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학] 제주도의 강수특성에 대하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리학] 제주도의 강수특성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이는 한라산의 영향으로 풍상지역의 강수량이 풍하지역보다 많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지점
풍향
제 주
서귀포
성산포
고 산
남북차
동서차
강수량
빈도
강수량
빈도
강수량
빈도
강수량
빈도
N
26.6
14
18.7
11
18.0
15
15.4
14
-0.5
0.1
NNE
27.5
5
2.8
2
4.8
4
1.4
2
-4.9
0.7
NE
36.5
5
17.6
4
30.4
4
14.0
5
-3.8
3.3
ENE
50.8
4
20.7
3
40.0
4
14.4
3
-7.5
6.4
E
46.0
4
51.6
3
52.8
4
31.2
4
1.4
5.4
ESE
44.4
6
33.0
6
38.0
5
11.4
6
-1.8
4.5
SE
116.8
8
80.0
8
115.2
8
57.6
8
-4.6
7.3
SSE
118.8
9
226.8
9
184.5
9
108.0
9
12.0
8.5
S
180.0
18
476.9
19
421.6
17
228.6
18
15.5
10.1
SSW
132.0
20
376.0
20
340.1
19
158.0
20
12.3
9.1
SW
220.5
35
388.5
35
287.0
35
182.7
29
4.7
2.8
WSW
89.3
19
119.7
21
132.6
17
58.9
19
1.4
3.3
W
260.4
42
220.4
38
247.9
37
138.6
42
-1.0
2.5
WNW
133.4
46
124.0
40
175.5
45
81.0
45
-0.3
1.9
NW
146.2
86
83.2
64
200.2
77
74.0
74
-0.7
1.4
NNW
100.0
40
57.8
34
84.0
35
35.0
35
-1.0
1.2
7. 결론 및 논의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강수량의 공간적 분포에 미치는 한라산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압배치와 상층의 풍향(850hPa 고도면)별로 일별 강수량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제주도의 강수량은 계절과 관계없이 북서사면에서 남동사면 쪽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다. 이러한 제주도의 강수는 주로 온대성 저기압에 의한 것이며, 장마전선에 의한 것은 여름에, 태풍에 의한 것은 여름과 가을에 많다. 온대성 저기압과 장마전선에 의한 강수는 남사면과 동사면에서 많고, 태풍에 의한 것은 북사면에서 상대적으로 많다. 또한 여름에는 북태평양 고기압, 겨울에는 시베리아 고기압의 영향하에서도 강수가 형성되나 그 양은 적다. 대체로 남서기류와 남동기류가 유입될 때 강수량이 많은데, 북사면과 동사면에서는 겨울에 북서기류에 의한 강수량도 많다.
사면간의 강수량 차이에는 기압배치보다 풍향의 영향이 더 크며, 남북사면간의 차이가 동서사면간의 차이보다 뚜렷하다. 대체로 남서기류가 유입될 때는 남사면 강수량이 북사면보다 많고, 여름에 남서와 남동기류가 유입될 때 더욱 뚜렷하다. 겨울과 봄, 가을에 북서와 북동기류가 유입될 때는 북사면 강수량이 많다. 이러한 차이는 겨울 미우일 때 더욱 분명하다. 미우는 겨울에 많고, 남사면보다 북사면에서 많다.
호우는 남사면과 동사면에서 많은데, 태풍에 의한 것은 사면간의 강수량 차이가 적다. 저기압에 의한 호우는 동서사면간의 강수량 차이가 크고, 장마전선에 의한 것은 남북사면간의 차이가 크다. 남서기류의 유입에 의한 호우일 때는 남사면 강수량이 북사면보다 많고, 북동기류가 유입될 때는 북사면 강수량이 많다. 동사면은 서사면보다 호우시 강수량이 많고, 동풍계일 때 차이가 크다.
본 연구에서는 일별 강수량을 분석하여 연구하였는데, 차후에 강수 사상별로의 분석이 필요하다. 또한 자동기상관측소 등에서 자료가 축적되면 사면별, 고도별 강수량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강상배, 1979, “제주도 남북지역 기후에 대한 비교연구,” 「제주교대논문집」, 11, 29-44.
김일곤, 1987, “우리 나라 봄가을 강수 분포의 지역 특성,” 「부산여대 논문집」, 23, 207-233.
김종규, 1988, “회귀model에 의한 공간적 강수분포 연구방법에 관한 고찰,”「지리학총」, 16, 65-81.
문영수, 1989, “클러스터 분석에 의한 한국의 강수지역 구분,” 「한국기상학회지」, 26(4), 203-215.
문현숙, 1989, “제주와 서귀포의 기후 비교연구,”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양진석, 1987, “한국 하계 한발의 종관 기후적 특성,”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승호, 1993, “계량적 분석에 의한 한국의 강수지역 구분,” 「지역과 환경」, 11, 1-15.
이장열, 1993, “대관령 동서 산지 사면의 고도에 따른 강수량 분포,” 한국교원대 박사학위논문.
홍성길, 1982, “1980년 초여름 기상관측으로 본 설악산 정상에서의 기상,” 「한국기상학회지」, 18(1), 13-21.
Barry, R. G., 1981, Mountain weather and climate, Methuen
Basist, A., Bell, G. D., Meentemeyer, V., 1994, Statistical relationships between topography and precipitation patterns, J. Climate, 7, 1305-1315.
Christopher O'Handley and Lance F. Bosart, 1996, The impact of the Appalachian mountains on cyclonic weather system Part I: A climatology, Mon. Wea. Rev., 124, 1353-1373.
Houghton, J. G., 1979, A model for orographic precipitation in the north-central Great Basin, Mon. Wea. Rev., 107, 1462-1475.
Konrad, C. E., 1996, Relationships between precipitation event types and topography in the Southern Blue ridge mountains of the Southeastern USA, Int. J. Climatol., 16, 49-62.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3.04.23
  • 저작시기201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07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