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의 이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훈민정음의 이해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훈민정음의 기원
Ⅱ. 훈민정음의 제자원리
Ⅲ. 훈민정음의 초 ․ 중 ․ 종성체계

본문내용

합으로 만들어졌다. 음가의 측면에서 보면 ㅣ와의 합성으로 볼 수 있다.
이 합성에 있어 ‘ㅗ’와 ‘ㅜ’ ‘ㅏ’ ‘ㅓ’ 등의 자형상의 대립이 주목되는데, 이것은 ‘ㅗ’와 ‘ㅏ’는 陽이요, ‘ㅜ’와‘ㅓ’는 陰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당시의 학자들이 국어의 모음조화 체계를 제자에 반영했음을 보여준다.
그 밖의 중성글자들은 이들 11자를 합용하여 쓰인다. 해례 중성해에 二字合用字라 하여 ㅓ ㅢ ㅚ ㅐ ㅟ ㅔ ㆉ ㅒ ㆌ ㅕ (이상 1자 중성과의 상합), ㅙ ㅞ ㆈ ㆋ (이상 2자 중성과의 상합)를 제시하고 있다. 이 가운데 ㆉ ㆊ ㆈ ㆊ는 문헌에서 용례를 볼 수 없다.
4. 종성체계
훈민정음에서 종성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이 3가지의 규정을 마련하고 있다.
ㄱ. 終聲復用初聲
ㄴ. 初聲合用則竝書 終聲同
ㄷ. 然 ㄱ ㆁ ㄷ ㄴ ㅂ ㅁ ㅅ ㄹ 八字可足用也
종성에는 초성글자를 다시 사용한다. 초성을 합쳐 쓰려면 병서한다. 종성의 경우도 이와 같이 병서한다. ‘終聲復用初聲’은 초성, 중성, 종성 증에서 종성글자는 따로 만들지 아니하고 초성글자를 그대로 쓴다는 규정이다. 훈민정음 제자해에서는 이렇게 초성과 종성이 같은 글자를 쓰는 것을 다음과 같이 陰陽循環의 원리로 설명하고 있다.
‘初聲合用則竝書 終聲同’이라고 한 것은 초성에서와 같이 종성에서도 병서자가 쓰인다는 말이다. 초성에서 합용병서 ‘ㅼ, ㅶ, ㅴ, ㅵ’등이 쓰이는 것과 같이 종성에서도 합용병서 ‘,ㄱㅅ,’등이 쓰인다는 뜻이다.
‘然 ㄱ ㆁ ㄷ ㄴ ㅂ ㅁ ㅅ ㄹ 八字可足用也’의 규정은 앞의 ‘終聲復用初聲’규정은 모든 초성자를 다 종성에 쓸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8개의 종성(ㄱ ㆁ ㄷ ㄴ ㅂ ㅁ ㅅ ㄹ)만으로도 가히 쓸 수 있다는 구체적인 사용 규정으로 파악된다. <용비어천가>나 <월인천강지곡>과 같은 극히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문헌은 이 팔종성만으로 표기한 사례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결국 훈민정음의 종성은 이상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ㄱ. 終聲復用初聲 ㄴ. 初聲合用則竝書 終聲同 ㄷ. 然 ㄱ ㆁ ㄷ ㄴ ㅂ ㅁ ㅅ ㄹ 八字可足用也 등 3가지의 규정에 따라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
◆ 참 고 문 헌 ◆
1. 김무림(2004), 「국어의 역사」, 한국문화사
2. 박창원(2005) ,「훈민정음」,신구문화사.
3. 박동규(1998) , 「국어연구사」, 전주대학교출판사.
4. 신상순, 이돈주, 이환묵 편(1988),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5.26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95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