Ⅴ. 라디오방송의 주부대상프로그램

Ⅵ. 라디오방송과 인터넷라디오방송
1. 인터넷라디오방송의 특성
1) 매체적 특성
2) 수용자 특성
2. 인터넷라디오방송 현황

Ⅶ. 라디오방송의 외국어 제목사용 실태
1. KBS, MBC, SBS 등 방송3사의 FM채널(KBS-1 제외) 프로그램명의 50%이상이 외국어 제목 사용
2. 부제명 ‘구(句)’나 ‘절(節)’을 사용한 외국어 제목 다수
3.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외국어 제목 사용을 자제해야
4. 향후 개편시 반영해야

Ⅷ. 라디오방송의 서비스모델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경우 동일한 조사를 하여 TV의 경우 프로그램의 1/4이상이 외국어 제목을 사용하였고 라디오의 경우 전체프로그램명의 17.1%가 외국어인 것으로 나타나 이의 개선을 촉구하는 공문을 중앙방송 3사(KBS,MBC,SBS)에 통보한 바 있으나, 이번 조사결과 오히려 각각 1/3이상, 27.5%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편성관계자의 문제인식이나 개선의지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제교류의 증가와 외국문물의 급속한 유입 등으로 어느 정도 외국어를 사용하는 것은 불가피한 측면이 있으나 충분히 우리말을 사용하여 제목을 명명할 수 있는 경우에도 무분별하고 과다하게 외국어를 사용하는 경우는 지양되어야 한다. 또한 일부 외국어 조합이나 조어 제목 등은 시청자가 그 뜻을 제대로 이해할 수 없어 언어오염 문제가 심각하다. 방송언어가 성장과정에 있는 어린이와 청소년의 언어생활에 막대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특히 외국어 제목의 사용은 개선하여야 할 것이다.
4. 향후 개편시 반영해야
각 방송사는 향후 개편 시에 무분별하고 과다한 외국어 제목 사용을 지양하고 시청자의 바른 언어생활을 선도하는 측면에서 바르고 고운 우리말 제목이 많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며 위원회는 이를 방송평가 시에 적극 반영해야 할 것이다.
Ⅷ. 라디오방송의 서비스모델
앞으로 라디오는 이러한 치열한 경쟁 구도 속에서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 다행히도 유럽에서 라디오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 연구된 Eureka-147이라는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디지털 오디오 방송) 서비스 모델은 라디오의 여러 가지 진화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우선 왜 디지털 라디오가 필요했는지부터 짚어보도록 하자. 아날로그 송수신의 한계를 극복한 고음질의 실현이 첫 번째 목표이고, 두 번째 목표는 오디오만을 서비스하는 단순형 미디어에서 영상과 정보를 부가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지향적인 서비스 모델의 구현이다.
기본적으로 디지털 오디오 방송에는 프로그램 관련 데이터인 PAD(Program Associated Data)가 들어가게 되는데, PAD의 개념은 아래와 같다.
a. DLS(Dynamic Label Segment) : 일정한 분량의 문자를 움직이게 해서 보여주는 서비스이다. TV방송 하단의 문자 스크롤 서비스를 떠올리면 된다. 음악방송인 경우에는 곡, 아티스트, 앨범, 가사 등 제작자가 미리 선택해둔 정보가 문자로 제공된다. 반대로 음악은 배경으로만 사용하고 실시간 헤드라인뉴스 등을 서비스 할 수도 있다.
b. Slide Show : 말 그대로 정지 화상 정보를 연속적으로 보여주는 서비스이다. 교통정보의 경우는 CCTV 화면을, 뉴스의 경우는 취재 사진을 보여주는 것이 가능하며, 음악의 경우엔 앨범, 아티스트의 사진, 또는 뮤직비디오의 프레임을 추출해서 나름대로 역동적인 슬라이드 쇼를 꾸밀 수도 있다.
c. BWS(Broadcasting Website Service) : 인터넷 웹사이트를 방송을 통해서 구현하는 것이다. 물론 익스플로러 같은 훌륭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기대하면 안된다. 데이터 용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단순한 형태의 브라우징 서비스가 될 것이다.
이상의 서비스가 제대로만 구현된다면 일단 신규 모바일 멀티미디어와 상대할 수 있는 최소한의 경쟁력은 가질 수 있게 된다. 라디오 서비스가 이러한 방향으로 진화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전제가 충족되어야 한다.
a. 라디오 제작자의 멀티미디어 프로듀서로서의 역할 변화 : 현재의 라디오 프로듀서는 단지 오디오 에센스(Essence)만 편집하고, 가공하면 그만이었다. 하지만 디지털 오디오 방송은 역동적인 정지화상과 문자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함께 다루어야하는 영역이다. 라디오 프로듀서의 멀티미디어 제작자로서의 역할과 기능의 변화가 선행되어야한다.
b. 제작환경과 제작에 활용되는 리소스의 변화 : 당연히 오디오만을 다루는 툴(Tool)은 다양한 데이터를 함께 편집 가공할 수 있는 장비들로 대치 또는 발전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적절한 기술발전이 뒷받침되어야 이러한 서비스가 가능해질 것이다. 또한 데이터 채널의 활용을 위해 다양한 데이터들을 표준화해서 활용해야 한다.
c. 양방향성(Interactivity)의 확보와 고도의 창의력 확보 : 항상 수용자의 편지, 엽서, 인터넷 사연, 휴대전화의 문자메시지 등을 받아서 가상의 인터랙티브 방송을 하거나 유선전화를 통한 리턴채널 확보를 통해서 실질적인 인터랙티브 방송을 해왔던 라디오의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데이터 채널 역시 양방향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예컨대, 수용자가 보내는 그림이나 사진, 문자 등을 곧바로 수용하여, 가공 또는 편집 후 방송에 반영할 수 있어야 하며, 수용자의 요청에 즉각 대응할 수 있는 데이터 서비스 모델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제작진은 고도의 상상력과 창의력으로 무장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하고 찾아낼 수 있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미래의 디지털 오디오 방송은 단순 오디오 방송이 아닌 명실상부한 멀티미디어 방송으로 거듭나게 될 것이며, 이러한 방송통신 융합 환경의 도래는 라디오 매체의 입장에서는 위기인 동시에 매우 매력적인 변화를 수행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향후 방송시장은 ‘비디오/오디오’와 같이 방송의 특성으로 구분될 것이 아니라 ‘고정방송/이동방송’이라는 수용형태의 특성에 따라서 양분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라디오의 진화방안은 작금에 갑자기 튀어나온 것이 아니라, 이미 90년대 후반부터 관계 당국에 의해서 검토되어왔다.
참고문헌
◎ 박지형, 디지털 라디오방송, 세종출판사, 2000
◎ 배동순, 한국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 변천 과정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교육학과 석사학위, 1971
◎ 백종호·전원기, OFDM 기반 디지털 라디오 방송 기술, 전파진흥, 2002
◎ 이유원, 인터넷방송 등장에 따른 지상파라디오의 대응전략, 연세대 언론정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0
◎ 조준형, 방송환경의 변화와 소출력 라디오방송, 연세대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2
◎ 최병호, 디지털 영역에서의 라디오, 방송과 기술 Vol. 86, 2002

키워드

  • 가격6,5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1.05.0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42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