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보건]산업안전보건과 산업안전보건활동, 산업안전보건제도, 산업안전보건과 산업안전보건관련법규,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산업안전보건과 직업병, 산업안전보건과 분진, 산업안전보건과 근골격계질환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산업안전보건]산업안전보건과 산업안전보건활동, 산업안전보건제도, 산업안전보건과 산업안전보건관련법규,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산업안전보건과 직업병, 산업안전보건과 분진, 산업안전보건과 근골격계질환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산업안전보건과 산업안전보건활동
1. 생산성향상 논리와 정면으로 부딪히는 활동
2. 비조직적인 산업안전보건활동
3. 정치적이지 못한 활동

Ⅱ. 산업안전보건과 산업안전보건제도
1. 산업재해
2. 안전 보호장비 지급
3. 노조의 참여
4. 제도개선 우선순위

Ⅲ. 산업안전보건과 산업안전보건관련법규
1. 산업안전보건법 제13조 【안전보건관리책임자】
2. 산업안전보건법 제14조 【관리감독자 등】
3. 산업안전보건법 제15조 【안전관리자 등】
4. 산업안전보건법 제16조 【보건관리자 등】
5. 산업안전보건법 제16조의 2 【안전관리자 등의 지도․조언】
6. 산업안전보건법 제61조의 2 【명예산업안전감독관】
7. 산업안전보건법시행령 제45조의 2 【명예감독관 위촉대상 등】
8.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33조의 2 【안전․보건교육의 면제】

Ⅳ. 산업안전보건과 산업안전보건위원회
1. 산업안전보건위원회 구성과 활용방안
1) 구성인원
2) 역할
3) 위원장과 회의 및 의결
4) 사업주의 의무
5) 활동 보장
6) 회의록 작성․비치
7) 의결되지 않은 사항에 관한 중재
8) 회의결과 공개
9) 법적 구속력
2. 산업안전보건위원회 한계와 단체협약에서 보완할 사항
1) 한계
2) 단체협약으로 보완할 사항
3.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활용
1) 산업안전보건위원회 개최 준비
2) 노조 내 안건 결정
3) 교섭을 위한 준비
4) 산업안전보건위원회 개최 종료 후 활동

Ⅴ. 산업안전보건과 직업병
1. 직업병 현황
2. 직업성 근골격계 질환
3. 직업성 암
4. 뇌․심혈관계 질환

Ⅵ. 산업안전보건과 분진
1. 진폐증을 일으키는 분진
2. 알레르기성 분진
3. 전신중독성 분진
4. 자극성 분진
5. 불활성 분진
6. 발암성 분진

