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시습(金時習)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김시습의 생애 연보

3. 김시습의 인간관계
 (1) 이계전 (李季甸, 1404~1459)
 (2) 김뉴 (金紐, 1420~?)
 (3) 김수온 (金守溫, 1410~1481)
 (4) 서거정 (徐居正, 1420~1488)
 (5) 남효온 (南孝溫, 1454~1492)

4. 김시습의 문학과 사상
 (1) 방외인 (方外人)문학
 (2) 불교 사상
 (3) 민중의 고통

5. 김시습의 작품
 (1) 금오신화
 (2) 매월당집

6.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을 뿐더러, 암울한 시대를 만나 힘겹게 살아가는 한 천재의 고민과 삶에 대한 태도를 만날 수 있다.
『매월당집』은 권수 시집 15권, 문집 6권, 부록 2권으로 되어 있고 6책으로 장정되었다. 본집은 윤추년 등이 수집 발간한 것을 기본으로 하여, 선조 때에 율곡 이이가 왕명을 받들어 전기를 써서 올리고 곧 예문각으로 하여금 간행케 했으며, 이듬해 겨울 이산해가 왕명으로 서문을 써 넣은 것이다.
권수에는 김시습의 생애와 (매월당집)의 간행 연혁이 소상하게 기록되어 있으며, 김시습의 가계가 신라 왕통임이 기록되어 있다.
제1권부터 제15권까지는 총 1700여 수의 시가 수록되어 있는데, 어느 것이나 비분강개한 심정을 토로하고, 세상을 조소하고 있는 것들이다. 문집은 소부금조사소주잡저잡설논찬전설변의명잠고편 서서 등이 들어 있고 부록 두 권은 그의 기행이 담겨 있는 유적수보기영전명문발 기타가 수록되어 있다.
10년 동안 떠돌이 되어 이리저리 떠돌아다니다 보니 이내 몸은 도시 밭둑 가의 쑥대로구나 세상 살아가는 길은 모두 험하고 위태로우니 아무 말없이 꽃떨기나 냄새 맡고 지내는 것이 좋으리로다
이 시는 고단한 속세를 떠나 산중에 은거하고자 하는 자신의 심정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방랑 중에 농민의 참상을 목격하고 다음과 같이 부정한 관리들을 고발했다.
원님이 어질고 자애로워도 허덕이는 살림살이일텐데 이리 같은 벼슬아치 만났으니 백성은 정말 가엾구나 며느리 짐 이고 시아비 손자 끌어 길에 가득하니 어찌 주리고 얼어죽는 것이 풍년 아니기 때문이랴
다음과 같은 시도 탐욕스런 대지주와 위정자를 질타한 것이다.
자갈밭에 바윗돌이 울퉁불퉁 온통 가시덤불 등넝쿨 얽혀 있네 땅은 토박한데 잡목만 자라고 밭 둔덕 경사져 곡식 자라지 못하는구나 굶주린 까마귀 나무 끝에서 울어대고 여윈 송아지 둔덕에 누워 있네 이같이 깊은 산골인데도 해마다 세금이야 면할 수 있으랴
그러나 계속된 방랑과 폭음, 그리고 깊은 고독으로 그는 거의 폐인이 되다시피한 상태에서, 마지막 안식처인 무량사에서 다음과 같은 시를 남긴다.
봄비가 주룩주룩 이삼월에 모진 병 붙들고 선방에서 일어나 중생에게 서쪽에서 온 뜻을 묻고자 했으나 다른 중들이 기리고 높일까 두렵구나
그는 매사를 비웃으며 평생 동안 폭음하고, 취하면 아무 데서나 잤으며 아이들의 돌팔매 대상이 되기도 할 만큼 기행을 계속했다. 김시습은 광승 노릇을 하였으므로 파계는 말할 것도 없고 해괴 망칙한 행동을 일삼았다. 그러나 스님들은 그를 은근히 존경하고 섬기었다.
하루는 스님들이 불법의 강설을 청하였는데 김시습은 크게 법연을 개설하고, 스님들을 모은 다음 가사와 법의를 갖추어 입고서 강설할 것처럼 했다. 그러나 강설은 하지 않고 소 한마리를 끌고 오라 한 후 소먹이 여물을 가져다 소 뒤에 놓게 하고는 큰 소리로 웃으면서 너희들이 내 강설을 들으려 하는 것은 이와 같은 것이라고 조롱한 일도 있고, 또 김시습의 학문을 듣고 배우기를 원하여 찾아오는 사람이 있으면 돌을 던지고 나무장대를 휘둘러 못 들어오게 한 일도 있었다.
6. 결론
김시습은 그의 생애 자체는 고독했지만 그가 가진 사상이나 마음가짐은 맑고 곧았다. 그리고 그가 방랑 생활을 하는 와중에도 학문을 게을리 하지 않은 것은 그가 오늘날 후대에 훌륭한 작품을 남길 수 있는 이유이다.
조선시대 한 문장가의 삶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귀감이 되고 있다.
<참고문헌>
1. 심경호,『김시습 평전』,돌베개, 2003
2. 정출헌, 고미숙, 조현설, 김풍기, 『고전문학사의 라이벌』, 한겨레출판, 2006
3. 최귀묵,『김시습의 사상과 글쓰기』, 소명출판, 2001 / 4.율곡 이이, 「김시습전」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10.12
  • 저작시기201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78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