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결혼은, 미친 짓이다>와 영화 <결혼은, 미친 짓이다>의 결혼 관념 차이 -플롯의 차이와 여성캐릭터의 결혼관념 비교·분석 중심으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플롯의 차이
 2.1. 가족과의 관계-실체와 이미지
3. 여성 캐릭터의 결혼 관념
 3.1. 여동생의 종속적 결혼관
 3.2. 은희의 로맨스 찾기
 3.3. 연희의 욕망의 완전 충족
4. 가부장제도로부터의 도피
5. 나오며
6, 참고문헌

본문내용

용한다. 영화는 영화의 제약을 감안하여 주 플롯(main plot)만을 선택하였다. 여성 캐릭터의 결혼 관념을 살펴보면서 여동생과 은희 그리고 연희의 결혼 관념을 살펴보았다. 여동생은 전형적 신데렐라 콤플렉스와 한국 여성의 결혼관을 나타냈다. 은희는 남편으로부터 얻지 못한 정신적 로맨스를 준영을 통해 채우려 했다. 연희는 변용된 신데렐라 콤플렉스를 보여줬는데, 사회적·경제적 지위의 안정을 위한 남자와 낭만과 로맨스를 얻기 위한 남자(준영)를 분리함으로써 독특한 결혼관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소설에서는 결혼문제를 사회의 보편적 관념이자 문제로 바라본다. 영화에서는 은희와 여동생이 등장하지 않는데 이는 연희의 결혼관은 개인적인 성격과 취향에서 기인된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준영의 가부장제도로부터의 도피를 살펴보았는데 차남의 장남변화와 준영의 경제적 무능, 연희의 아버지와 비교를 중심으로 바라봤다. 영화에서 준영은 소설보다 다양한 현실적인 이유들로 가장이 되기를 두려워하고 있다. ‘가부장적 문화가 구성하는 젠더 이미지’의 남성성을 통해서 준영을 바라봤을 때 그는 가부장제도로부터 도피했다고 볼 수 있다.
6. 참고문헌
이만교, [결혼은, 미친 짓이다], 민음사, 2000
이선옥, [한국 소설과 페미니즘], 에림기획, 2002
이형식 외, 『문학 텍스트에서 영화 텍스트로』, 동인, 2004
문화라, “소설의 영상화 과정에 따른 변모 양상 연구”, [한국문화연구],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5
조헌용, “소설과 영화의 상호텍스트성 연구-2000년대 재매개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 가격1,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7.17
  • 저작시기2012.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90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