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길동전 (洪吉童傳)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홍길동전(洪吉童傳) 개관

2. 창작 연대와 작품 배경

3. 작가 소개

4. 줄거리

5. 작품 세계에 대한 고찰

6. 홍길동전의 성격과 인간적 특징

7. 홍길동전에서 율도국의 의미

8. 다른 영웅 소설과의 차이점

9. 작품의 한계

10. 평가 및 의의

본문내용

으로 그려지고 있다. 그리고 이곳은 중국을 섬기지도 않고 조선 사람들이 출입하지 않는 나라이다. 말하자면 중국도 조선도 아닌 새로운 나라이다. 그렇지만 그 곳이 봉건 지배 체제를 탈피한 국가는 아니다. 물론 이것은 허균의 한계일 수도 있지만 그 시대의 한계로 보인다. 그러나 홍길동이 세운 율도국은 박지원의 허생전에서의 남방의 섬에 앞서 고전 소설사에서는 처음으로 등장하는 일종의 유토피아라는 점에서 주목되어야 마땅하다. 더구나 이 유토피아는 단순히 무릉도원이 아니라, 사회적문제 모순에 대한 적극적 비판과 저항의 연장선상에 놓인 것이기에 그만큼 역사적인 것이다. 율도국의 존재로 홍길동전은 해외진출의 이상을 작품 속에서 실연한 최초의 작품으로 평가된다.
8. 다른 영웅 소설과의 차이점
<홍길동전>이 창작된 이래 ‘영웅 일대기’를 작품의 기본 구조로 삼는 국문소설이 많이 창작되었으며 이런 소설을 ‘영웅 소설’이라 불리고 있다. 그러나 <홍길동전>과는 중대한 차이가 발견되는데, 후대의 주인공들은 천상인(天上人)의 하강으로 태어나며 하늘과 관련을 맺는 도사의 도움을 받지만, 홍길동은 천상과 관련을 갖지 않으며, 어떤 원조자의 도움도 받지 않고 스스로 현실을 헤쳐 나가는 면모를 보여준다. 다시 말해, 후대의 영웅소설이 운명론적 전개를 보여주는 반면, <홍길동전>은 주인공이 주체적으로 운명을 개척해 나간다는 점에서 본질적 차이가 있으며 후대의 영웅소설은 대체로 통속소솔의 면모를 보이나 <홍길동전>은 높은 문제의식과 예술성을 지니고 있다.
홍길동전
유충렬전, 숙향전, 구운몽
집단적 영웅
민중적, 민족적 이념의 실현을 위해 투쟁
개인적 영웅
개인의 욕구를 실현함
역사적 영웅
역사적으로 존재 했던 홍길동을 바탕으로 창작
비역사적 영웅
완전한 허구적 인물
진취적 영웅
기존 질서에 대한 반항과 도전
보수적 영웅
기존질서의 수호자
주체적 영웅
스스로의 힘과 조력자의 힘을 빌어서 고난을 타개해나감
운명적 영웅
천상인의 적강이거나 만사가 필연이라는 운명론
투쟁의 영웅
혼인 과정이 삽입되어 있으나 투쟁의 수단이거나 결과라는 것 이상의 의미는 없음
애정의 영웅
남녀의 애정이 중요하게 다루어지거나 애정 쟁취 자체가 투쟁의 목적
※홍길동전과 전우치전의 차이점
<홍길동전>과 마찬가지로 도술 삽화가 나오는 <전우치전>을 비교해보면, 가난한 백성을 구제하는 점, 나라로부터 벼슬을 얻기도 하는 점, 길동이 ‘율도국’에 가서 이상 국가를 세우듯이 <전우치전>에서 전우치도 서화담을 따라 ‘태백산’에 들어가 도를 닦는다는 결말 등 겉보기에 비슷한 점 이 있다. 하지만 <전우치전>에서는 <홍길동전>에서처럼 부조리한 사회 제도나 현실을 고쳐 보겠다는 의지와 그것을 이루기 위한 집단적인 행동을 찾아볼 수 없다. 그냥 기분이 내키는 대로 도술 행각을 일삼는다. 이는 전우치가 여우를 만나 구슬을 삼키고 구미호의 술수를 빼앗은 후로 도술을 부릴 수 있게 된 것과도 관련이 있다. 여우로부터 얻은 것이기 때문에 정당한 도술이 될 수 없고, 사람을 홀리는 사술(邪術)일 수밖에 없다. 