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남준 비디오아트][백남준 비디오아트 위성예술][백남준 비디오아트 작품]백남준 비디오아트 의의, 백남준 비디오아트 특징, 백남준 비디오아트의 분야, 백남준 비디오아트의 위성예술, 백남준 비디오아트의 작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백남준 비디오아트][백남준 비디오아트 위성예술][백남준 비디오아트 작품]백남준 비디오아트 의의, 백남준 비디오아트 특징, 백남준 비디오아트의 분야, 백남준 비디오아트의 위성예술, 백남준 비디오아트의 작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백남준 비디오아트의 의의

Ⅲ. 백남준 비디오아트의 특징

Ⅳ. 백남준 비디오아트의 분야

Ⅴ. 백남준 비디오아트의 위성예술

Ⅵ. 백남준 비디오아트의 작품
1. 설치비디오
2. 비디오 조각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자석을 갖다대어 이미지의 비틀림과 추상적인 빛의 패턴을 창조함으로써 관객들과의 상호소통과 참여의 의지를 드러낸 작품이다.
<달은 가장 오래된 TV>는 12대의 TV를 이용한 대규모 설치작업으로 시간을 주제로 12개의 화면에 초생달에서 보름달까지의 변화하는 달의 모습을 보여준 작품으로서, 순간과 영원은 동일하다는 동양철학에 입각한 그의 시간 개념의 표출이라 할 수 있다. 동시에 관객들은 흑백의 미니멀적 영상이 연출하는 신비한 분위기 속에서 현실적 시공감각을 잃고 백남준이 제시하는 시간을 명상하게 된다. 어두운 공간 속에서만 볼 수 있는 이 작품은 화면영상의 극소화로 하나하나의 화면이 전체를 이루는 구성을 하고 있는 비디오 추상의 효시이며, 미니멀 비디오 아트의 대표작으로써, 테크놀로지 아트의 함축성을 대표하는 작품이다.
특히 백남준 설치 비디오의 큰 획을 그은 <다다익선>은 국립현대 미술관 85년도 기획 사업으로 천 삼대의 TV를 쌓아올린 작품이다. 특히 천 삼 대라는 숫자는 시월 삼일이 개천절이라는 연고로 채용 되었으며 백남준 자신의 발상이며, 20세기말의 세기적 예술가로 지목되고 있는 백남준과 그의 비디오 아트의 창시가 한국의 개천절로 상징되고 있는 건 뜻 있는 일치라고 하겠다. 한편 다다익선은 많을수록 좋다는 고사로부터 연유된 명칭으로 여기서 많다는 건 어떤 물건이 많다는 게 아니다. 수신(受信)의 절대수로 뜻하는 것으로 이것은 오늘의 매스커뮤니케이션의 구성 원리를 은유적으로 표현한 말이다.
이와 같이 백남준의 설치 비디오는 브라운관이 제거된 TV를 이용하여 새로운 의미 창조에 이용하거나, 오브제 형태의 재료로서 관객에게 재창조된 이미지를 통한 인식을 경험하게 했다. 또한 TV의 과학적인 현상이나 다수의 TV를 통해 공간과 시간의 확장을 가져왔다.
2. 비디오 조각
조각은 시대와 환경의 차이와 변화에 따라 새로운 주제, 재료와 표현기법을 개발하면서 가능성의 영역을 넓혀왔으며, 조각에서의 재료나 소재는 그 자체의 발언력으로 작품의 성격을 크게 좌우한다.
비디오 조각은 텔레비전, 비디오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조각의 형태를 보이거나 전통적인 조각보다는 자유로운 형태의 조각물에 비디오 장비를 첨가한 형태로서, 백남준의 TV조각은 금속과 전선 등 생명이 없는 것들을 사용하여 사람의 형상을 꾸며놓은 듯 텔레비전을 따로 떼어내어 그 물질성을 본래의 의미로부터 유리시켜 새로운 시각적 창조물을 재생산하였다.
즉, 백남준의 TV조각은 텔레비전을 일상적인 상태에서 떼어내어, 또 다른 것으로 바꾸어 놓고 있다. 전통적인 조각과 비교할 때 비디오 조각은 강한 구심력을 가진 조각으로, 전통적인 조각의 경우 감상자의 위치가 조각물을 중심으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을 것이나, 비디오 조각은 텔레비전이라는 강한 흡입력을 가진 물체가 첨가됨으로써 감상자가 텔레비전 앞에 다가서지 않을 수 없도록 만들었다.
