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별 근로자수를 통한 서울 산업경제의 변화추정(2014년까지의 변화를 바탕으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산업별 근로자수를 통한 서울 산업경제의 변화추정(2014년까지의 변화를 바탕으로)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경제 기반 분석을 통한 예측기법
1) 입지계수모형과 기반승수모형
2) 고정할당모형과 변이할당모형

3. 연구설계
1) 분석대상과 범위
2) 연구진행도와 분석내용

4. 분석결과
1) 변이할당분석
2) 입지계수분석과 기반승수분석
3) 고용변화추세 예측결과의 비교와 전체인구변화추세의 예측

5. 결론

본문내용

>은 서울의 2014년도 전체인구수를 보여준다. 경제적 의존도는 변이할당모형과 기반승수모형(2004년) 모두 2004년도부터 시작했음으로 동일한 경제적 의존도 2.52가 산출된다. 기반승수모형(2009년)의 경우에는 2.50로 약간의 차이가 존재하지만, 큰 차이는 아니다. 전체인구수 예측결과에서 기반승수모형(2004년)은 17,532,318명, 기반승수모형(2009년)은 14,605,737명, 그리고 변이할당모형은 12,958,409명으로 2014년 서울특별시의 전체인구수를 산출하였다.
<표 7>경제적 의존도에 의한 인구변화추세
산출방법
2014년 전체고용자수
2014년 전체인구수
경제적 의존도
변이할당모형(2004년)
5,135,161
12,958,409
2.52
기반승수모형(2004년)
6,947,710
17,532,318
기반승수모형(2009년)
5,830,731
14,605,737
2.50
예측된 2014년의 서울특별시 전체인구수와 전체고용자수가 실제의 인구변화와 얼마나 가까운가를 보고, 각 모형을 평가하였다. 전체인구수에 대하여, 서울특별시의 지난 10년간의 인구는 2001년 10,331,244명이었고 2011년의 인구는 10,528,774명이다. 인구추이를 살펴보면, 2005년까지 아주 작은 폭으로 감소하다가 2006년부터 증가세로 돌아섰다. 가장 큰 증가폭은 11만 명이었다. 평균적으로 2만 명가량의 인구가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014년의 서울인구수를 예측한 모형 중 현재의 인구에 가장 가까운 추세예측을 한 모형은 변이할당모형이었다. 그러나 연평균 2만 명가량의 인구가 증가한다고 하였을 때, 2014년의 서울인구수는 천육십만 명을 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변이할당모형이 예측한 서울인구수와 비교하여 이백삼십만명의 차이를 보이는 문제를 보였다.
전체고용자수에 대하여, 서울특별시의 지난 10년간의 산업종사자수는 2001년 3,763,794명이었고 2010년의 종사자수는 4,487,357명이다. 변화추이를 살펴보면, 2003년까지 아주 큰 폭으로 감소했다가 2004년에 2001년 수준으로 돌아왔고, 증가세로 돌아섰다. 2002년과 2003년의 감소세를 제외하면, 가장 큰 증가폭은 2010년 30만 명이었다. 평균적으로 8만 명가량의 인구가 증가하고 있지만 최근에 큰 폭의 증가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2014년의 서울고용자수를 예측한 모형 중 현재의 고용자수에 가장 가까운 추세예측을 한 모형은 인구수예측과 동일하게 변이할당모형이었다. 연평균 10만 명의 증가를 가정하였을 때, 2014년에 서울의 고용자수가 50만 명에 다다를 것으로 보이지만, 변이할당모형이 아닌 기반승수모형은 적게 산출된 값이 백만명이상의 차이를 보여 서울특별시의 고용자수변화를 잘 설명해주지 못하였다.
Ⅴ. 결론
세종특별자치시의 시작과 그로 인해 서울특별시에 미칠 영향을 탐색함에 일환으로 지역산업에 의한 인구변화추이분석을 실시하였다. 2014년까지의 짧은 기간을 탐색하여 세종특별자치시가 없는 상태에서의 산업인구변화와 세종특별자치시가 있는 상태에서 산업인구변화의 차이를 앞으로 볼 수 있는 정책의 참고서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에서 분석모형으로 활용한 기반승수모형과 변이할당모형은 서울특별시의 전체인구변화를 잘 설명해주지는 못했다. 또한 사업종사자 수에 대하여는 변화폭을 관대하게 하였을 때, 변이할당모형이 상대적으로 서울특별시의 사업종사자 수의 변화추세를 일부분 예측할 수 있었다.
실제 변화와 예측에 불일치의 원인은 지역적인 특수성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서울특별시의 하루 이동 인구수는 2천만 명에 이른다고 한다. 거주자가 천만 명인 것을 고려할 때, 나머지 천만 명이 만들어 내는 다양한 영향들과 변화들을 경제인구의 변화만을 가지고 설명하기는 어렵다. 다시 말해, 다른 대도시와 다른 서울만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기존의 모형을 더욱 정교화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국토가 비교적 좁고, 수도권에 인구의 절반이 모여 있다. 수도권에서 서울까지 오래 걸리면 2시간인 점을 고려할 때, 서울특별시에 대한 분석은 서울특별시에 한정될 경우, 큰 왜곡이 일어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기존의 분석모형이 면적이 큰 미국의 도시들을 분석함에 적당하였다면,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이를 다양한 요인들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우리나라의 현실과 상황에 맞게 토착화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인구변화추이를 알아보는 다양한 방법들로 경제분석과 더불어 단순히 수치의 변화만을 고려하는 추세외삽법과 인구구성과 생물학적 특성을 고려하는 코호트분석법등이 있다. 하나의 지역을 분석함에 있어 이들 방법론을 모두 활용하여 가장 잘 맞는 것을 찾고, 이를 정책결정자에게 알리는 일이 인구변화와 지역고용자변화를 예측하는 연구자의 역할로 보인다.
비록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실제의 변화를 예측함에 큰 차이를 보였지만, 이러한 차이에서 추세분석방법의 융합 필요성을 언급할 수 있다. 경제 분석은 지역의 성장을 기초적으로 가정하고 있고, 산업이 지역에 미치는 효과를 긍정적으로만 가정하고 있다. 반면, 코호트분석은 인구의 사망을 필연적인 것으로 가정하고 사망과 관련된 분석을 중심으로 한다. 다른 한 편에서는 추세외삽법은 긍정적인 영향의 가정이나 당위적인 문제의 가정이 없이 단지 수리적 가정에 의존한다.
이러한 가정들과 단편성들은 문제점들을 각각 가지고 있지만, 이 가정들과 단편성들이 반대로 분석이 가진 강점이기도 하다. 각 강점들을 살리고, 약점들을 보완하는 분석방법의 탐색과 방법들간의 접점들을 찾아가는 노력이 앞으로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참 고 문 헌
웹사이트
국가통계포털 www.kosis.kr
서울통계 stat.seoul.go.kr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ecos.bok.or.kr
국내문헌
이상일. (2006). “고용 변동에 따른 인구 규모와 산업 구조 상의 장기적 변화 추정: 2020년 서울을 사례로”, 지리교육논집, 50: 27-39.
해외문헌
Klosterman, R. E. (1990). Community Analysis And Planning Techniques. Savage, MA: Rowman & Littlefield.
  • 가격2,3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2.09.03
  • 저작시기2012.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59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