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미술(한국미술)의 소박미, 우리나라미술(한국미술)의 70년대, 우리나라미술(한국미술)의 모더니즘, 우리나라미술(한국미술) 자연주의, 우리나라미술(한국미술) 백색미감, 우리나라미술(한국미술) 생활미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나라미술(한국미술)의 소박미, 우리나라미술(한국미술)의 70년대, 우리나라미술(한국미술)의 모더니즘, 우리나라미술(한국미술) 자연주의, 우리나라미술(한국미술) 백색미감, 우리나라미술(한국미술) 생활미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우리나라미술(한국미술)의 소박미

Ⅲ. 우리나라미술(한국미술)의 70년대

Ⅳ. 우리나라미술(한국미술)의 모더니즘
1. 한국초기 모더니즘의 계보
2. 한국미술의 60년대/60년대 모더니즘

Ⅴ. 우리나라미술(한국미술)의 자연주의

Ⅵ. 우리나라미술(한국미술)의 백색미감
1. 음양오행이라는 전통적인 색채관과 관련한 입장이다
2. 무위자연(無爲自然) 사상이다
3. 백색 미감의 사상적 근원을 동양의 사고와 연결 짓는다

Ⅶ. 우리나라미술(한국미술)의 생활미술
1. 주칠 3층장
2. 한옥의 대문
3. 진경 산수화(조선 후기의 회화)
1) 진경 산수화
2) 풍속화
3) 민화
4. 서예
5. 청화 백자
6. 조선 후기의 건축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원하는 방법에도 한국인 특유의 의식과 사상이 담겨있다. 여기에서 한국인의 색채관이 엿보인다. 혼인날의 흰 국수, 생일날의 흰쌀밥, 백일날의 백설기를 먹는 것에서, 경사스러운 날에는 햇빛과 같이 밝음을 바라는 태양숭배 사상을 엿볼 수 있다. 이처럼 복식이나 음식 등에서 흰색의 사용은 단순히 감각적인 면보다는 정신적인 면이 크게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한국인은 자기의 감정을 즉각적으로 나타낸다는 것은 점잖지 못한 것으로 여겨져 왔으며 하고 싶어도 하지 않은 체하는 본능억제력이 아주 강하다. 본능적인 감정을 나타내는 얼굴 색이 푸르락·붉으락 한다는 것은 일종의 색이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점잖지 못함에 속하고 심지어는 부도덕한 것으로 인식한다. 즉 본능의 억제를 겸양지덕(謙讓之德)으로 비약시킨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래서 백색은 이러한 민족의 특성을 잘 반영하는 색으로 감정의 절제나 자기표현의 억제 등이 색깔이라는 시각적인 감각을 빌어서 잘 드러난 것이다. 이와는 상반되게 한국인은 가장 자연스러운 것이 가장 편안하고 아름답다고 생각하며 살아왔다. 이런 성질의 것이 잘 승화되어 자연이라는 가장 근원적이고 본질적인 것에 귀의하는 것, 자연과의 동화로 연결되어 결과적으로 원색에서 탈피하며 채색을 금하는 사고방식으로 발전되어 온 것으로도 보인다. 이것은 노장(老莊)의 미학과 관련지어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여기서 상반되지만 유사한 결과로 표현되는 이 두 가지의 성격을 기본으로 사상의 근원을 살펴보는 것은 백색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것에 있어서 필요한 것이다. 이에 민족적인 정서, 종교적 배경, 사상, 자연환경적 배경까지가 전제가 되어야하는데 앞서 사상적 배경에서 자연환경과 민족적 정서 등을 살폈음으로 여기서는 다소 광범위 하지만 그 근원을 살피는 것으로 한다.
1. 음양오행이라는 전통적인 색채관과 관련한 입장이다
전통적인 우리 나라의 색채관을 형성하는데 바탕이 된 것으로 백의제도, 백색금지령 등이 모두 이러한 사상을 기본으로 형성되었으므로 한국인의 백색을 연구하는데 알아야 할 기본적인 사상이라 할 수 있다.
2. 무위자연(無爲自然) 사상이다
자연성(自然性)이라는 바탕아래 한국미의 특징으로 치부되는 무위(無爲), 무아(無我), 무심(無心), 무념(無念), 나아가 무작위(無作爲)라는 것이 백색이라는 것과 관련지어 노장(老莊)에서의 무위(無爲)사상과 궁극적으로 상통되는 부분으로 백색형성의 근원이 되는 부분이다.
3. 백색 미감의 사상적 근원을 동양의 사고와 연결 짓는다
어떠한 유사성이 있다는 전제하에 야나기가 밝힌 한국의 백색을 얘기함에 비애(悲哀)의 미(美)에 대한 것을 기본으로 동양인 특유의 쓸쓸하고 애련함(悲哀)의 감정, 고요함(寂)의 감정, 유현(幽玄)에 대한 것이 색을 절제하고 원색을 피하는 우리의 백색미감과 연결 지어보는 부분이다.
Ⅶ. 우리나라미술(한국미술)의 생활미술
1. 주칠 3층장
조선시대 여인들이 옷을 넣어 두던 가구이다. 안정된 비례와 화려한 색이 주는 장식성에서, 미술을 실생활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였음을 알려 준다.
2. 한옥의 대문
동선의 아름다움을 강조한다. 화려한 색과 친근감 있는 형태에서 대문 같이 집에도 미술을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3. 진경 산수화(조선 후기의 회화)
진경 산수화, 민화, 풍속화 등
1) 진경 산수화
우리 산수를 사실적으로 표현--정선(인왕제색도, 금강전도)
2) 풍속화
당시의 생활 모습과 풍속을 사실적으로 표현
ㄱ. 김홍도, 김득신 : 서민들의 생활 모습 표현
ㄴ. 신윤복 : 도시 양반의 풍류와 부녀자의 풍습 묘사
3) 민화
이름 없는 화가들의 작품, 서민의 생활 감정.신앙과 관련된 내용 표현
4. 서예
김정희가 독자적인 추사체 개발
5. 청화 백자
서민적 감각 표현, 실용적 공예품 유행 -- 양반뿐만 아니라 서민들도 사용. 소박한 색조(흰 바탕에 푸른 색 그림), 아름다운 선, 실용품, 목공예품, 죽세 공품, 나전 칠기 등의 제작 기술 발달.
6. 조선 후기의 건축
화엄사의 각황전, 금산사의 미륵전, 법주사의 팔상전, 수원의 화성(정약용이 고안한 거중기 사용)
참고문헌
김정기 외(1989), 한국미술의 미의식, 서울 : 정신문화연구원
박휘락(1998), 한국미술교육사, 도서출판 예경
송수남(1995), 한국화의 길, 미진사
이동주(1996), 우리나라의 옛 그림, 학고재
전성수(1997), 야! 미술이 보인다, 전성수, 예경
한국교원대학 미술 편찬회(1974), 미술교육, 서울 : 학문사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9.2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35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