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듀이의 교육관이 성인 교육학과 어떻게 연결될수 있는지 이론적 근거를 제시해 보시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존 듀이의 교육사상

Ⅲ. 존 듀이의 의사소통원리

Ⅳ. 존 듀이의 사회개혁이론

Ⅴ. 존 듀이의 사상과 열린교육

Ⅵ. 존 듀이의 반성적 사고

Ⅶ.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러나 1940년대 이후에는 지나친 아동 중심, 흥미 중심, 활동 중심이라는 비판을 받은 미국의 진보적인 교육운동은 쇠퇴하게 되었다. 그러다가 미국 사회 전반적으로 자유와 인권이 강조되던 1960년대에 열린 교육의 출현을 뒷받침한다고 할 수 있는 교육개혁 운동이 다시 나타나게 되었다. 열린 교육은 ‘비형식적 교육’ 또는 ‘아동중심 교육’ 등의 이름으로 영국에서 주로 발전된 것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영국의 비형식 교육은 1816년 로버트 오웬(Robert Owen)이 스코틀랜드에 세운 유아원(nursery school)에서 출발하여,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점진적으로 발달되었다. 그러나 영국의 열린 교육의 발달은 영국의 교육자만이 아니라 프뢰벨, 몬테소리, 부르너, 페스탈로찌, 피아제, 듀이, 코메니우스 등 여러 나라 교육자들의 영향을 받아서 이루어진 것이다.
이런 면에서 볼 때 열린 교육은 그 근간을 듀이와 같은 학자들의 아동중심교육 사상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두 상호간의 연개성을 가짐으로 열린 교육을 펼쳐 나가는데 이론적 뒷받침을 듀이의 아동중심교육이 해 줄 수 있을 것이다.
Ⅵ. 존 듀이의 반성적 사고
Dewey는 교과와 방법을 분리해서 각기 독립적인 영역으로 보는 경향을 이원론의 유산으로 보고 있다. 곧 마음과 세계가 두 가지 다른 영역을 이루고 있다는 이원론적 관점에서 보면 교육의 방법과 내용도 별개의 것으로 인식된다는 것이다. 말하자면 교과는 인간과 자연에 관한 사실과 원리들을 체계적으로 분류해서 얻은 결과이고, 방법은 그 이전에 이미 확립되어 있는 교과를 이끌어 와서 그것을 습득하도록 하는 절차와 기법이라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적어도 이론상으로는 특정방법이 적용될 교과에 관한 지식이 없이도 마음에 관한 과학으로부터 학습의 방법에 관한 완벽한 이론을 연역해 낼 수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인식의 주체와 대상, 마음과 세계의 연속성을 강조하고 행위 또는 사유의 과정과 결과를 모두 경험 속에 포용하고 있는 Dewey가 이런 이원론적 관점을 받아들일 수는 없었다. 그에 있어 방법이란 교과를 우리가 바라는 결과, 곧 목적을 향하여 의도적 효과적으로 이끌어 나가는 과정이다.
그러나 교과와 방법의 관련성을 지나치게 강조할 경우, 방법의 일반성과 특수성의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말하자면 여러 교과의 학습에 광범하게 적용될 수 있는 어떤 일반적인 방법이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Dewey가 제시한 일반적 방법은 과학적반성적 사고라 할 수 있다. 반성적 사고란 “어떤 신념 또는 가정된 지식의 형식을 그 신념 또는 지식을 지지하는 근거와 그것이 지향하는 그 이상의 결론들에 비추어 적극적, 지속적으로, 그리고 주의 깊게 고찰하는 정신작용”을 의미하며 대체로 다음과 같이 전개된다.
①암시 ②지성화 ③지도적 관념 - 가설 ④(협의의) 추리 ⑤가설 검증
반성적 사고는 한마디로 지적, 과학적 문제해결과정이라 할 수 있다. 즉 지적, 실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보다 확실한 지식과 신념을 획득할 목적으로 관념과 사물, 지식과 행위, 이성과 감각 등 제반 요소들을 합목적적으로 배열해 나가는 과정이라 말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경험은 지성화되고 이론은 실천과 연속됨으로써 고질적인 이원론이 극복되고 지식과 신념의 확실성, 정당성이 증가되어 나간다.
반성 또는 탐구는 물론 불확정적인 문제사태에서 시작되어 확정적 문제해결사태로 끝이 난다. 여기서 Dewey에 있어 문제사태란 한 총칭으로서의 삶의 문제, 곧 일상적학문적, 이론적실천적 문제를 모두 포함한다. 그는 반성적 사고가 일어나는 불확정상황을 ‘전 반성상황’(pre-reflective situation)이라 하고 그것이 해결된 확정상황을 ‘후 반성상황’(post-〃)이라 부르고 있다. 따라서 한 단위의 반성적 사고는 전 반성의 문제사태에서 시작되어 ‘암시-지성화-가설-추리-가설검증’의 과정을 거쳐 그 문제가 해결되고 결론이 도출됨으로써 끝이 난다.
Dewey에 있어 이러한 반성적 사고는 바로 그의 인식론임과 동시에 교수방법이다. 말하자면 그것은 인간의 삶의 질을 높이고 지속적인 사회, 문화의 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는 최선의 학습방법이다. 더욱이 그것은 물리학, 화학, 생물학 등 자연과학만 아니라 각종 사회과학이나 도덕, 윤리문제 등 광범한 영역에 걸쳐 폭넓게 적용할 수 있는 일반적 방법이다.
Ⅶ. 결론 및 제언
듀이의 경험중심의 교육론이 진보주의 교육이론과 크게 다르다는 느낌을 받을 수 없었다. 편집자 서문에서는 과학적 방법에 기초를 두고 전통교육과 진보주의 교육의 한쪽에 치우치지 않으면서 이분법적인 명칭의 굴레를 벗어나겠다고 했으나, 실제적으로는 진보주의 교육 쪽으로 조금 더 치우쳐 있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서론에서 언급했듯이 인간은 끊임없이 교육을 받으면서 살아가고 있다. 또한 끊임없이 많은 경험을 통하여 자신을 성숙시켜 나가고 있다. 어떻게 보면 ‘경험’이라는 것은 인간의 지식의 구조를 더욱 정교하게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외적체제와 내적 체제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자신의 지식의 구조를 정교하게 만들어 나갈 것이기 때문이다.
교육이란 잊혀진 후에 마음에 남는 것이라고 한다. ‘경험’이라는 것이 몸속에 스며들어 있을 때 비로소 사람은 성숙해 나가게 되고 하나의 교육적 가치로 남게 됨을 말하는 것 같다. 쉽지 않았던 중간과제물을 대하면서 교육에 있어서의 아직 경험적으로 미성숙한 아동의 역할에 대해서 생각을 해 보았고, 경험을 통한 교육방법 뿐 아니라 저번 연구과제의 브루너의 지식의 구조와 아울러 교육의 진정한 의미에 대해 다시 곱씹어볼 수 있었던 것 같았다.
참고문헌
경기도교육청, 교육을 열면 미래가 보인다, 문성사, 1996
강영계, 철학의 흐름, 서울: 제일출판사, 1987
이성호, 학교가 사회를 주도할 수 있는가 : 존 듀이의 견해를 중심으로, 교육개발, 5월호, 한국교육개발원, 1994
이주한, 듀이 사회철학에서의 민주주의와 의사소통, 교육연구, 제15집, 춘천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1998
오천석, 죤 듀이의 민주주의와 교육, 교육과학사, 1984
연세대교육철학연구회, 위대한 교육사상가들
  • 가격3,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2.03.23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57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