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관][도덕적 인간관][성리학적 인간관][이성적 인간관][도덕][성리학][이성]인간관의 유형, 인간관의 분류, 인간관의 전개, 인간관과 도덕적 인간관, 인간관과 성리학적 인간관, 인간관과 이성적 인간관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간관][도덕적 인간관][성리학적 인간관][이성적 인간관][도덕][성리학][이성]인간관의 유형, 인간관의 분류, 인간관의 전개, 인간관과 도덕적 인간관, 인간관과 성리학적 인간관, 인간관과 이성적 인간관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인간관의 유형
1. X이론
2. Y이론

Ⅲ. 인간관의 분류
1. 동양의 인간관
1) 유교의 인간관
2) 불교의 인간관
2. 서양의 인간관
1) 자연주의적 인간관
2) 합리주의적 인간관
3) 크리스트교적 인간관
3. 한국의 인간관
1) 홍익인간의 인간관(고대)
2) 불교적 인간관(삼국~고려)
3) 성리학적 인간관(조선)
4) 실학적 인간관(조선 후기)
5) 동학의 (조선말기)

Ⅳ. 인간관의 전개

Ⅴ. 인간관과 도덕적 인간관

Ⅵ. 인간관과 성리학적 인간관

Ⅶ. 인간관과 이성적 인간관
1. 이성적 인간은 비인격적이다
2. 이성적 인간은 개인주의적 · 평등주의적이다
3. 이성적 인간은 자연정복적이다
4. 이성적 인간은 비판적이다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한 최종적인 평가가 역사라는 형태로 주어질 때, 사람은 자가 실현의 능력을 구비하고 있는 性善한 존재로서 \'나(-自家)\'를 실현시켜야 할 의무를 갖는 것으로 규정된다. 따라서 \'나\'는 그러한 의무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하며, \'나(-自家)\'를 실현시키지 못하는 책임은 오로지 \'나\'에게 주어진다. 이렇기 때문에 역사의 주된 임무는 \'내\'가 갖고 있는 삶의 主宰性에 대해 윤리적으로 책임지우는 일이다.
결국 역사란 윤리의 근거도 사람이요, 윤리의 실천자도 사람이요, 윤리적 행위에 대한 평가자도 사람인 상황에서 삶과 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최종적인 심판자로 기능하게 된다. 역사를 철저하게 국가가 관장하게 된 것도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였다. 가장 공정한 심판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가장 포괄적인 전체로서의 \'우리\', 즉 국가와 같은 공의로운 집단이 역사를 관장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런 관계로 국가는 史官을 두어 史草를 기록케 하고, 史書를 편찬케 하여, 史庫에 보관케 함으로써, 國史의 엄정한 기준을 세웠다.
역사서를 삶에 대한 심판의 書, 즉 \'刑書\'로 역할 하였기 때문에 역사서의 서술, 편찬, 정리는 재판과 같은 엄정함이 지켜져야 했다. 역사는 엄격한 以實直書의 원칙에 따라 기술되어야 하고, 분명한 名分과 是非의 기준에 따라 褒貶되어야 했다. 이것을 위해서 그들은 事實과 史論을 엄격하게 구별하여 기록하였다. 이러한 역사 서술의 엄정성을 春秋筆法, 또는 春秋大義라고 불렀다. 그들이 역사를 기록하고 보존하고 공부하는 것은 역사를 통해서 윤리의 기준을 세우고, 윤리의 모범을 드러내기 위한 것이었다.
개인이나 집단에 대한 \'우리\'의 역사적 평가가 내려지면 그것에 따른 보상이 이루어졌다. 훌륭한 평가를 받으면 본인에 대해서는 宗廟, 文廟, 書院, 祠宇 등에 모셔지는 특전, 諡號를 받는 특전, 追贈을 받는 특전, 不遷의 특전, 賜祭와 賜祭文이 내리는 특전 등이 주어졌다. 조상과 자손에 대해서도 贈職과 蔭職의 혜택, 免役의 혜택 등의 보상이 주어졌다. 반대로 나쁜 평가를 받으면 자신의 이름이 치욕스럽게 되는 것은 물론이고 조상의 무덤에 화가 미치고 자손의 생명에 피해가 왔다.
