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이전(殊異傳) 일문(逸文) 「최치원(崔致遠)」 연구 ―「최치원」이 갖는 전기소설(傳奇小說)의 성격을 중심으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이전(殊異傳) 일문(逸文) 「최치원(崔致遠)」 연구 ―「최치원」이 갖는 전기소설(傳奇小說)의 성격을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2. 연구사 검토
 3. 연구 방법 및 범위
Ⅱ. 장르의 분석
 1. 설화와 소설의 차이
 2. 전기소설과 「수이전」의 관련성
Ⅲ. 「최치원」이 갖는 전기소설의 성격
 1. 「최치원」의 플롯
 2. 전기적(傳奇的) 인물의 미적 특질
 3. 「만복사저포기」와 「최치원」의 인물 비교
Ⅳ. 결론

본문내용

뿐만 아니라 충동적인 면모를 곧잘 보여준다. 전기적 인간이 보여주는 풍부한 내면성, 섬세하고 여린 감성, 그리고 그로부터 말미암은 상처받기 쉬운 성격으로부터 전기적 인간의 또 다른 미적 특질이 추출될 수 있는바, 그것은 ‘소극성’이다. 전기적 인간은 강한 ‘문예취향’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도 특징적이다.
끝으로 금오신화의 만복사저포기와 최치원의 두 주인공을 공통점을 고찰해보았다.
첫째, 양생과 최치원은 고독한 인물로 형상화되어 있다. 둘째, 양생과 최치원은 귀녀(鬼女)를 만나서 사랑에 빠지게 된다. 셋째, 양생과 최치원은 문(文)에 능한 인물들이다. 넷째, 양생과 최치원은 짧은 사랑을 나눈 후 속세를 떠난다.
지금까지 본고의 개괄적인 내용을 정리해보았다.
본고에서는 설화와 전기소설의 차이점에 주목했지만 사실 두 장르의 공통점 역시 유의깊게 살펴보아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최치원은 전설에서 탈각해 나온 첫 모습이므로 전설적 잔재가 남아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또 한편으로는 자아와 환상세계의 지속적 갈등, 인물 성격과 환경세계의 형상, 사건의 긴밀한 구성, 문체 등에서 전기성의 요건과 소설의 요건을 동시에 갖추고 있다. 따라서 전기소설에 대한 균형 잡힌 연구를 위해서는 공통점 역시 면밀하게 분석해 볼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는 주로 설화와 전기소설을 이분법적으로 진행해온 편이다. 따라서 설화와 전기소설의 상호 연관성에 관한 연구는 또 다른 과제로 남겨 두고자 한다.
또 한편으로 최치원은 우리문학사 가운데 명혼소설 혹은 애정소설의 효시가 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연구사 검토에서도 살펴보았듯 최치원의 장르 문제에 관한 연구는 주로 전기소설에 맞추어 논의되어 온 편이다. 최치원을 좀 더 다각도로 분석하여 연구의 지평을 넓히는 것 또한 필요한 작업이라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1. 논문
김문희(2003), 애정 전기소설의 문체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논문.
김종철(1988), 서사문학사에서 본 초기소설의 성립 문제, 고소설연구논총.
김종철(1995), 전기소설의 전개 양상과 그 특성 민족문화연구 28,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김현양(1997), 최치원의 장르 성격 논의에 대한 비판적 검토, 민족문화사연구 10, 민족문학연구소.
박일용(1992), 명혼소설의 낭만적 경향성과 그 소설사적 의미, 관학어문연구 17, 서울대학교.
(1993), 소설의 발생과 수이전 일문의 장르적 성격, 조선시대의 애정소설 집문당.
(1995), 전기계 소설의 양식적 특성과 그 소설사적 변모 양상, 민족문화연구 제28집, 고려대민족문화연구소.
박희병(1992), 한국고전소설의 발생 및 발전단계를 둘러싼 몇몇 문제에 대하여 관학어문연구17, 서울대, 1992.
(1995), 전기적 인간의 미적 특질, 민족문화사연구 7, 민족문화연구소, 1995.
이구의(1996), 최치원전의 소설성, 한민족어문학, 한민족어문학회.
이대형(2001), 금오신화의 서사방식, 연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 논문.
이동환(2002), 쌍년분기의 작자와 그 창작 배경, 민족문화연구 37,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이헌홍(1982), 최치원전의 전기소설적 구조, 수련어문학집 9, 부산여자대학교 국어교육학과 수련어문학회.
임형택(1980), 나말여초의 전기문학, 한국한문학연구 5, 한국한문학연구회.
소인호(1997), 수이전의 저자와 문헌 성격에 관한 반성적 고찰, 고소설연구 3, 한국고소설학회, 1997.
설성경(1974), 최치원전 연구, 연세어문학 5,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8), 고려시대 전기의 유형과 사적 전개양상, 숭실어문 14, 숭실어문학회.
(2001), 최치원의 작자와 원작의 문제, 고소설사의 전개와 서사문학, 아세아문화사.
장효현(1995), 전기소설 연구의 성과와 과제, 민족문화연구 28,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정규식(2006), 나말여초 전기문학과 최치원, 동남어문논집, 동남어문학회.
정준민(1985), 최치원전의 전기소설성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조수학(1975), 최치원전의 소설성, 영남어문학 2, 영남어문학회.
지준모(1975), 전기소설의 효시는 신라에 있다, 어문학 32, 한국어문학회.
최강현(1963), 신라수이전소고, 국어국문학 26호, 국어국문학회.
최진아(2002), 당대 애정류 전기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중어중문학과 박사 논문.
한영환(1987), 최치원과 유선굴의 비교연구, 인문과학 연구 7, 성신여자대학교.
2. 단행본
고운기(1997), 일연, 한길사.
권영민(2009), 문학의 이해, 민음사.
권혁래 외(2010), 다시보는 고소설사, 보고사.
김대현(1996), 조선시대 소설사 연구, 국학자료원.
김동준 외(2010), 새 민족문학사 강좌1, 창비.
김수중(2007), 고전소설과 문학정신, 태학사.
김태준(1939), 증보판 조선소설사, 학예사.
김학주(1990), 중국문학사, 서울 신아사.
김현양(2007), 한국 고전소설사의 거점, 보고사.
김현양 외(1996), 譯註 殊異傳 逸文, 도서출판 박이정.
노대규(1996), 한국어의 입말과 글말, 국학자료원.
민족문학사연구소(1998), 한국고전문학작가론, 소명.
박희병(1997), 한국전기소설의 미학, 돌베개.
이가원(1961), 한국한문학사, 민중서관.
이상택(2011), 한국 고전소설의 세계, 돌베개.
작자 미상신해진 역(2009), 소대성전, 지만지 고전선집.
장덕순(1984), 설화문학 연구, 서울 새문사.
정상균(1998), 한국 고대서사문학사, 태학사.
정재서 외(2005), 세계의 고전을 읽는다1 : 동양 문학편, 휴머니스트.
정출헌(2003), 고전문학과 여성주의적 시각, 소명출판.
정홍교(1991), 조선문학사1,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조동일(1977), 한국소설의 이론, 지식산업사.
(2010), 제4판 한국문학통사1, 지식산업사.
조선대학교 사고와 표현 교재편찬위원회(2009), 사고와 표현 2: 인문사회계열, 조선대학교 출판부.
조윤제(1963), 한국문학사, 동국문화사.
(1987), 신판 한국문학사, 탐구당.
  • 가격50,000
  • 페이지수36페이지
  • 등록일2012.06.29
  • 저작시기2012.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59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