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과심리A형)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에 대한 고찰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간과심리A형)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에 대한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의 주요 개념들
1) 히스테리 연구
2) 꿈의 해석
3) 성의 세 에세이
(1) 성적이상
(2) 유아기의 성욕
(3) 사춘기의 변화들
2. 성격의 구조
1) 본능(Id)
2) 자아(Ego)
3) 초자아(Super-ego)
3. 의식(Conscious)과 무의식(Unconscious)
4. 생명 본능과 죽음 본능
5. 프로이드의 나르시시즘
1) 나르시시즘의 정의
2)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적 나르시시즘
3) 나르시시즘적 인격 장애
4) 프로이드 나르시시즘의 특징과 한계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욕이 꺾여 버린 상태나 건강한 공격성, 즉 자기의 주체적인 주장노력이 치명적인 좌절경험이다
세 번째는 변형적 내면화의 실패이다. "존경하는 부모상"이 확고하게 자리를 잡지 못하고 내면화에 실패하였을 때 결과적으로 자기 심리구조가 허약하고 화력이 없으며 부조화를 경험하게 된다. 현실적인 꿈과 기쁨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생동감이나 활력이 약하다. 현실적인 세상의 환경에서 총애, 존경 그리고 일체의 경험이 약한 상태에 있는 가운데 있다.
긴장 완화 능력이 부족하고 존중받는 규범아의 확립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며, 스트레스 상황에서 원색적인 성, 혹은 공격적 행위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성적 충동의 자제능력과 위험한 살기의 표출이 여과 없이 표현될 위험이 있다.
네 번째 허약한 심리구조이다. 단단한 자아 확립의 실패로 세 가지 자아구조(꿈, 이상, 기술)중에 두 가지 이상이 망가지면 나르시시즘적인 장애의 증상을 가지게 된다.
발달심리적인 차원에서 보면 이들은 자기도취주의의 단계와 오이디푸스 단계 사이에 고착되어 있고, 이 시기에 아이가 가져야 할 셀프대상의 경험에 문제가 생겨서 나르시시즘적인 정신병리의 상태로 남아버린 것이다.
다섯째는 해체되는 느낌의 팽배이다 갈등이 아닌 공허감이 지배하여 살아있으나 생동감이 없고 죽은 것 같은 느낌을 가진다. 우울한 느낌 절망감이 팽배하며, 자신의 존재에 대한 느낌이 희미하다. 자아구조의 해체는 바로 원색적인 본능 표출의 기회가 된다. 자신의 과거경험을 통합 소화 정리하는데 실패했으며 죽음의 느낌에 깊이 빠져있다.
여섯째는 공격성의 표출이다. 이는 자아가 해체될 때에 공격의 가능성이 확대되며 과대적 자신감이 일어날 때에 공격성이 통제 조절 없이 표현되기도 한다.
일곱째는 자기의 길을 찾지 못한 상태로 이는 현실적인 꿈과 소망을 가지지 못하고 과대적 자신감의 표현이나 우상화된 대상에로의 원시적 융합의 의지가 강하게 표출되는 것을 의미한다. 셀프 및 셀프대상관계가 원시적이며 성숙한 수준까지 가지 못했다. 그러므로 대상에 의해 이끌려 지거나 따라가는 혹은 편승하는 정서적 수준에 머물러 있다.
4) 프로이드 나르시시즘의 특징과 한계
프로이드에 의한 나르시시즘의 발견은 두 가지 중요한 것을 말한다. 첫 째는 정신병의 성질을 설명했다는 것이고, 두 번째는 똑같은 나르시시즘이 어린애와 마찬가지로 어른들에게도 존재한다는 것을 알려 주었다는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정상적인 인물도 많건 적건 그러한 태도를 공유하는 것이고, 만약 그 태도가 양적으로 강화된다면 정신병을 구성한다는 것을 알려준 것이다.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은 자연과학적 인과모델 위에 서 있으며 그의 나르시시즘에 대한 이해는 외디푸스 갈등에 대한 방어로서 생기는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방어는 저항으로 이어져 자유 연상이 불가능하므로 분석이 불가능하고 따라서 치유가 불가능한 것으로 이해하였으며, 욕동을 중심으로 하는 갈등 원리에 따라 이해하였다.