이렇게 볼 때 조선시대의 유교적 삶은 統體-部分子적 세계관과 家 중심의 가치체계 속에서 \'나(-自家)\'와 \'우리(-本家, 業家, 國家)\'의 실현을 도모하는 것에 초점이 있었다. 이것은 주체로서 \'내(-自家)\'가 갖고 있는 受命者와 主宰者의 자격, 역할로서 \'나\'와 \'우리\'를 실현하기 위한 部分子的 직분, 무대로서 현세 중심의 세속적 공간과 시간, 평가로서 후손에 의한 역사적 심판이 정연한 삶의 구조를 이루고 있는 가운데, \'나\'와 \'우리\'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향과 목표를 설정하고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들의 관심은 결국 \'家\'의 \'성공(-成家)\'과 \'실패(-敗家)\'에 집중되었고, 그들이 도달하고자 했던 최종의 목표는 家의 완성, 즉 \'立身揚名\'이었다.
Ⅶ. 인간관과 이성적 인간관
플라톤의 이성적 인간의 성격은 어떠한가?
1. 이성적 인간은 비인격적이다
그것은 이성의 개념이 인격의 개념과는 조화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인격이란 여러 가지로 정의될 수 있지만, 대개 ‘책임을 질 수 있는 구체적인 인간’ 이라고 말할 수 있다. 책임의 개념 속에는 자유의지와 자유선택의 요소가 있고, 책임을 요구하는 도덕적 권위를 또한 전제한다. 따라서 인격은 아무의 외적 힘에 의해서 제약받지 않는 자유와 자율의 존재인 동시에 자기의 행위에 대하여 무한한 책임을 져야 하는 존재다. 이에 반해 이성적 존재로서의 인간에게는 올바른 진리에 대해 인식하고 그에 따라 순응하는 것이 선이다. 따라서 선과 악은 유식과 무식에 직결되며, 인격적이고 자유로운 결정은 큰 의의를 가지지 못한다.
2. 이성적 인간은 개인주의적 · 평등주의적이다
개인주의적이라 함은 물론 이기주의적 개인주의는 아니지만, 개인 하나 하나의 사회와의 관계는 실제로 그리 중요하지 않다. 사회란 이성을 가진 단자들의 모임일 뿐, 서로 서로의 영향이라든가 관계는 중요하지 않다. 이러한 개인주의는 동시에 매우 평등적 인간관과 조화되어 있다. 인간은 누구나 모두 이성을 타고났고, 그 이성이 인간을 다른 동물과 다르게 만들기 때문에 모든 인간은 원칙적으로 동등하고 평등한 것이다. 플라톤은 그의 대화 Meno에서 노예 소년이 아무 교육 없이 수학문제를 대답할 수 있음을 보여 줌으로써, 누구든지 생득적으로 이성적 지식을 갖고 있음을 가르치려 했다.
3. 이성적 인간은 자연정복적이다
희랍철학 초기에는 인간은 자연이요 신도 자연이었으나, 폴라톤의 이원론이 등장하면서 물(物)과 형(形)은 긴장관계를 이루게 되었다. 즉, 인간의 물체성과 정신성에서 유추하여 자연을 바라보게 되고, 이성에 의해 감정이 억제되듯 인간의 이성을 통해 자연은 통제되어야 한다. 이러한 희랍의 자연정복은 어디까지나 정신적인 것에 머물렀다. 그러나 기독교에 의해 인간의 자연에 대한 지배권이 규정되면서 정신적인 자연정복은 실질적인 자연정복으로 나타나게 되었고, 이로 인한 자연철학과 과학기술의 발달을 가져오게 되었다.
4. 이성적 인간은 비판적이다
즉, 인간은 객관적인 진리를 내재하는 이성으로 터득할 수 있으나, 육체를 갖고 있는 인간은 여러 가지 외부의 영향 밑에 있어서 그 진리를 올바로 알지 못하기 때문에 비판이라는 작업이 필요하고, 또한 불가결한 것이다. 플라톤은 그의 공화국에서 비판의 방법으로 변증법을 중요시했는데, 이것은 나중에 논리학의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정착하여 서양학문 방법론에 중요한 위치를 갖게 되었다.
참고문헌
◎ 금교영(2010), 현상학적 심리학자의 인간관을 통한 인격 연구, 새한철학회
◎ 노원석(2009), 성경적 상담의 인간관 : 상담이론별 인간의 책임 영역 비교, 한국성경적상담학회
◎ 서용화(1988), 이퇴계의 성리학적 인간관, 건국대학교
◎ 손동현(1976), 인간관과 인간의 이성, 현대적 인간이해의 통일적 지평, 육군사관학교
◎ 정광수(2011), 과학적 세계관과 인간관, 범한철학회
◎ 최일범(2010), 생태학적 관점에서 본 동양사상의 인간관, 한국양명학회

추천자료

  • 가격6,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7.1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84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