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생전] 고전소설 주생전의 줄거리, 작가분석, 주생전의 특징, 갈등구조 분석 및 주생전을 통해 살펴본 사랑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주생전] 고전소설 주생전의 줄거리, 작가분석, 주생전의 특징, 갈등구조 분석 및 주생전을 통해 살펴본 사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3


Ⅱ. <주생전> 4


1. 작가와 문학관 4


2. 줄거리와 갈등구조 5


3. 특징 6


Ⅲ. <내 남자의 여자> 8

1. 작가와 작품관 8

2. 줄거리와 갈등구조 8


3. 특징 10


Ⅳ. 두 작품의 비교 13


Ⅴ. 나오며 15



Ⅵ. 참고문헌


16

본문내용

작품이다.
또한, <내 남자의 여자>는 비록 드라마의 단골 소재가 되긴 했지만 시대가 흘렀음에도 여전히 윤리적 잣대로 받아들이기 힘든 소재인 불륜이라는 소재를, 단순히 잘잘못을 따져 ‘응징’이나 어설픈 ‘용서’, 무리한 ‘짝짓기’로 귀결되는 판에 박힌 내용을 탈피하고 선악구도를 떠나 인물 각자가 인생을 살아가면서 겪는 `상처`에 초점을 맞춰, 갈등하고 아파하고 절망하는 인물의 심리를 깊이 있고 세밀하게 파헤쳤다는 점에서 평가할만하다.
남자주인공의 성향
두 작품의 남자 주인공인 ‘주생’과 ‘준표’는 여러모로 닮아있다. 입신양명을 꿈꾸며 과거에 여러 번 응시하지만 번번이 실패하는 ‘주생’. 모든 것을 포기하고 장사나 하며 이리 저리 돌아다니며 자유롭게 살겠다고 다짐했지만, ‘배도’를 만나면서 다시 한 번 과거에의 꿈을 가지게 된다. 하지만, ‘선화’를 만나면서 깊은 사랑에 빠지게 되고 그러면서도 ‘배도’를 완전히 끊어내지는 못하는 우유부단한 인물로 보이기도 한다.
‘준표’는 조강지처 ‘지수’의 헌신적인 내조에 힘입어 교수로 임용되고, 사회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남부러울 것 없는 전형적 중산층으로 살아가지만, ‘지수’의 친구인 ‘화영’과 불같은 사랑에 빠지면서 가정을 버리게 되는 지경에 이른다. 하지만 마음이 약한 ‘준표’ 역시, 아들 ‘경민’ 때문에 많이 흔들리고, 또 지나치게 감정에 충실한 ‘화영’과의 삶 속에서 안정하지 못하고 방황한다. ‘준표’ 또한 ‘주생’처럼 자아가 확고하지는 않았던 사람이었다.
거역할 수 없는 현실 앞에 나약한 인간상
두 작품에는 단순히 인물사이의 갈등 말고도 사회 구조에서 오는 갈등이 등장한다. 주로 ‘주생’의 인생을 시간의 순서로 서술한 <주생전>에서는 당시에 존재하던 ‘과거’라는 사회제도가 등장한다. ‘주생’은 그 사회제도 안에 안착하지 못하고 방황하고, 기녀인 ‘배도’를 만나 그녀의 신분을 상승시켜 행복한 그 제도권에 진입하기 위해 다시 ‘과거’에 응시하려 마음먹는다. 결국 그들의 온전한 행복을 위해서는 그 제도 위에 올라서야 하는 것이었다. 또 다른 장치는 ‘전쟁’이다. <주생전>의 ‘주생’은 임란에 서기로 차출되면서 ‘선화’와 이별하게 된다. ‘배도’는 죽고 배도의 축복까지 받은 ‘주생’은 ‘선화’와 행복한 삶을 꿈꾸지만 다시 한 번 거역할 수 없는 사회적장치 때문에 사랑에 실패하게 되는 것이다.
<내 남자의 여자>에는 이런 제도보다는 현대 우리 사회에 만연한 ‘의식’에 갈등하는 주인공이 등장한다. ‘준표’는 ‘조강지처의 헌신적 내조’를 받으며 자신도 모르게 조강지처에 의지를 하고 있던 ‘가장’이었다. 그녀의 내조로 ‘교수’라는 명예도 얻게 되고 행복한 삶 속에 살아가지만, 안정적이고 평이한 삶 속에 그는 ‘화영’이라는 신세계를 맛보고 자신의 울타리를 뛰어 넘고 싶은 욕망을 갖는다. 하지만 결국 그는 ‘핏줄, 아들’이라는 장치 앞에, 심하게 동요하게 되고 자신이 그토록 갈망하던 자유와 사랑을 쟁취한 후, 자신이 떨쳐낸 ‘조강지처’, ‘자식’이라는 장치에서 오는 죄책감에 더 불행하게 된다.
