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종교교육][종교 본질][종교교육 실제][도덕교육][종교교육 문제점][종교교육 제고 방향]종교의 본질, 종교의 특성, 종교교육의 실제, 종교교육과 도덕교육, 종교교육의 문제점, 종교교육의 제고 방향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종교][종교교육][종교 본질][종교교육 실제][도덕교육][종교교육 문제점][종교교육 제고 방향]종교의 본질, 종교의 특성, 종교교육의 실제, 종교교육과 도덕교육, 종교교육의 문제점, 종교교육의 제고 방향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종교의 본질

Ⅲ. 종교의 특성
1. 거룩한 것
2. 초자연적인 것
3. 계시
4. 종교의식
1) 예배-수직적인 친교
2) 교제-수평적인 친교
5. 구원관

Ⅳ. 종교교육의 실제
1. 중학교 도덕 I(교육부)
2. 중학교 사회 I(교육부 검정)
3. 고등학교 교과서들에 나타난 종교에 대한 기술들
1) 고등학교 윤리(교육부)
2) 고등학교 사회․문화(교육부 검정)

Ⅵ. 종교교육과 도덕교육

Ⅶ. 종교교육의 문제점
1. 법률적인 문제
2. 교과의 목표 및 내용의 문제
3. 종교 과목 담당 교사의 문제

Ⅷ. 종교교육의 제고 방향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함께 갖춘 사람이란 뜻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국적 교양교육의 준거가 될 수 있는 것은 역사적으로 볼 때 고구려의 태학, 신라의 국학, 고려의 국가감, 조선의 성균관 등의 고등교육기관에서 유추가 가능하지 않을까. 신라의 화랑오계나 조전 성균관의 ‘지정의를 겸비한 전인적이고 조화로운 성숙된 인간’ 즉, 성인 군자를 형성하기 위한 교육은 바로 한국의 심성을 담고 있는 교양교육으로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이러한 과제는 앞으로의 교육학의 과제가 아닐까 생각해 본다.
종교교육은 크게 종단교육과 종교문화교육으로 분류하고 있다. 종단교육은 특정 종교의 신념체계에 입각한 인간의 완성을 위한 교육이며, 종교문화교육은 종교 일반에 관한 체계적인 지식을 교육시킴으로써 자기 자신의 신앙은 물론 사회 문화 정황에 대한 정확한 판단과 대응 능력을 함양시키는 교육이다. 종단교육은 종단의 대내교육과 대외교육으로 구성되며, 대내교육은 교역자 양성을 위한 교육과 평신도를 위한 신앙교육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신학교나 승가대학 등의 특수전문교육기관은 교역자 양성을 위한 것이며, 평신도 신앙교육은 교회의 주일학교 등을 비롯하여 각종 종교단체에서 신앙활동을 포함한 자체교육을 의미한다. 대외교육은 일차적으로 선교활동의 일환으로서의 교육을 의미한다. 이에는 각 종단의 종립학교의 종교교육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종교문화교육은 종교학 또는 종교개념을 중심으로 종교의 이해를 그 바탕에 두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대학교육과 교양교육, 그리고 종교교육은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대학교육에서 교양교육과 전문교육은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교양교육과 종교교육은 시대에 따라서는 동일한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하였으며 서로 추구하는 것이 같다고 할 수 있다.
오늘날 대학의 교양교육은 위기를 맡고 있으며, 각 교단 또는 종교이념에 의해 설립한 대학의 종교교육은 대부분 선교목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교양교육의 경우 현재 교양과정 학점비율을 30%로 한정, 전공을 위한 도구과목으로의 전락, 시간강의 의존, 과밀학급 및 시설의 미비 등으로 대학의 정체성 위기에까지 이르고 있으며 이로 인한 교양교육의 위기는 결국 인간성의 위기로 직결된다.
종교교육은 일부 대학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종교문화의 이해보다는 종교의 선교과정의 일환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선교목적의 종교교육은 각 종교가 추구하는 인간형의 모델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종교적 이상 인간 모델들이 얼마나 상호배타적인 개념인가 하는 점을 인정한다면 지금까지의 선교정책을 기반으로 하는 종교교육은 새로운 방향으로 바뀌어야 할 것이다.
