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균_논문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허균_논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 3

Ⅱ. 작가연구 ----------------------------------------------- 4

1. 사회적 배경 -------------------------------------------- 4

2. 허균의 생애 -------------------------------------------- 6

3. 허균의 정치관 ------------------------------------------ 8
1)호민론의 혁명이론 -------------------------------------- 8
2)내정개혁 ---------------------------------------------- 10
3)국방책 ----------------------------------------------- 11
4)신분 차별 타파 ----------------------------------------- 11
5)붕당 정치 --------------------------------------------- 13

Ⅲ. 허균의 교유인물와 사상 ----------------------------------- 13

1. 교유인물 --------------------------------------------- 13
1)허균과 권필 ------------------------------------------ 14
2)허균과 매창 ------------------------------------------ 16

2. 사상 ------------------------------------------------- 17
1)유교 ------------------------------------------------- 18
2)불교 ------------------------------------------------- 19
3)도교 ------------------------------------------------- 20
4)서학 ------------------------------------------------- 21

Ⅳ. 허균의 문학세계 ----------------------------------------- 22

1. 『전』과 소설 문학 -------------------------------------- 22
1)『전』문학 --------------------------------------------- 23
2) 소설 문학 -------------------------------------------- 27

2. 시 문학 ------------------------------------------------ 31

Ⅴ.맺음말 -------------------------------------------------- 36

※ 參考文憲 ----------------------------------------------- 39

본문내용

고통 받는 민중의 아픔을 노래한 시들도 있고, 승전의 기쁨을 노래한 시도 있다. 이렇듯 허균의 우국시는 매우 다양한 시선으로 전쟁을 바라보고 다양한 소재를 동원하여 우국시는 매우 다양한 시선으로 전쟁을 바라보고 다양한 소재를 동원하여 우국충정의 마음을 담아냈다고 할 수 있겠다.
Ⅴ.맺음말
허균은 뛰어난 재주로 한 시대를 주름잡았고, 자유분방한 사상으로 경직된 유교사회를 예리하게 비판했으며, 급기야는 폐모론에 연루되어 역적으로 몰려 사형을 당하고 말았다. 이런 독특한 행적 때문에 허균에 대한 평가는 시대마다 학자마다 같지가 않았다. 특히 그의 여러 면모 중 어떤 측면에 초점을 맞추느냐에 따라 그에 대한 평가는 사뭇 달라진다. 허균의 문학적 능력이나 선각자적 현실인식에 대해서는 비교적 높은 점수를 주지만 그의 인간성에 대해선 대체로 부정적인 평가를 내리는 경우가 흔하다.
그러나 허균이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이유는 앞서 말했듯이 역모에 연루되어 사형을 당했기 때문이다. 또한 그의 남겨진 문학들이 대부분 당대 현실을 비판하는 내용들이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조선조가 끝날 때까지 그는 다른 역모자 들과는 달리 복권되지 않았던 것이다.
여기에 더하여 허균의 독특한 성격과 그에 대한 오해 때문에 비난에 휩싸이게 되었다고도 본다. 허균은 자신 스스로도 자신이 말이 가볍고 국량도 좁다고 말했다. 물혼 이는 스스로의 행동에 대한 겸양의 표현이라 할 수 있겠으나 또한 스스로의 성격에 대한 사실적 측면도 담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특히 그가 강석이나 말할 자리에 가서는 툭하면 임금이나 정승의 비위를 거스르는 말을 하고야 만다고 한 점으로 미루어보면 그는 바른 말하기를 좋아하는 사람이었으며, 남의 잘못을 쉽사리 용납하지 못하는 성격의 사람이었을 것이다. 아마도 허균은 하고 싶은 말이 있으면 참지 못하고 하고야 마는 성격이었으며, 남의 잘못에 대해 바른 말을 서슴지 않던 강직한 성격의 사람이었다고 할 수 있겠다.
