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주거환경] 노인의 주거환경 특성과 주거생활문제, 노인주택개발 필요성, 노인 주거 선호와 요구 및 이상적인 주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노인주거환경

Ⅰ. 노인의 주거환경 특성과 주거생활문제

Ⅱ. 노인주택 개발 필요성 강화 요인

1. 고령화와 노인인구의 증가
2. 자녀와의 별거노인의 증가
3. 노인질병 구조의 만성화 및 일상생활동작 능력의 약화
4. 차세대 노인(비노인층)의 주거욕구 다양화
5. 노인주택구조의 문제점

Ⅲ. 노인의 주거 선호와 요구

Ⅳ. 노인간호를 지원하는 이상적인 주거

1. 생활 장소를 1층으로 한다.
2. 방의 공간을 넓게 한다.
3. 감시와 교류를 하기 쉬운 방 배치를 한다.
4. 배회로를 만든다.
5. 간단한 구조로 한다.
6. 화장실과 욕실 공간을 넓게 한다.
7. 샤워기는 핸드타입이 편리
8. 배색을 고려한다.
9. 부엌은 안전성을 첫 번째로 생각한다.
10. 바깥 공기를 쐴 수 있는 장소를 만든다.
11. 프라이버시를 확보한다.
12. 함께 생활하는 감각을 잃지 않는다.
13. 휠체어 생활에 배려한다.
14. 출입에 안전책을 강구한다.

본문내용

거실, 식당, 부엌을 연결하는 간단한 띠 형태의 통로가 좋다.
5> 간단한 구조로 한다.
욕실과 화장실은 거실과 침실에서 곧바로 갈 수 있는 배치로 하면 효과적이다. 본인의 생활 장소에서 보이는 것이 이상적이다. 출입문이 있는 긴 복도의 끝 부분과 몇 번이나 각도를 꺾어야 하는 곳은 부적절하다.
6> 화장실과 욕실 공간을 넓게 한다.
휠체어로 드나들 수 있는 넓이가 있으면 이상적이지만 적어도 간호자와 환자 두 사람이 동시에 설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7> 샤워기는 핸드타입이 편리
두 사람이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이 이상적이다. 샤워는 고정되어 있지 않는 핸드타입이 편리하다. 손잡이도 필요하다.
8> 배색을 고려한다.
곧바로 발견할 수 있는 화장실 등의 문, 벽에 걸 수 있는 타월 등에는 벽의 색과 구별할 수 있는 밝고 눈에 띄는 색을 사용한다.
9> 부엌은 안전성을 첫 번째로 생각한다.
부엌은 편리한 위치에 설치하고 안전한 구조에 유의해야 한다. 부엌에서 다른 방을 바라볼 수 있는 것이 이상적이다. 간호자가 부재중이고 환자가 혼자인 때는 부엌 입구를 막을 수 있도록 해둔다. 경우에 따라서는 부엌의 입구에 문과 하프도어를 설치하는 것도 고려한다. 작은 가전제품과 위험성이 높은 장치와 용구를 자물쇠를 채워 수납할 수 있는 장소를 만들어 둔다. 안전 확보를 위해 서랍과 찬장에는 자물쇠를 채운다.
10> 바깥 공기를 쐴 수 있는 장소를 만든다.
신선한 공기를 쐬거나 외출할 수 있는 안전한 방법을 생각한다. 간호자가 감시하지 않아도 본인이 자유로이 바깥 공기를 마시며 보낼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바람막이가 있는 베란다와 포치, 뒤뜰에 자유로이 드나들 수 있으면 효과적이다. 앉은 채로 바깥 경치를 바라볼 수 있도록 창은 낮은 위치에 설정하는 것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1> 프라이버시를 확보한다.
간호자와 노인환자의 혈연, 동거가족 구성에 따라 프라이버시 문제는 크게 다르지만 어떤 경우라도 환자의 프라이버시를 존중해야 한다. 간호자가 배우자나 자식의 경우 프라이버시 문제는 그다지 크지는 않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병세가 진행되어 누구에게 간호를 받고 있는지 이해하지 못할 때에는 프라이버시 문제를 생각해야 한다.
간호자 가족의 프라이버시 문제도 발생한다. 가족의 프라이버시 문제를 치매환자에게 설명하여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각자 소중한 것을 정리하고 열어서 안 되는 곳은 자물쇠를 채우는 등, 가족의 이해를 구할 필요가 있다.
간호자의 프라이버시를 위해 다른 사람에게 간호를 맡기는 시간과 본인이 자고 있는 시간에 전화를 걸거나 가계부를 계산하는 등 혼자서 보낼 수 있고 은신할 수 있는 방이 있으면 피곤함이 덜 수 있다. 집에 상주하거나 장시간 가정봉사원을 고용한다면 간호자가 쉴 수 있는 공간을 준비하는 것이 좋다. 더욱이 그 방에 전용 샤워실이 설치되어 있다면 이상적이다. 배우자가 간호자인 경우 방이 세 개인 집이 이상적이라고 한다. 부부용으로 하나, 환자와 같은 방에서 잘 수 없을 때, 그리고 가정봉사원용으로 방이 3개 정도는 필요하다.
12> 함께 생활하는 감각을 잃지 않는다.
프라이버시도 중요하지만 고립되지 않도록 가족들이 함께 보내는 단란장소에 환자가 참가할 수 있도록 배려한다. 2세대 주택의 경우 환자의 생활공간과 간호자 가족이 단란의 장소가 문 하나로 구분될 수 있는 구조가 이상적이다. 이렇게 하면 문 개폐 하나로 환자도 가족들과 함께 할 수도 있고 또한 환자 자신의 개인적인 공간도 지닐 수 있게 된다.
13> 휠체어 생활에 배려한다.
문덕이 없고 별은 공간이 확보 할 수 있다면 휠체어 생활 장소로 이상적이다. 복도 벽에 설치한 핸드레일과 조명기구가 휠체어 통행의 장애가 되는 일도 있어 잘 고려하여 설치해야 한다.
14> 출입에 안전책을 강구한다.
간호자들은 노인환자가 바깥으로 나가거나 위험한 장소에 가지 많도록 안전책을 강구한 집이 이상적이라고 할 수 있다. 바깥으로 연결되는 문은 경우에 따라 문이라고 알아차리지 못하도록 자물쇠를 채우거나 경보기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계단입구에도 문과 목책을 설치하면 안전하다.
통상 간호를 고려한 뒤에 설계하여 지은 집이 아니라면 이러한 장치와 설비를 갖춘 집은 좀처럼 없다. 실제로 환자를 가정에서 보호하려면 무엇이 문제이고 무엇을 어떻게 하면 문제가 해결되는지 간호자와 환자 자신의 그때그때의 욕구를 잘 고려하고 또한 앞으로 어떤 것이 요구되는지 상세하게 검토하여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 가격2,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04.07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88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