즉, 능력을 과시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거나, 자신에게 피해를 주는 자들을 혼내 주는 선을 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면에서 볼 때 <홍길동전>에서 길동이 다른 사람과 사회질서에 반항하여 도술을 사용하는 것과는 상반된다. 또 몇몇 의로 행위도 지극히 주관적이거나 감정적이어서 그 행위의 결과 또 다른 한편의 미움을 사는 결과를 낳는다. 그래서 도인 서화담이 우치가 이런 데서 벗어나도록 입산수도를 권유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미루어 <전우치전>은 <홍길동전>과 다르게 정치적 목적으로 사회를 비판하기보다는 쾌락적인 흥미를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볼 수 있다.
9. 작품의 한계
홍길동의 출신 배경에서부터 그의 행각의 관점은 모두 서민들의 입장에서 비롯된다. 또한 양반과 서민을 극단적으로 가해자와 피해자 혹은 약자와 강자로써 단순한 이분법으로 나누어 버린 배경은 홍길동의 행위를 영웅적인 면모로 합리화 하지만 현실을 객관적이지 못한 주관적인 면으로만 형상화하고 있다. 그러나 홍길동전은 그 시대의 문제시 되는 과제들에 대한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초인적인 홍길동에 의해 유토피아로 떠나는 마지막 앤딩은 소설의 현실적인 대안을 완전히 회피해버리는 대목이다. 이런 부분에서 볼 때 홍길동전은 현실에 대해 객관적이며 냉정한 시각과 해결점을 제시하지 못했다고 볼 수 있다.
10. 평가 및 의의
홍길동전은 16세기 이후 빈번해지던 농민봉기와 그것을 주도했던 인간상에 대한 구비전승을 근간으로 하고, 그 현실적 패배와 좌절을 승리로 이끌어가고자 하는 민중의 꿈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후반부가 허구적으로 첨가되었다고 추정된다. 홍길동전은 문제의식이 아주 강한 작품이다. 사회문제를 다루면서 지배 이념과 지배 질서를 공격하고 비판하는 방향에서 다루었으므로 문제의식이 뚜렷할 수밖에 없다. 이런 점에서 지배 이념에 맹종하고 대중적 인기에 영합하면서 무수히 쏟아져 나온 흥미본위의 상업적소설과는 본질적인 차이를 보여준다. 당대 현실에 실재했던 사회적인 문제점이 왜곡함이 없이 있는 그대로 보여준다는 면에서 이 작품은 사실주의적이고 현실주의적인 경향을 지니며, 적서차별 등의 신분적 불평들을 내포한 중세사회는 마땅히 개혁되어야 한다는 주제의식을 지닌다는 점에서 진보적인 역사의식을 드러내고 있다. 홍길동전은 작품 경향, 사회의식, 역사의식에 있어서 금오신화에서 마련된 현실주의적 경향, 강렬한 사회 비판적 성격, 진보적인 역사의식을 이어받아, 후대의 연암소설과 판소리계 소설 등의 작품으로 넘겨주는 구실을 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소설사적 의의를 가진다.
※참고문헌
<허균평전> 허경진 돌베게
<한국 고전소설의 자료와 해석> 한국소설학회 아세아문화사
<한국 고전소설 47선> 국어과교사 북.앤.북
<홍길동전연구(1961)> 정주동 문호사
<홍길동전연구(1997)> 이윤석 계명대학교출판부
<경판방각소설 판본연구(2000)> 이창헌 태학사
<홍길동전의 비교문학적 고찰(1969)> 김동욱 새문사
<홍길동전의 문제와 그 해결(1990)> 이강옥, 한국고전소설편찬위원회 새문사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1.10.12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78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