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주요 작물분포와 기후와의 관계 규명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 론

2. 농작물의 기상 및 기후환경
2.1 기온과 농작물
2.2 강수량과 농작물
2.3 일조시간. 일사량과 농작물

3. 연구방법 및 자료

4. 우리나라 조생종 벼의 분포와 기후와의 관계
4.1 조생종 벼의 분포
4.2 조생종 벼의 생육기간과 관련된 기후 요소
4.3 유수 형성기 및 수잉기와 관련된 기후 요소

5. 월동 배추의 분포와 기후 요소
5.1 월동 배추의 분포
5.2 월동 배추의 분포와 관련된 기후 요소

6. 논의 및 고찰

7.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로 분류된 지역이 편의상 조생종 재배 지대로 통용되고 있다. 농업기술연구소(1986)의 조생종 권장 지대는 본 연구에서 조사된 조생종 재배 지대와 대체로 일치하나 일부 지역에서 차이가 있다. 이는 본 연구가 읍·면별 규모의 세부적인 실제 재배 현황을 바탕으로 보다 자세히 조사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조생종 벼와 관련한 기후 조건이 조생종 벼 재배 조건의 기준으로 제시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조생종 벼의 재배 지역은 대부분 산지 지역으로 우리나라를 평지와 산지로 구분할 경우 유용한 기준이 될 수 있다. 즉, 우리나라의 산지 기후지역은 앞에 예외지역으로 제시된 동해안의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대체로 조생종 벼의 재배지역과 일치할 수 있다.
월동 배추는 급격히 온도가 하강할 경우 약 -3℃부터 동해를 받는다고 알려져 있다. 즉, 월동 배추의 가장 큰 재배 고려 조건은 생육 한계 온도이다. 그러나 실제 분포에는 인문적 요인도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다. 즉, 기존의 시험 연구를 통해 알려진 재배 조건과 실제 분포와의 차이에는 기후요소 외에도 다양한 지리적인 요인이 관련되어 있다. 그러므로 작물의 적지 재배의 기초 자료를 제시한다는 측면에서 작물 분포와 기후요소와의 관계를 보다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후 조건뿐만 아니라 다양한 지리적인 요인들까지 함께 고려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월동 배추의 재배한계는 기존의 남부 기후구와 남해안 기후구의 경계와 거의 일치하며, 상록 활엽수림의 분포 한계와도 대체로 일치한다. 이는 월동 배추의 재배 북한계가 우리나라의 기후 지역 구분에서 경계의 기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7.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주요 작물 가운데 품종별 분화가 기후 조건을 잘 반영하고 있는 것을 대상으로 작물 분포와 기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여름 작물인 조생종 벼와 겨울 작물인 월동 배추를 연구 대상 작물로 선정하고 그 분포를 조사하였다. 또한 관련된 기후 조건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국 68개 기상대와 관측소의 1971∼2000년 기후 값을 바탕으로 온량지수, 한랭지수 등 다양한 농업 기후요소 분포를 조사하였다. 작성된 작물 분포도와 기후요소의 분포도에 의하여 우리나라 작물의 분포와 기후요소와의 관계를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조생종 벼는 타 품종에 비해 생육 기간이 짧고 내한성이 강하여 기온이 낮은 해발 고도 약 300 m 이상의 고지대를 중심으로 재배되며 이는 주로 태백산맥과 소백산맥 일대에 해당한다. 조생종 벼의 분포와 관련된 기후요소는 벼의 생육 기간인 4∼10월의 평균 기온, 온량지수, 유효적산온도, 출수 후 등숙 기간의 적산온도 등이다. 조생종 벼의 재배 한계는 산지 기후구와 평지 기후구의 경계가 될 수 있다.
월동 배추는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하는 남해안 지방에 분포하며, 그 분포와 관련된 기후요소는 1월 일 최저 기온과 한랭지수이다. 월동 배추의 북방 한계는 우리나라의 남부 기후구와 남해안 기후구의 경계와 거의 일치한다.
본 연구에서는 세부 품종 분화가 기후 조건을 반영하고 있는 작물을 중심으로 작물 분포와 기후 요소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언급한 작물들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작물에 대한 조사 및 연구가 더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작물의 분포와 관련된 기후요소로 작물 생육에 가장 기본적이고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기온만을 주로 고려하였으나, 강수량, 일조 등의 여러 기후요소들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연구가 차후에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일부 작물의 재배 한계가 기후 구분의 좋은 지표로 이용될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다양한 작물의 분포 한계를 파악하여 그것을 기후 조건과 관련지어 이해한다면 이후 기후 지역 구분에서 좋은 기준을 제시할 것이라 생각한다.
참고문헌
기상연구소, 1981: 벼논의 미기상과 냉해의 기상학적 고찰, MR-81-5.
김광식 외, 2001: 新稿 농업기상학, 향문사.
김설기, 1972: 남한에 있어서 저마 재배의 지리적 한계, 낙산지리, 3, 51-59.
농업기술연구소, 1986: 한국의 농업기후특징과 수도기상재해대책,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연구소, 1990: 주요 과수 재배지대의 기후특성, 농촌진흥청.
윤성호, 이정택, 2001: 기후변화에 따른 벼 적정 등숙기간의 변동과 대책, 한국농림기상학회지, 3(1), 55-70.
윤성호, 임정남, 이정택, 심교문, 황규홍, 2001: 기후변화와 농업생산의 전망과 대책, 한국농림기상학회지, 3(4), 220-237.
이승호, 1995: 한반도 주변의 기압배치형에 의한 한국의 자연 계절 구분, 지리학연구, 26, 65-78.
이양수, 임종환, 2002: 농림업 부문에 관련된 기후 변화의 영향과 대책 방안, 2002년 기후변화 포럼 발표집, 기상청, 44-81.
정상림, 공우석, 1984: 한국의 茶나무 분포에 대한 기후학적 연구, 지리학연구, 9, 583-594.
최돈향, 정영조, 유인수, 김병찬, 1984: 기후특성에 의한 중·북부 수도재배지대 구분 설정, 한국기상학회지, 20(2), 51-58.
최돈향, 정영조, 김병찬, 김만수, 1985: 수도재배를 위한 농업지대 기후구분, 한국작물학회지, 30(3), 229-235.
최창조, 1975: 한국 농업의 작물 특화지역 분류에 관한 방법론적 고찰, 낙산지리, 3, 1-26.
해남군 농업기술센터, 2002: 특화작물 전문기술 교육, 겨울 배추 재배 기술.
元木靖, 1999: 東北日本における水稻主力品種の交 , 季刊地理學, 51, 161-178.
Chang, C., 2002: The Potential Impackt of Climate Change on Taiwan's Agriculture, Agricultural Economics, 27, 51-64.
Kumar, K. S. Kavi, J. Parikh, 2001: Indian Agriculture and Climate Sensitivity, Global Environmental Change, 11, 147-154.
  • 가격2,8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9.02.09
  • 저작시기200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95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