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논문]식품산업 활성화를 위한 식품클러스터 발전전략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졸업논문]식품산업 활성화를 위한 식품클러스터 발전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요약문

Ⅰ. 서론
1.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2. 연구방법 및 연구구성

Ⅱ. 클러스터에 관한 이론적 고찰
1. 클러스터의 정의 및 유형
2. 식품클러스터의 정의 및 유형
3. 산업클러스터와 식품클러스터의 비교

Ⅲ. 우리나라 식품산업 정책의 재검토
1. 식품산업 정책의 현황
2. 국가식품클러스터의 추진현황 및 문제점

Ⅳ. 선진국의 식품클러스터 사례분석
1. 네덜란드 푸드밸리 식품클러스터
2. 외레순 식품클러스터(Øresund Food Cluster)
3. 일본의 식료산업 클러스터
4. 성공요인 분석 및 시사점

Ⅴ. 한국형 식품클러스터 발전전략
1. 기본전략
2. 세부 추진전략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 기술 및 지속적인 새로운 제품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넷째, 기존의 다양한 지역개발사업과의 연계성이다. 다섯째, 재정적 지원으로서 중앙정부를 비롯하여 지자체 정책지원의 보조가 필요하다. 한편, 우리나라 식품클러스터가 정부의 역할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핵심적인 네트워크 노드로서 정부 재정을 집행하는 정부 출연 연구기관, 정부 예산사업을 지도하는 공기업, 연구를 사업에 적용하는 산학협력사업단 등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따라서 분야별, 업종별, 특정사업으로 공식, 비공식적으로 수 없이 많은 네트워크 관계의 생성과 활동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에 대한 전문적인 기관이나 조직의 육성이 필요하다. 경쟁력을 위해서라도 마케팅 측면을 고려한 자문을 해주어야 한다. 또한 식품클러스터 연구체계나 연구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지역농업 및 광역식품 클러스터, 각 지역 농업연구기관과 관련 업체들을 통합적이면서 유기적으로 네트워킹 할 수 있는 방안의 검토가 필요하다. 식품클러스터의 구성체계를 생산 시스템, 연구·개발 시스템, 산업지원 시스템으로 구분하고 정부는 이를 지원하는 역할로 보는 연구와는 다르게 공공부문을 네트워크의 한 축으로 보는 형태이다. 우리나라 식품클러스터가 정부의 역할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핵심적인 네트워크 노드로서 정부 재정을 집행하는 정부 출연 연구기관, 정부 예산사업을 지도하는 공기업, 연구를 사업에 적용하는 산학협력사업단 등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따라서 네트워크에 대한 전문적인 기관이나 조직의 육성과 기존 또는 클러스터 관련 정부의 재정 지원 사업과 연계하고 혁신도시를 추구하면서 공공기관의 이전도 식품 클러스터의 정책과 연계하여 고려하여야 한다. 하지만 식품클러스터가 공공부문으로서 제기능을 다하기 위해서는 중소 식품기업의 R&D와 마케팅을 지원하고, 이어 이들 지원기술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리, '사후관리서비스(A/S)' 정책적 구실까지 다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세계식품시장정보분석시스템, 세계연구정보데이터베이스(DB)시스템, 연구비지원시스템 등을 통해 대기업에 비해 R&D 예산이 빈약한 중소기업의 R&D를 적극 지원해야하는 것은 앞으로 우리의 숙제이다.
참고문헌
강승진 외 1인, 「건강식품과 연계한 제주지역 농산물 클러스터 구축 방안」, 제주발전연구원 2009.
김경필, 「한국 농식품 수출경쟁력 강화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김성민, 「우리나라 식품 클러스터 정책과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단국대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김영수, 「산업집적지의 네트워크 실태와 클러스터 활성화 방안」, 산업연구원 산업경제분석, 2007.
김용신, 「국가식품클러스터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김주한 외, 「바이오클러스터의 성공조건과 발전방안」, 산업연구원, 2003.
김호 외 1인, 「사례연구를 통한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방향」, 농림부, 2007.
농림수산식품부, 「국가식품클러스터 조성방안」, 2008.
복득규 외, 「한국 산업과 지역의 생존전략 클러스터」, 삼성경제연구소, 2003.
산업연구원, 「국가식품클러스터 기본계획(안)」토론회 참고자료, 2008.
소순열, 「국가식품클러스터 조성 전략과 전북의 대응방안」, 전북발전포럼, 통권 제9호, pp.17-31, 전북발전연구원, 2008.
손상락, 「경남의 식품클러스터 구축 가능성과 정책방안」, 경남정책 Brief, 경남발전연구원, 2011.
육찬남, 「우리나라 국가식품클러스터와 전북 농식품 선도클러스터에 관한 연구」, 국제원광문화학술논집 제1권 제2호, pp.113-120 원광보건대학교 원광문화연구원, 2011.
이공래, 「우리나라 지식클러스터 실태와 육성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2.
이병오 외 1인, 「식품산업클러스터 형성정책과 단계별 발전전략」, 식품유통연구, 26(3), 2009.
이민수, 「국가식품클러스터 산학연 시스템 구축 방안 : 네덜란드 사례(Wagenigen UR)를 중심으로」, 전북발전포럼, 통권 제9호, pp.54-61, 전북발전연구원, 2008.
이정협, 「지역혁신체제 사업에 있어 공공 R&D투자와 지방대학의 역할」, 산업입지, 2005년 winter 제20호. 2005
임아영, 「지역 농업클러스터 맵과 외식업체와의 연계방안」,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장종근, 「국가식품클러스터」, 식품과학과 산업, 42(1), 2009.
전라북도, 「국가식품 클러스터 조성 기본계획 수립」, 산업연구원, 2008.
정선화, 「농식품 산업의 지역화와 착근과정 : 문경 오미자 상품사슬을 사례로」, 서울대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주성재, 「광역클러스터 개념의 도입과 정책과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6(2), 2003.
최상석, 「우리나라 산업 클러스터 형성과 지역산업발전에 관한 연구」, 금호엔지니어링 건설연구소, 2003.
통계청, 「농업총조사」, 각년도.
한승철, 「제주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구축 방안」, 제주발전포럼, 제24호, pp.55-66, 제주발전연구원, 2008.
OECD, Boosting Innovation: The Cluster Approach, Paris 1999
OECD, Innovative Clusters:Drivers of National Innovation Systems, Paris, 2001.
Peneder, M., Dynamics of initial cluster formation :the case of multimedia and cultural content in Innovative Clusters, OECD Proceedings, OECD, 2001.
Porter, M.,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Nations, The Free Press, New York, 1990.
T.J.A Roelandt & P. Hertog Cluster Analysis and Cluster-based Policy in OECD Countiries, May 1998.
  • 가격4,000
  • 페이지수36페이지
  • 등록일2012.12.07
  • 저작시기201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46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