그러면 한국과 같은 다종교 사회에서 교양교육으로서의 종교교육은 어떠한 모습이어야 할까. 윤이흠은 다음과 같이 그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종교교육은 사회를 안내하는 길잡이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다만 그것은 지금까지의 팽창주의적 선교 교육을 넘어서 이웃종교에 대한 진정한 이해와 다종교 상황의 현대사회규범을 수용할 때 비로소 가능해질 것이다. 이것은 바로 종교문화교육의 교육내용을 수용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종교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의 교육, 즉 종교학의 보급이 이 시점에서 절실히 요청되는 것이다.
종교의 객관적인 이해, 곧 종교학의 보급은 종단교육에 있어서는 보다 정확한 문화정황에 대한 이해를 근거로 보다 성숙된 선교교육의 방향과 내용을 정비하는데 크게 공헌할 것이며, 사회적으로는 반지성적 독단론과 폐쇄성을 넘어서 다원가치 사회에서의 균형 있는 개방 사회를 창조하는데 공헌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의 종교 교육은 팽창주의적이고 배타적인 선교 교육을 넘어서 타 종교에 대한 이해와 협력을 도모함으로써 갈등과 분쟁을 해소하고, 나아가 연대적 활동을 통한 전 지구적 위기에 대한 공동 대응을 할 수 있는 교양인 양성에 그 초점이 맞추어져야 할 것이다.
Ⅸ. 결론
종교교육이 적어도 인간성 회복이라는 과제에 적절히 부응하려면 본연의 종교성향을 함양 하는 방향으로 정착해야 할 것이다. 특히 학교교육에서는 인간성 함양의 측면에서 역할 기대의 몫이 크다. 가정이나 사회에서 종교교육의 역할은 건전한 가치관에 따른 인간의 삶의 질을 보람으로 간직하도록 해야 하며 특히 청소년과 부모들을 위주로 한 다양한 보모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청소년교실 등을 통해 인간성 함양의 길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요즘 세대들은 땀 흘려 일하거나 힘들고 어려운 일이 닥치면 쉽게 포기하거나 좌절하는 경향이 있다. 이것 역시 우리의 교육열이 건전한 인간을 양성하기 보다는 수단적 가치에 매몰된 단면이다. 그러므로 노작을 통해 실제 생활을 통해 무엇이 옳고 그른 것인가를 기성세대는 보여주는 중요한 타자(Significant others)가 되어야 할 것이다. 진정 땀흘려 일하는 가운데 이웃에 대한 배려, 공동체적 체험 그리고 삶의 보람과 가치 등을 체험하도록 할 필요도 있다. 요즘 일부 대학에서 사회봉사를 교육과정에 포함하고 있는 것이나 우리 교당에서 병원 등지에 교도들의 자원봉사제도를 도입한 것 등은 젊은 세대에까지도 가능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있어도 풍요로움에 자만하지 않고 절제하며 없어도 의지가 꺾이지 않도록 하는 풍요롭고 정의가 넘치는 사회가 되려면 근본적으로 종교를 통한 형식교육 내지는 비형식교육적 기능을 통해 극복될 수 있도록 가일층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요컨대 종교교육이 학교, 가정, 사회에서 제 기능을 다한다면 인간성회복이라는 과제를 해결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교육의 한 측면임을 확인하게 될 것이다.
참고문헌
고진호 - 제7차 교육과정과 중등불교교육의 방향, 제7차 교육과정과 종교교육, 한국종교교육학회, 2001
권소영 - 프뢰벨과 몬테소리의 종교교육에 관한 비교 연구,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학과, 2000
이용길 - 히브리민족의 종교교육이 근대 이스라엘교육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이영문 - 도덕과 교육, 형설출판사, 1999
한국종교교육학회 편 - 한국의 종교와 인격교육, 도서출판 아름다운세상, 1998
N.H.톰슨, 손승희 역 - 종교교육과 신학, 한국신학연구소, 1990

키워드

  • 가격6,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1.07.0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74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