그는 자신의 성격이나 그에 따른 행동 특성 때문에 끊임없이 현실과 맞서다가 좌절을 맛보았지만 그렇다고 현실과 타협하려 하거나 안주하려 하지 않고 나름의 삶의 의미를 구축하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기울였다. 그렇기 때문에 현실적 좌절에도 불구하고 끊임없이 현실에 도전하려는 의지를 보였으며 현실의 질곡으로부터 벗어나 자신만의 세계 속에 안주하려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또한 노불이나 신선의 세계를 지향함으로써 현실적 괴로움을 떨쳐 버리려는 모습을 드러내기도 했다. 그가 끊임없이 관직에의 집착을 보였다든가 현실개혁의 의지를 드러낸 것은 현실 도전 의지를 보여준 것이며, 문학창작을 통해 신선세계에 대한 동경의식을 드러낸 것은 현실적 괴로움을 떨쳐버리려는 노력으로 해석될 수 있다.
지금까지 대체적으로 허균의 문학적인 면모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렇다면 허균이란 사람은 어떤 면모를 지니고 있었을까? 허균은 재주도 뛰어났지만 정도 많은 인물이었다. 허균을 두고 재정(才情)이 과인(過人)하다고 한 평가는 정곡을 찔렀다고 할 만하다.
허균이 가족의 죽음을 애도한 글이나 벗에게 준 글을 보면 그의 다정다감한 품성이 잘 드러나 있다. 그 대표적으로 위의 내용에 있듯이 권필에게 보낸 편지를 들 수 있다.
또한 가문에 대한 자부심도 남다른 사람이었으며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유교사회에 살면서 이단시하는 노불제자서를 두루 섭렵한 것으로 보아 학문에 대한 열정도 남달랐던 것으로 보이며 중국 중심의 문화권에 살았으면서도 우리의 역사, 문학, 예술에 대해 남다른 자부심을 지니고 있었다.
학문에 대해 남다른 열정을 지녔던 허균은 인재를 사랑하는 마음씨도 남다름이 있었으며 국론이 분열되어 파당이 일기 시작했던 시기에 살던 그였기에 자기 시대가 소인들이 날뛰는 매우 혼탁한 시대요, 말세라고 인식하고 있었고 그래서 부조리한 현실을 날카롭게 비판했는데 그가 현실을 날카롭게 비판할 수 있었던 것은 공명정대한 마음을 잃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허균은 한 인물을 평가함에 있어 충과 절을 몹시 중시했다. 그가 포은, 야은을 숭앙하고 정도전, 권근을 문제 삼았던 것은 바로 이 때문이었다.
현재까지 허균은 활발히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아직도 그는 대중의 인식 속에 문학에는 뛰어나지만 여성관계라던가 성격은 좋지 않다고 여겨져 왔다. 그러나 이렇게 허균에 대해 조사를 해본 나는 허균을 감히 시대를 잘못 타고난 비운의 인물이라 칭하고 싶다. 어느 시대에나 현실에 순응하고 안주하려는 인물들이 존재하고 또한 부조리한 인물들이 권력을 장악하고 있기 마련이다.
허균은 죽어서 뿐만 아니라 살아있을 때도 당시 사람들의 비판을 받았다고 한다. 아마도 꽉 막힌 조선시대의 틀에 맞추기에는 허균 이라는 인물이 너무나 큰 인물이 아니었을까?
※ 參考文憲
문집
1) 허균, 『성소부부고』 민족문화추진회, 1983.
논문
1) 최용순,「허균의 도교 문학 연구 : 소설과 시 작품을 중심으로」, 동국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4.
2)김재욱,「허균의 불교시 연구」, 동국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1.
저서
1) 이이화, 『허균』, 한길사, 1997.
2) 이성무, 『조선의 사회와 사상』, 일조각, 1999.
3) 허경진, 『허균』, 평민사, 1983.
4) 이문규, 『허균 문학의 실상과 전망』, 새문사, 2005.
5) 신동욱, 『허균의 문학과 혁신 사상』, 새문사, 1981.
6) 김동욱, 『허균 연구』, 새문사, 1981.
7) 허경진, 『허균의 시화』, 민음사, 1982.
8) 정주동, 『홍길동전 연구』, 민족문화사, 1983.
9) 허경진, 『매창시선』, 평민사, 1997.
10) 이이화, 『허균의 현실 개혁사상』, 『문학사상』, 1974.
11) 소재영, 『허균의 생애와 문학』, 김동욱 외, 『허균연구』, 새문사, 1981.
12) 강동엽, 『허균과 유토피아』, 한국어문학연구, 2003.
13) 신병주, 『호민을 꿈꾼 자유인 허균』, 선비문화, 1995.
14) 이복규, 『우리 고소설 연구』, 역락, 2004.
15) 박수천, 『허균의 전과 세계관』, 1996.
16) 조종업, 『許筠 詩論 연구』, 태학사, 1992.
  • 가격4,500
  • 페이지수39페이지
  • 등록일2012.10.10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14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