단순히 사랑이라는 내면적 갈등 외에도, 거역할 수 없는 사회적 구조와 의식을 극복하는 억지스런 설정대신, 그에 순응하는 모습으로 사실성을 높였고 이런 점에서 많은 독자, 시청자의 공감을 얻어냈다.
Ⅴ. 나오며 (개인적 의견)
최초로 ‘삼각관계’를 다룬 애정소설이라는 점이 흥미롭게 들렸던 것이, <주생전>에 주목하고, 주제로 선택하게 된 최초의 계기였다. 요즘에야 ‘삼각관계’라는 것이 뻔한 장치로 여겨지지만, 소설에 대한 안 좋은 인식마저 만연하던 조선시대에 교훈적인 소설도 아닌 삼각관계라는 ‘불륜’을 소재로 삼았다는 것이 신선하게 들렸기 때문이다.
<주생전>을 이야기하기에 앞 서, <주생전>처럼 한 남자와 두 여자의 삼각관계를 다룬 현대 드라마를 떠올려봤다. 5-6세기가 지났지만 혹시 삼각관계가 등장하는 현대 드라마와의 플롯을 비교하는 작업은 <주생전>의 진보성을 확인하는 데 좋은 작업이 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주생전>과 닮은 작품을 찾고자 내가 재밌게 봤던 드라마를 떠올렸고, 어렵지 않게 <내 남자의 여자>를 선택할 수 있었다.
한국 드라마사에 있어 탄탄한 구성과 심리묘사로 정평 난 김수현 작가의 <내 남자의 여자>와 비교한 <주생전>은 결코 수법이나 플롯에서 뒤쳐진다고 할 수 없을 만큼 당시대의 수준과 관계없이 탄탄한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전기소설과 중국 전등신화를 부정하지 않되, 그 속에 있는 저승, 꿈, 환생 등의 비현실적 모티브는 배제하고 할 수 있는 최대한의 사실성을 부여하기 위해 노력한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현대 드라마에서도 아직까지 주인공들의 최후를 봉합하지 않는 ‘열린 결말’에 대한 의견이 분분한 상황인데, 당시 작품에 열린 결말 구조를 취해 그 사실성을 더 높였다고 생각했다.
<주생전>은 이미 많은 학자들에 의해 평가된 것처럼, 조선 초기와 후기의 교량 역할을 톡톡히 해냈고, 알려진 것처럼 이후 애정소설에 큰 영향을 끼쳤음은 물론이거니와 그 영향이 오늘날 나와 같은 ‘드라마 마니아’들을 TV 앞에 앉아 울고 웃게 할 수 있도록 큰 한걸음을 뗀 의미 있는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Ⅵ. 참고문헌
이상구, 『17세기 애정전기 소설』, 월인, 1999
김미령, 「서사작품에 나타난 애정모티브의 변화양상과 현실대응방식」, 『韓國言語文學』 第60집
김양진, 「<주생전>의 갈등구조」, 『새얼語文論集』제12집, 1999.12
전송렬, 「<周生傳>의 寫實性과 그 限界」, 『漢城語文學』
지연숙, 「<주생전>의 배도연구」, 『古典文學硏究』第28輯
엄태웅, 「17세기 전기소설에 나타난 남녀관계의 변모 양상」, 『漢文學論集』제29집, 2009.8
소인호, 「<주생전> 이본의 존재 양태와 소설사적 의미」, 『古小說硏究』제11집
정규식, 「<周生傳>의 인물 연구」, 『古小說硏究』제28집
장시광, 「17세기의 소설장르에 나타난 애정에 대한 욕망과 그 속성」, 『溫知論叢』第13輯
여세주, 「<주생전>의 서사구조와 성모랄」, 『영남어문학』제25집, 영남어문학회, 1994
김포천 외, 『김수현 드라마에 대하여』, 솔, 1998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3.04.01
  • 저작시기2013.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68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