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사시대 토기][철기시대 토기][삼국시대 토기][백제시대 토기][신라시대 토기][통일신라시대 토기]선사시대 토기, 철기시대 토기, 삼국시대 토기, 백제시대 토기, 신라시대 토기, 통일신라시대 토기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선사시대 토기][철기시대 토기][삼국시대 토기][백제시대 토기][신라시대 토기][통일신라시대 토기]선사시대 토기, 철기시대 토기, 삼국시대 토기, 백제시대 토기, 신라시대 토기, 통일신라시대 토기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선사시대 토기
1. 빗살무늬토기
2. 덧무늬토기
3. 아가리무늬토기
4. 무문토기(無文土器)

Ⅲ. 철기시대 토기
1. 철기시대 토기의 양상
2. 경질무문토기의 성격
3. 회백색연질토기(와질토기)와 무문양의 타날문토기
4. 타날문토기의 형성과정과 성격
5. 기타 문제

Ⅳ. 삼국시대 토기
1. 시대 개관
2. 고구려 토기
3. 백제 토기
1) 한성시대(초기)
2) 웅진시대(중기)
3) 사비시대(후기)
4. 신라 가야 토기
1) 초기의 토기
2) 전기의 토기
3) 중기의 토기
4) 후기의 토기

Ⅴ. 백제시대 토기

Ⅵ. 신라시대 토기

Ⅶ. 통일신라시대 토기
1. 시대 개관
2. 무덤 출토 토기
3. 뼈항아리
4. 생활용기
5. 통일신라 토기 가마터

참고문헌

본문내용

굽구멍이 뚫린1단의 굽다리가 달려 있으며 목의 아가리 부분이 옆으로 확대되어 깔대기 모양의 아가리가 달린 형식과 아가리가 바로 바라진 것이 있고 목과 어깨에는 물결무늬가 새겨지기도 한다. 신라 후기의 전형적인 목항아리는 2단의 굽다리가 달려 있는데 반해 이곳의 토기는 1단의 굽다리가 달린 지역적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굽다리 접시로는 긴 네모꼴 굽구멍이 뚫린 나팔 모양 굽다리와 작은 굽구멍의 낮은 굽이 달린 통일기의 것이 있다. 병은 깔대기 모양의 아가리가 있는 것이 많고 표면에는 도장무늬가 찍혀있다.
이를 통해서 보면 중원지방의 신라토기는 대체로 6세기 후반 이후에 출현하여 통일신라시대까지 계속된 것을 보이나, 경상도 지역의 신라토기에 비해 그 종류가 한정되어 있다.
1시간 반에 걸쳐 전시실을 훑어보고, 밖으로 나오니 하늘빛이 언짢아 보였다. 아직, 흥덕사지가 계획 속에 남아 있는 터라, 잔뜩 찌푸린 하늘이 신경 쓰이고 했지만, 바쁘게 길을 재촉해보기로 하고, 차에 올랐다.
Ⅶ. 통일신라시대 토기
1. 시대 개관
통일신라시대의 문화는 불교 문화가 그 중심이며 이상적인 미의 세계를 구현한 불국사, 석굴암이 그 대표라 하겠다. 이밖에도 상원사종과 봉덕사종은 공예 기술뿐만 아니라 소리의 극칠하는 점에서도 공예 문화는 절정기를 이룬다. 이와 같은 불교 문화의 절정기는 도자공예 에서도 여러 가지 변화와 발전을 보인다. 통일 이후 지배 계층의 혈통상의 변화는 삼국 신라의 적석목곽식분(積石木槨式墳)과 같은 평지에 구축되던 왕릉 제도에도 영향을 미쳐 횡혈식석실분(橫穴拭石室憤)의 형태로 바뀌어 그 축조 장소도 평지에서 구릉으로 옮아갔다. 통일신라시대의 토기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의 성격으로 구분된다.
첫째, 횡혈식석실분 출토 토기가 연구의 대상이 되며 이것이 바로 통일 전기의 양식을 대표한다.
둘째, 통일이후 왕들이 불교식으로 다비(茶毘)를 하는 화장법을 사용했으므로 장골 용기로써의 뼈항아리에 대한 연구이다.
셋째, 생활용기로 안압지의 출토 유물과 미륵사지 출토 유물에 대한 연구이다. 안압지에서 나온 토기는 곧 그 자체가 인공 못이고 그 옆에는 임해전(臨海殿)이 있었으므로 안압지에서 나온 토기는 곧 생활용기를 의미한다.
넷째, 통일신라시대의 토기를 생산했던 가마터 출토 토기편에 대한 조사이다. 아직 전반적인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지금까지 알려진 7~8곳의 토기 가마터들은 토기 편년 연구에 큰 도움을 준다.
2. 무덤 출토 토기