Ⅶ. 산업안전보건과 근골격계질환

참고문헌

본문내용

모든 공간에는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공중에 떠다니는 미세한 분진이 많다. 분진이라 하여 많은 사람들이 그냥 쉽게 간과하여 지나치기 쉽다. 그러나 분진이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과 피해를 알고 또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하여 지속적인 점검을 실시하고, 필요에 따라 적절한 방지시설을 설치하여 작업환경개선을 통해 쾌적하고 안전한 일터를 근로자에게 제공해야 할 것이다.
그러면 먼저 분진이 무엇인지를 알아보자. 분진이란 공기 중에 떠 있는 고체상의 모든 물질을 말하는데, 주로 고체가 기계적인 작용에 의하여 폭발, 파괴 작업에서 발생된다. 또한 분진은 자연계에 있어서도 화산폭발, 바람, 암석파괴, 풍화, 운석 등의 작용에 의하여 공기중에 떠있기도 한다.
분진의 종류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무기분진과 유기 분진이다.
무기분진으로는 흙, 암석, 금속, 무기화합물 등에서 나오는 것이며 유기 분진으로는 동물과 식물에서 나오는 것과 유기화합물에서 나오는 분진이 있다. 그리고 분진의 유해 작용에 따라서도 분류할 수 있다.
1. 진폐증을 일으키는 분진
유리규산, 석면, 활석, 산화베릴륨 등이 폐 내에 들어가 섬유증식 또는 결절형성 등을 일으켜 폐에서의 산소섭취 능력을 방해하며 흔히 폐결핵증을 발병한다.
2. 알레르기성 분진
꽃가루, 털, 나무가루 등의 유기성 분진으로 알레르기성 천식. 피부병. 눈병 등을 일으킨다.
3. 전신중독성 분진
수은, 연, 카드뮴, 망간, 안티몬, 베릴륨 등의 금속과 비소, 인, 셀레늄, 유황 등의 화합물로 구성된 분진으로 이의 단량체가 있는데, 이 분진은 중추신경계, 신장, 조혈 장기 등 특정한 장기에 급성 또는 만성장애를 일으킨다.
4. 자극성 분진
산, 알과리, 불화물, 크롬산 등으로 구성된 분진으로 눈, 호출기 및 소화기 점막과 피부를 자극하여 염증이나 궤양을 형성하고 치아를 부식시킨다.
5. 불활성 분진
석탄, 석회석, 시멘트 분진 등으로 많은 양을 폭로하지 않는 한 유해한 작용이 없다고 믿고 있다.
6. 발암성 분진
인, 석면, 니켈과보닐, 아민계색소 등의 분진은 인체에 암을 일으킬 수 있다.
분진은 우리몸에 어떻게 들어오나?
작업자의 호흡영역에 있는 분진이 작업자가 호흡을 할 때 기류조건에 따라서 부가 코, 입을 통해 흡입된다. 분진의 크기에 따라서 입자가 큰 분진은 코, 인두, 후두에 침착되고, 보다 작은 입자는 기관, 기관지, 그리고 폐포에 이르는데 대부분의 분진은 기도점막의 섬모정화작용에 의해서 소화관으로 옮겨져 가래로 배출된다.
이들 분진의 대부분이 호흡기계에 침착되는 분포는 입자의 크기 외에 작업자 개체의 호흡방법, 흡수, 흡량 등의 차이에 따라 다르다.
Ⅶ. 산업안전보건과 근골격계질환
최근 들어 그 발생빈도와 심각성이 증대되고 있는 근골격계질환(MSDs : Musculoskeletal Disorders) 또는 누적외상성질환(CTDs : Cumulative Trauma Disorders)이란 생산현장에서 작업자들이 겪게 되는 불편한 작업자세, 기계화 등에 따른 빠른 작업속도, 증가되는 단순반복작업 등과 같이 잘못 설계된 작업장의 구조나, 불편한 작업요인 들이 장기간에 걸쳐 신체의 특정 부위, 특히 상체의 목, 어깨, 팔 등의 부위에 작용함으로서, 해당 신체부위가 통증, 근력의 약화, 유연성의 감소 등과 같은 이상 증세를 나타내는 직업성 질환을 총칭하는 말이다.
현대산업사회에서의 기술발달에 따라 작업형태가 단순반복작업의 형태로 세분화되며 또한 생산성향상과 경영합리화에 따른 공장설비의 자동화, 여유시간의 축소에 따라 노동강도가 강화되고 있다. 특히 경제위기 이후 신자유주의의 유연화 전략에 따른 노동강도의 강화, 불규칙적인 작업내용 등 노동 환경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러한 노동 환경의 변화는 작업자에게 육체적, 정신적 피로도를 증가시켜 근골격계질환의 발생을 증가시키는 주된 요인이 되고 있다.
근골격계질환이 산업체 또는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이 질환과 관련된 산업재해 보상의 비용과 작업 손실 시간 등의 간접비용의 증가와 더불어, 작업자에게 미치는 영향 또한 손목 등 발병 부위의 통증과 직장 및 일상생활의 높은 긴장감등을 통하여 명백히 밝혀지고 있다. 한국산업안전공단 등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근골격계질환에 관련된 총 의료보상비는 미국의 경우 연간 약 650억불에 이르고 있으며 전체 산업재해 보상비용의 50%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근골격계질환 환자의 수는 전체 직업병 환자의 10% 전후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이는 미국 및 유럽의 많은 국가들에서 전체 직업병 중에서 근골격계질환이 차지하는 비율이 40-60%이상인 것과 비교해 볼 때, 우리나라에서 근골격계질환의 심각성과 그 실상이 제대로 밝혀지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고 할 수 있겠다. 현재 국내의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문제의식의 수준은 각종 통계자료에서 보여지 듯이 문제의 심각성정도에 비해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외의 산업재해관련 통계자료를 분석한 산업안전공단의 연구결과에도 나타나고 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미국 및 서유럽의 국가들은 진폐증, 소음성난청 등 1차적인 형태의 직업병의 발생구조에서 탈피하였으며, 근골격계질환이 전체 직업병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면 그 발병률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의 산업구조가 소위 선진국의 구조와 생산방식을 추종하고 있음을 감안할 때 이러한 근골격계질환의 발생이 그에 따라 증가할 것이라는 사실은 쉽게 예측되어진다.
참고문헌
김봉년, 진폐예방 관련 주요 산업안전보건 기준해설,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1993
강종철, 산업안전보건교육의 실효성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부경대학교, 2006
백기주 외 4명, 노동조합의 산업안전보건활동에 관한 지식, 태도, 실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의학회, 1990
안준노, 산업안전보건제도의 개선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2005
조흠학 외 1명, 산업안전보건법의 제정에 관한 역사적 의미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1
한국산업안전공단 위험설비안전센터, 국가별 산업안전보건관련 법규, 1997
  • 가격7,5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3.07.1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29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