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심리학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상담심리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각 상담이론(정신분석.개인심리학.인간중심.행동주의.게스탈트.인지정서행동치료)의 인간관 주요개념 상담과정을 대조하고 분석하시오
2.집단상담과 개인상담의 차이
3.집단상담의 기법
4.집단상담자의자세및 자질
5.한국상담의 발달과정

본문내용

일시와는 다른 것이다.
3) 관찰력이 있어야 한다.
이는 내담자의 말을 경청할 뿐만 아니라 내담자의 비언어적 행동적 표현, 사고과정의 순서, 내담자가 생각하고 있는 문제, 또 상담자 자신 및 자신의 반응까지도 미시적인 동시에 거시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4) 미성숙한 사람은 여러가지 사고의 장애나 왜곡을 경험하게 되므로,
상담자도 그러한 방식으로 사고할 수 있도록 상담자 자신이 심리적으로 퇴행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이 퇴행을 다시 역전시켜 퇴행적 사고 동안의 경험을 합리적인 사고에 의해 관찰하고 평가할 수 있는 역량을 길러야 한다.
5) 상담자는 면접에 임하는 데 있어서 내담자가 자신의 마음을 다 털어 놓을 수 있게끔 잘 들어주는 환기(feedback)적 경청을 해야 한다.
6)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불안과 죄책감을 야기시키는 괴롭고 고통스러운 기억이나 경험을 촉발시킬 수 있어야 한다. 즉, 이러한 것을 끄집어내는 것을 꺼려하거나 스스로 부당한 죄책감을 느끼지 않게 되어야 하며, 내담자의 이같은 고통스러운 정서적 반응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7) 내담자는 전이반응으로 인해서 상담자를 그릇되게 지각하거나 왜곡된 상담자 영상을 갖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상담자는 자신의 왜곡된 영상이나 지각을 고쳐주려고 하는 개인적인 필요성을 느끼지 않고 불쾌감이나 불안감없이 내담자의 전이를 참고 견딜 수 있어야 한다.
8) 내담자가 일반적인 요구나 비현실적인 기대를 해 올 경우에 내담자가 퇴행하여 자기 자신에만 사로잡혀 다른 사람을 고려하는 것이 어렵게 되었기 때문임을 인식하고, 내담자의 그러한 요구나 기대를 수용하고 인내할 수 있어야 한다.
5. 한국상담의 발달과정
1. 한국가족치료의 발달과정
한국의 가족치료는 1970년대 소개되어 1980년대에 보급되고 임상적으로 사용하였으며, 1988년에는 한국가족치료학회가 창설되었고, 워크숍을 실시하며, 학회지를 발간하게 되었다. 그 후 1990년 전후로 각 대학의 가족치료와 관련된 학과에 학부와 대학원에서 가족치료 학과목을 개설하고 상담업무를 담당하는 실무자들도 가족치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또한 가족치료학회에서 가족치료 자격제도를 도입하여 가족치료전문가 교육과 훈련을 시작하였고, 자격을 갖춘 사람들에게 자격증을 부여하기 시작 하였다.
1) 태동기 및 생성기 (1900-1940년)
S. Freud의 유아기의 심적 외상설, 와디프스 켐플렉스(부모-자녀의 삼각관계), Mary Richmond의 “Real Story of Real Family”발간, N. Ackerman의 사회와 정서적인 위로서의 가족, K. Lewin의 부부갈등, 가족긴장, 가족 다이나믹스 등이 태동하였다.
2) 가족연구에서 가족치료로 성장 (1940-1950년)
D. Levy의 모친의 과보호와 문제아에 관한 연구, R. A. Spitz의 호스피탈리즘, F. Fromm-Reichman에 의한 정신분열 병자와 모친의 관계, L. Kanner의 자폐증아와 모친의 관계, G. Bateson의 이중구속과 원환적. 생태계적 인식론의 전개와 함께 V. Satir의 합동가족치료가 시도되었으며, M. Bowen에 의한 다세대 관계에 대한 관심과 M. Erickson의 최면치료 기법이 주목되었고, D. Jackson의 가족항상성, 퀴드 프로 퀴 등과 함께 N. Ackerman의 생물심리 사회적 단위로서의 가족, L. C. Wynne의 거짓 상호성, 거짓 적대성과 C. Whittacker의 체험적 가족치료가 개시되었으며, 의사소통가족치료의 모체인 D. Jackson의 MRI(Mental Research Institute)가 설립되었다.
3) 전문영역으로서의 가족치료 (1960년대)
M. Bowen에 의한 가족 시스템 이론이 전개, R. MacGregor의 가족의 자기 회복 과정과, 최초의 가족치료 전문지인 Family Procss발간, J. Haley에 의한 전략과 가족치료이론 N. Ackerman에 의한 가족치료 연구소와 S. Minuchin의 필라델피아 아동상담소등이 설립, T. Lidz의 부부 관계의 분열과 왜곡된 부부 관계 이론, R. Hill의 정신병리의 3세대 가설의 발견, V. Satir에 의한 합동가족치료, R. Laing의 현혹작용, M. Mahler의 분리-개별화의 가설, 이시기의 주목되는 업적은 유럽가족치료의 개시로, 영국의 A. C. R Skynner, 독일의 H. Stierlin, 이탈리아의 M. Sevini-Palazzoli 등이 활동하게 되었다.
4) 가족치료기술의 혁신적 개발 (1970년대)
미국 부부 가족 치료학회(AAMFT)의 회원 수가 8천명까지 증가했다. 업적은 S. Minuchin의 구조적 가족 치료에 이어 A. Gurman의 통합적 부부 치료와 J. Willi의 부부관계 치료, R. MacGregor의 다면적 충격 치료, R. Speck의 네트웍 치료, J. Haley의 전략적 가족치료, M. Sevini-Palazzoli의 역설과 대항역설, 순환적 질문걸기법, 밀라노파 가족치료형성 및 F. Pittman의 가족 위기 치료가 형성 되였다.
5) 탈근대주의와 구성주의 (1980년대)
C. A Whitaker에 의한 상징, 체험적 가족치료와 W. R. C,A Whitaker의 상징, 체험적 가족치료, Beavers의 시스테믹 부부 치료, L. Hoffman의 진화적 시스템으로서의 가족, 몰포스타시스, 몰포제너시스1)에 이어 P. Dell의 가족정합작용, 공진화, 상보적 코히어런스, S. de Shazer의 양안시적 변화 이론, 단기 가족치료(1982년), B. F. Keeney의 구성주의적 가족치료, 즉흥 치료에 이어 W. C. Nicols & C. A. Everett의 통합적 시스테믹 가족치료
6) 현재 (1990년대-현재)
사회구성주의, 이야기치료는, 해결 중심 치료 모델, 여권주의의 다문화주의
참고문헌
김규수, 의료사회사업론, 형설출판사, 1991.
김유숙, 가족치료, 학지사, 2004.
송성자, 가족과 가족치료, 법문사, 2002.
송성자 외 7인, 가족치료, 시그마프레스, 2004.
  • 가격9,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94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