경주지방에서 지금까지 통일신라시대 무덤인 석실 무덤이 조사된 예로는 충효동 무덤10기, 쌍상총 노서동 138호분, 서악동 석실무덤, 정래동 방형무덤, 장산 토우총, 전(傳)민애왕릉, 영강동 무덤, 황성동 무덤 등이 있다.
이들 석실 무덤에서 출토된 토기들을 종류별로 고찰하면 -- 굽다리접시, 긴목항아리, 뚜껑있는 합, 완, 울릉도 천부동 출토 토기 등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통일신라시대의 무덤은 시대에 따라 체계적으로 학술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사실상 석실무덤으로부터 출토된 토기의 변천과정을 올바르게 파악하기가 어렵다. 다만 출토된 유물의 성격이나 석실 무덤의 구조 및 위치로 미루어보아 충효동 무덤, 서악동 무덤, 쌍상총 등은 거의 비슷한 시대의 무덤으로 통일 신라 초기에 속하며 장산 토우총, 용강동 무덤 등은 후기이고 울릉도의 천부동 무덤들은 말기에 속한다는 대체적인 계보만이 파악된다.
3. 뼈항아리
뼈항아리는 불교식으로 화장한 후 그 재를 담는 장골용기이다. 기록으로는「삼국사기」권7 문무왕 21년조에 화장에 관한 첫 기록이 보이지만 실은 삼국시대 백제에도 뼈항아리 사용이 있었다.
통일신라의 뼈항아리는 대체로 기형, 무늬, 제작기법으로 미루어보아 다음의 세 형식으로 나뉠 수 있다.
① 통일신라 초기의 뼈항아리로 삼국 시대 양식이 많이 남아 있으며 탑모양 뼈항아리, 각 선무늬 뼈항아리, 돌대무늬 뼈항아리 등이 이에 속한다.
② 8세기에 유행한 각종 인화무늬 뼈항아리를 말한다. 뼈항아리의 표면이 매우화려하고 정교하여 뼈항아리의 전성시대를 이룬다.
③ 9세기에 유행한 뼈항아리로 인화 무늬는 사라지고 민무늬가 되며 뚜껑에는 돌대선이 부착되는 경우도 있으나, 뚜껑과 몸에 1~2층의 음각 횡선이 돌려지는 것이 특색이다. 형태는 전체높이가 30㎝ 정도의 크기에 원형을 이룬 형태가 많으며 혹타원형인 것도 있다.
4. 생활용기
통일신라시대의 생활용기에 대해서는 안압지 출토 토기편, 미륵사지 출토 토기편, 그리고 최근 발견된 경주 월성 해자(垓字) 부근 건물 지리에서 출토된 토기편들, 그리고 보령군 청소면 진죽리와 영암군 군서면 동구림리 가마터 출토 토기편들을 들을 수 있다.
안압지 출토 토기의 특징과 종류를 살펴보면, 태토는 정선된 흙을 사용했으며 대체로 소성 온도가 높은 회흑색의 석기질이고 표면 장식 무늬는 음각무늬, 인화무늬, 그리고 민무늬 등의 종류가 있다. 기형으로 굽다리 접시, 사발, 접시, 항아리, 등잔, 병, 벼루 등의 생활 용기가 대부분이다.
5. 통일신라 토기 가마터
통일신라 토기 가마터로는 경북 월성군을 중심으로 망성리, 화산리, 동산리, 금장 3리, 제내리, 화곡리, 등이 알려져 있으며 그 밖의 지역으로는 서울 사당동, 전남 영암군 군서면 동구림리, 충남 보령군 청소년 진죽리 등이 있다.
영암군 동구림리의 가마터는 모두 남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었으며 그중 2개는 거의 완현으로 노출 되었으며 이중 3호 가마는 바닥의 경사가 15° 정도 기울어지고, 뒤편 굴뚝 부분 에서는 30~40°의 급경사를 이루면서 바로 직상되어 굴뚝과 연결된 단칸 지하굴식 오름 가마이다. 즉, 구릉을 이용하여 완전 굴을 판 굴가마이며, 봉통 부분만이 굴밖에 따로 설치되어 지붕을 별도로 설치하였던 듯 하다.
참고문헌
김양옥, 한반도 철기시대토기의 연구, 백산학보 20, 백산학회, 1976
김원용, 신라-토기, 한국사론 15, 국사편찬위원회, 1985
김종수, 뿌리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 5, 솔, 2007
안승주, 백제토기도록, 백제문화개발연구원, 1984
오규원·임우기저, 예술의 이해, 서울예대출판부, 1989
중앙일보, 토기, 한국의 미 5, 1981
  • 가격6,5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1.09.30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51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