프로이드의 정신분석 이론이 성충동이나 공격충동 같은 경험과 동떨어진 구성개념으로 설명하는 것은 프로이드 정신분석의 한계라 할 수 있다.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은 나르시시즘이라는 인간 고유본성에 대한 창조적인 통찰을 만들어냈다. 그러나 프로이드는 그의 모든 정신분석학적 연구를 외디푸스 이론에 맞추어 설명하려 했기 때문에 나르시시즘에 대한 심도있는 이해가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Ⅲ. 결 론
지금까지 프로이드의 정신분석 이론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았으며, 프로이드의 정신분석 이론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프로이드의 이론에서 성격의 주요한 추진력을 추동(drive) 혹은 충동(impulse)으로 보는 본능이론이다. 본능은 성격의 기본적 요소이며, 행동을 추진하고 방향 짓는 동기이다. 프로이드는 본능을 에너지의 형태로 보았으며 이러한 에너지가 신체적 욕구와 정신의 소망을 연결한다고 보았으며, 프로이드는 본능을 두 가지 범주, 즉 삶 본능과 죽음 본능으로 나누었다.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을 이해하기 위한 주요 개념들은 크게 세 가지로 볼 수 있는데, 히스테리 연구, 꿈의 해석, 성의 세 에세이(성적이상, 유아기의 성욕, 사춘기의 변화들)가 그것이다.
나르시시즘의 기원은 신화적일 수 있으나, 현대 정신분석학에서 프로이드가 가장 먼저 개념화하였으며 그 구체적인 특징을 기술하였다. 1914년 프로이드는 정신분석 운동 내부에서 그의 동료들과의 결별의 아픔을 받게 되고, 이로 인해 그는 정신분석학 용어들의 이론적 성찰을 시도하게 되었으며 이 시기에 쓴 『나르시시즘 개념 입문』은 이런 배경에서 저술되었다. 프로이드는 이 책에서 '리비도'의 개념을 성에너지라는 절대적 의미로 간직하려고 하였는데, 아들러는 '리비도'를 사회 생활을 도와주는 하나의 힘으로 간주하고, 융은 보편적 삶의 원동력 같은 그 무엇으로 만들었기 때문이다. 프로이드는 두 학자들의 오해를 잠재우기 위해 자신만의 나르시시즘 이론에 대한 개념 정의를 하게 되었다.
프로이드의 나르시시즘은 유아의 성적욕망인 리비도의 방출이 적절한 대상에게 전달되지 않았을 때, 다시 유아에게로 되돌아가는 욕동-방출 의미의 개념이다. 이 나르시시즘은 정상적이며, 인간 누구에게나 나타나는 증상이다. 나르시시즘이 문제가 되는 것은 적절한 반응과 함께 적절한 방출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Ⅳ. 참고문헌
1. 홍상애, 프로이드 여성성에 대한 이해와 그 이후에 대한 고찰, 감리교신학대 신학대학 석사학위논문, 2007.
2. 유진원, 프로이트(S. Freud) 욕동(Drive) 개념에 대한 문헌적 연구, 호남신학대 기독교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3. 김하영, Freud의 정신분석 이론으로 본 Egon Schiele의 작품연구, 원광대 동서보완의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4. 이천영, 정신 에너지의 목회상담학적 고찰 : S. Freud의 정신분석을 중심으로, 호서대 연합신학전문대학원, 2006.
5. 프로이드, 김성태 역, 정신분석입문, 삼성출판사, 1990.
6. 김상봉, 나르시스의 꿈, 한길사, 2002.
7. 김종숙, 현대사회와 나르시시즘, 수원대학교 논문집, 1997.
8. 강영계, 정신분석이야기, 건국대학교출판부, 2001.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1.09.25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39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