백남준은 1980년대에 이르러 설치로서의 장치를 대신해서 조각적 로봇, 즉 텔레비전으로 구성된 을 만들었다. 이어 , , , 등을 제작하였고, 기술과 인간의 통합을 시도하는 인공두뇌학에 대한 그의 남다른 관심으로 TV인간을 만들었으며, 고립된 인간이 아닌 동고동락하는 인간의 원형을 찾기 위해 짝이 있거나 가족차원의 군상을 제작하였다. 테크놀로지의 의인화작업은 백남준의 창조성에 기인한 것으로써, 일련의 로봇작업은 현대의 인간상에 대한 풍자적 모방, 이러한 일체의 작업은 모든 것이 생명으로 치환된 세상에서 살아있지 않은 것은 없다는 선사상과도 연관되어진다.
이는 백남준의 작업이 80년대 접어들면서 함축된 주제의식과 역사의 뿌리에 대한 탐구자세가 표면화되는 것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90년대 우화적이고 상징적인 로봇작업에서 영역을 확대시킨 대형 텔레비전의 설치작업은 비디오 아트에 평면작업과 회화적 해석을 가한 것으로, 이상적이고 유머러스한 본질적인 체계로부터 신화적이고 폭력적인 인간의 사회적 모습에 이르기까지 묘사의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Ⅶ. 결론
백남준은 캠코더와 비디오 신디사이저의 도움으로 새로운 이미지를 창조하는 테이프 제작 작업에 집중하게 되는데 당시 VTR의 발명은 TV내부회로 조작에 의한 제한된 이미지, 즉 변형된 반영이미지나 음극선이 만드는 추상적 패턴에서 벗어나 무한한 이미지 세계로 진입하게 된다. 카메라가 포착한 비디오이미지, 즉 촬영한 이미지를 예술적 처리 변형시키는 비디오 신디사이저의 도움으로 새로운 타입의 시청각적 복합이미지를 만들게 된다. 새로운 이미지를 창조함으로써 \"직접적이고 접촉적인\" 참여TV를 만드는 이로 일관되게 되는데 여기서 백남준은 제작과정에서 콜라주 편집수법을 사용하게 된다. 음악적 비음악적 원천들로부터 다양한 소리의 합성을 만드는 콜라주 음악테이프 역시 비논리적 구성자체가 제시하는 새로운 미학이었다. 이러한 콜라주기법에 의한 이미지의 시청각적 효과는 비디오 신디사이저 개발과 함께 첨예화되면서 1970년 일본인 기술자 \"쉬야아베(shuya abe)\"의 도움을 받아 개발한 <백-아베 비디오신디사이저>는 영상의 마술사로 촬영한 이미지를 변형, 왜곡, 채색적 뿐만 아니라 컴퓨터 조작으로 순수 추상패턴까지 가능하게 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가상화의 대표적인 방법으로 장 보드리야르가 말한 오늘날의 시뮬라시옹의 모습이다. 즉, 시뮬라시옹은 더 이상 영토 그리고 이미지나 기호가 지시하는 대상 또는 어떤 실체의 시뮬라시옹이 아니다. 오늘날의 시뮬라시옹은 원본도 사실성도 없는 실재, 즉 파생실재를 모델들을 가지고 산출하는 작업이다. 한발 더 나아가 모든 실재를 그들이 시뮬라시옹에 의해 만든 모델들과 일치시키려 하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ⅰ. 김홍희 저(1992), 백남준과 그의 예술, 서울 : 디자인 하우스
ⅱ. 박경미(1995), 백남준의 비디오 아트 연구, 동아대 교육대학원
ⅲ. 박혜정, 백남준의 비디오아트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ⅳ. 이용우, 백남준 그 치열한 삶과 예술, 열음사
ⅴ. 이정우, 이정우의 철학까페 : 백남준의 비디오 아트, 한겨레21
ⅵ. 호암갤러리·로뎅갤러리, 백남준의 세계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1.10.0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54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